Fair taxes are possible, for now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air taxes are possible, for now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has unveiled this year’s outline for tax code revision, which is focused on vitalizing the economy through tax cuts and incentives to increase jobs, investment and consumer spending. The cuts were aimed to make lives better for the working class and stimulate new growth industries. At the same time, a tax code was proposed to rationalize the rates for fairer taxation and bolster tax revenue.

But the plans do not live up to the rhetoric. Tax deductions aimed to increase the birth rate are one good example. The government proposed upping the tax cut for a second child to 500,000 won ($445) and 700,000 won for the third child from current uniform 300,000 won refund. But the cuts would be one-time only, as the incentives are given out for each birth.

The proposal also neglected to work on the fundamental problem of Korea’s income tax code. Of the 16.69 million workers who reported year-end settlements, 8.02 million have not paid taxes. The income tax exemption ratio was at 48.1 percent in 2014. One of every two people on permanent payroll was not paying taxes.

This happened because the government set the income base subject to exemption too low when it first introduced the preferential system in 2013 and made too many people eligible for tax exemption. It is wrong to think that people need not pay taxes because they earn little. Universal taxation must be upheld in order to justify and impose rightful dues from big income-earners.

Most countries keep their income tax exemption ratio at around 20 percent. Japan allows 15.8 percent, Germany 19.8 percent, Canada 22.6 percent and the United States 32.9 percent. But Korea’s rate is too high. The government must lower the ratio to the 2013 level of 32.4 percent. If it dithers, fearing a backlash ahea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next year, it will never be able to achieve fairness in its tax policies.


JoongAng Ilbo, July 29, page 34

기획재정부가 어제 발표한 2016년 세법개정안은 경제활력 지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신산업 투자와 일자리를 늘리고, 서민·중산층 부담은 줄이겠다는 기본 방향을 세웠다. 이런 방향 아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과세형평성을 높여 안정적 세입기반을 확보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한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내용을 알고보면 생색내기가 적지 않다. 둘째·셋째의 출생·입양 세액공제액 확대가 대표적이다. 현재 30만 원에서 각각 50만·70만 원으로 늘리기로 했지만 일생에 한 번 뿐인 일이란 점에서 이 정도로 도움이 될지 의문이다. 더 중대한 결함은 소득세 과세체계의 근본 모순을 그대로 덮어뒀다는 점이다. 연말정산을 한 근로자 1669만 명 중 802만 명이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으면서 2014년 면세자 비율이 48.1%에 달하기 때문이다. 회사원 둘 중 한 명이 소득이 있는데도 세금을 안 낸다는 얘기다.
이런 모순은 2013년 세액공제 도입 때 정부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면세자 기준을 과도하게 낮추면서 기존 납세자 상당수가 면세자로 빠져나간 데 따른 부작용이다. 소득이 낮으니 세금을 안 내면 어떻겠냐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소득이 있으면 1000원이라도 세금을 부담해야 ‘소득 있는 곳에 세금 있다’는 과세의 보편적 원칙이 실현된다. 그래야 고소득자의 탈세 유혹을 막고 부유층에 대한 과세도 정당해져 결과적으로 나라의 재정이 튼튼해진다.
이런 이유 때문에 어느 나라나 소득세 면세자 비율은 20% 안팎에 그친다. 일본은 15.8%, 독일 19.8%, 캐나다 22.6%다. 미국은 32.9%로 높은 편이지만 한국은 여기에 비할 바가 아니다. 정부는 이런 불균형을 즉각 시정해 32.4%였던 2013년 수준으로 면세자 비율을 낮춰야 한다. 면세자와 이들을 앞세운 정치권 일각의 반발이 두려워 비정상을 방치한다면 세제에 뚫린 구멍이 재정을 흔들게 된다. ‘넓은 세원, 낮은 세율’이란 기본 원칙이 흔들리면 정부의 공평과세 구호는 공허한 메아리로 들릴 수밖에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