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ctions haven’t worked(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anctions haven’t worked(국문)

South Korea is demoralized by the fast headway North Korea has been making in its missile and nuclear development. It helplessly watched North Korean gloat over the success of a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test from waters off the eastern city of Sinpo on Wednesday. The missile flew 500 kilometers (310.6 miles) before failing into waters controlled by Japan, significantly advanced from 30-kilometer test four months ago. The latest feat in submarine launch seriously questions the Seoul government’s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weapons ability as well as its capabilities on the security and diplomatic front.

The Seoul government held National Security Council meeting immediately after the blast but mostly spent time on condemning Pyongyang. The political front kept mum on the issue. The missile test was not mentioned in executive meetings at ruling Saenuri Party and main opposition Minjoo Party of Korea. Policymakers and politicians appear to have become num from deep-seated helplessness.

SMBM can be a game-changer in South Korea-U.S. joint military capabilities. Missiles fired from underwater cannot be easily detected and prevented. If missiles fired from underwater can fly across the Pacific to reach as far as the U.S. mainland as Pyongyang claims, we cannot rely entirely on U.S. deterrence umbrella. Washington cannot be expected to place priority in protecting Koreans if lives of their soldiers and people come under the risk of nuclear attack. If confidence in U.S. deterrence capabilities wanes, the call for homogeno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would gain grounds. The traditional Korea-U.S. alliance would be undermined as Washington won’t likely agree to Seoul going nuclear.

Seoul’s policy on North Korean nuclear threat so far has hinged entirely on international sanctions and pressure. It was blindly hopeful that if it does not waver in hard-line stance, the Pyogyang regime will eventually crumble through implosion. It has been pointing to the increased flight and defection by North Korean elites as sign of the Pyongyang regime shaking. But this is all based on naïve wishful thinking. Despite harsh sanctions and pressure, North Korea has sophisticated and advanced its nuclear and missile technology to the point of nearly perfecting underwater-fired ballistic missiles.

We may have to give up hoping that United Nations-led sanctions can make North Korea give up nuclear weapons ambition. Beijing, which has the leverage in solving the problem, is vehemently opposed to installing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system in South Korea. The U.N. Security Council is mulling a statement in response to Pyongyang’s latest ballistic missile test, but it could face veto from the Chinese member. Authorities must admit to the limit in their policy on North Korea relying entirely on sanctions and immediately reassess security and diplomatic policy. The NSC and current diplomatic and security team have failed to provide broad and farsighted policy. Without two-track policy of trying to draw North Korea to the negotiating table while enforcing sanctions, our dealing with North Korean nuclear threat could be a losing battle.


JoongAng Ilbo, Aug. 27, Page 26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발사 성공에 따른 무력감이 한국 사회를 짓누르고 있다. 일취월장(日就月將)하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능력을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보고 있다. 북한은 4개월만에 SLBM의 비행거리를 30km에서 500km로 늘리는 괄목한 성취를 이뤘다. 북한의 놀라운 SLBM 시험발사 성공은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정책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정부는 북한의 SLBM 발사 직후 국가안보회의(NSC)를 열었지만 하나마나 한 기록용 회의였다. 분석과 성토만 있지 대책은 없었다. 여야 정치권은 북한 SLBM에 대한 언급을 아예 회피했다.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표나 원내대표 모두 SLBM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더민주당 정책조정회의도 마찬가지였다. 무력감이 깊어지다 보니 아예 무감각해진 모양이다.
SLBM은 한ㆍ미 연합전력에 대한 북한의 열세를 일거에 만회할 수 있는 ‘게임체인저’로 평가된다. 북한 잠수함이 물 속에 숨어 불시에 공격할 경우 우리로선 막을 방법이 없다. 더구나 북한이 SLBM으로 미 본토나 괌 기지에 대한 기습 핵타격 능력을 갖추면 미국의 확장억제 실행이 어려워진다. 자국군과 국민에 대한 핵공격 위험을 무릅쓰고 동맹국 지원을 결행하기엔 부담이 너무 크다. 미국 확장억제의 신뢰성에 의문이 생기면 자체 핵무장론이 확산될 것이고, 미국이 이를 제지하면 한ㆍ미동맹이 위기를 맞을 수 있다.
그동안 정부는 유엔 등 국제사회와 공조해 대북제재 수위를 높이는 압박 일변도 정책을 추구해왔다. 대북압박 노선을 흔들림 없이 유지하면 결국 북한이 못 버티고 무릎을 꿇거나 체제 자체가 무너질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가 깔려 있다. 고위급 외교관을 비롯한 북한 엘리트 출신 인사들의 잇따른 탈북이나 귀순은 이미 북한 체제가 동요하고 있는 증거라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이는 입증되지 않은 ‘희망적 사고’일 가능성이 크다. 온갖 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해 마침내 SLBM을 완성하는 단계까지 왔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안보리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는 접는 게 좋다. 대북제재의 열쇠를 쥔 중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의 한국 배치 결정에 반발해 ‘몽니’를 부리고 있다. 북한의 이번 SLBM 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안보리는 고작 언론성명 채택을 논의 중이지만 그나마 중국 변수 때문에 불투명하다.
제재 일변도 북핵 대응의 실패를 인정하고, 외교안보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때가 됐다. 외교안보라인부터 일신해야 한다. 큰 그림을 못 그리고, 임기응변식 뒷북대응으로 일관하는 NSC나 외교안보팀으론 안 된다는 사실을 대통령부터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제재의 고삐는 유지하면서도 북한을 대화 상대로 인정하는 유연한 전략 없이 현상 추수(追隨)에 급급한 지금의 외교안보팀으로 북핵 문제의 진전은 난망(難望)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