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pan’s cautionary tale(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Japan’s cautionary tale(국문)

During Shinzo Abe’s first term as prime minister of Japan in 2007, the ruling Liberal Democratic Party (LDP) suffered a historic upper house election defeat to the opposition Democratic Party.

While the LDP commanded more than two-thirds of lower house seats through a coalition with the minority party Komeito, losing a majority in the upper house hindered Abe’s administration since legislation needs to pass both houses of the National Diet. Due to poor health, Abe resigned two months later. His first term was short-lived, lasting only one year.

His successor Yasuo Fukuda also faced obstacles from the upper house. Fukuda sought a coalition with the Democratic Party’s Ichiro Ozawa to jointly manage state administration. Ozawa had left the LDP in 1993 to form a non-LDP coalition.

Fukuda made a desperate attempt to break through the “indecisive politics,” but the plan never materialized. Ozawa failed to gain approval from the executive committee of the Democratic Party.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intensified, and Fukuda stepped down a year later.

After that, the LDP’s Taro Aso and the Democratic Party’s Yukio Hatoyama, Naoto Kan and Yoshihiko Noda all served short terms as prime minister. When the Democratic Party was in power, the LDP-Komeito coalition commanded a majority in the upper house. By the time Abe returned in 2012, there had been six prime ministers, almost one every year, and the average term of ministers in the Hatoyama and Kan cabinet lasted 8.7 months.

The appointment of the prime minister follows the lower house’s decision. Incompetency in politics brought obstacles to state administration in general, including hindering economic booster measures. Fukuda later remarked, “What were people who opposed the coalition thinking? Japan wasted three, four years.”

Abe’s return marked a dramatic reversal. Since he became prime minister again in 2012, the LDP has won four elections and held a majority in both houses. It may have benefited from a public tired of incompetent, short-lived administrations.

Abe has no one checking on him within the party, and power is concentrated in the prime minister’s office. This is something that has never happened in the LDP’s 55-year history. The party is now even discussing extending Abe’s tenure by revising its regulations to allow for a third term.

If that passes, Abe could be in power until September 2021. The imperialistic prime minister would be in office almost as long as the Chinese president, who can stay in power for10 years and has a rubber-stamp assembly. Japan, on the other hand, has a parliamentary system where the cabinet and lower house share power.

Korea has a single-term, five-year presidency, and the National Assembly at the moment has an opposition majority. The National Assembly rules but cannot decide.

Today’s political situation in Korea reminds us of Japanese politics in the mid-2000s.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circumstances are not so simple. There are so many challenges we can barely overcome even when we are solidly united.

We need a grand compromise. If a coalition is not an option, politicians need to unite over policies and create a productive political structure. Otherwise, Korea may fall behind in an age of upheaval.

JoongAng Ilbo, Aug. 27, Page 26


*The author is the Tokyo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OH YOUNG-HWAN


아베 신조 1차 내각 때인 2007년 7월 집권 자민당은 참의원 선거에서 역사적 참패를 했다. 1당을 야당인 민주당에 내줬다. 중의원은 연정 파트너인 공명당과 합쳐 3분의 2를 넘었지만 참의원의 여소야대는 국정의 발목을 잡았다. 법안은 중ㆍ참의원 양원을 통과해야 성립된다. 아베 총리는 궤양성대장염이 겹치면서 두 달만에 사의를 표명했다. 집권 1년의 단명 정권이었다. 후임 후쿠다 야스오 총리도 참의원의 벽에 부딪히기 일쑤였다. 후쿠다는 민주당의 오자와 이치로 대표(현 생활당 당수)와 연정을 모색했다. 집권당과 제 1야당이 국정을 공동 운영하는 대연정 구상이었다. 그것도 1993년 자민당을 탈당해 비자민 연립정권의 산파역을 맡았던 오자와를 상대로 해서였다. ‘결정하지 못하는 정치’를 돌파하려는 절박한 시도였다. 하지만 구상은 빛을 보지 못했다. 오자와는 민주당 임원회의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여야 대결은 다시 격화됐고 후쿠다도 1년만에 물러났다. 그 이래 자민당의 아소 다로 총리, 민주당의 하토야마 유키오ㆍ간 나오토ㆍ노다 요시히코 정권도 단명으로 끝났다. 민주당 집권 때는 참의원에서 거꾸로 자민ㆍ공명당이 다수파였다. 2006년 이래 아베 재등판까지 6명의 총리가 배출됐다.1년에 한 명 꼴이다. 하토야마ㆍ간 내각의 각료 평균 임기는 8.7개월이었다. 단명 정권에는 참의원의 여소야대 구조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총리 지명은 중의원의 의결을 따른다). 정치의 기능 부전은 경기 대책을 비롯한 국정 전반에 주름살을 가져왔다. 후쿠다는 훗날 “대연정을 반대한 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을 생각했던 것인가. 일본에 3~4년이 허송 세월이었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의 재등장은 드라마틱한 반전이다. 2012년 재집권 이래 네 번의 선거에서 모두 승리했다. 자민당은 중ㆍ참의원에서 모두 단독 과반수가 됐다. 단임 정권의 불임 정치에 대한 민심의 대반동 때문이 아닐까 싶다. 아베엔 당내 견제 세력도 없고, 권력도 총리실로 쏠리고 있다. 55년 자민당 창당 이래 없었던 현상이다. 급기야 아베의 임기 연장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임기 3년인 자민당 총재의 3선을 허용하는 당규 개정 작업이다.
그렇게 되면 아베는 2021년 9월까지 집권이 가능하다. 제왕적 총리의 장기 집권이 이뤄지는 셈이다. 중국 국가 지도자의 10년 임기에 손색이 없다. 한국(5년)과는 완전 역전이다. 중국은 의회가 거수기이고 일본은 내각과 중의원 권력이 일체화된 내각책임제다. 여기에 한국은 여소야대이고, 쟁점 법안의 국회 가결 정족수는 5분의 3이다. 국회는 군림하되 결정하지 못한다. 2000년대 중반의 일본 정치를 보는 듯하다. 세계가, 주변 정세가 그리 한가로운가. 내부가 똘똘 뭉쳐도 헤쳐가기 쉽지 않은 도전 요인이 가득하다. 뭔가 대타협이 필요하다. 연정이 안되면 정책 연합을 통해서라도 생산할 수 있는 정치의 틀을 짜내야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는 격동의 시대에서 뒤처질지 모른다.

오영환 도쿄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