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iking a balance(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riking a balance(국문)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first proposed by the conservative party in 2005 and passed this March, has finally gone into effect after more than a decade of partisan wrangling.

Laws to help raise awareness and improve human rights conditions in the reclusive state had been put into force in the United States in 2004 and in Japan in 2006. We cannot expect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o suddenly improve with a law in South Korea, but the legislation nevertheless can help contribute to improving the lives of North Koreans if implemented well.

As the first article of the law stipulates, it is designed to protect and improve human rights conditions in North Korea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conventions. An advisory group and archive will be installed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law also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foundation and appointment of an ambassador specializing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The move will demand a sizable budget. All concerned government offices must do their part and cooperate to fulfill the design of the law.

The ministry plans to create a bureau to promote a coexisting community between the two Koreas and oversee work to improv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resolve the issue of separated families and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But the government must also consider whether enlarging an office is that necessary. The purpose of the law would be impaired if it is us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positions and expand the budget.

The law also sets guidelines for humanitarian support for North Koreans and requires the government to endeavor to enhance human rights for North Korea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pursuit of peace in the region.

The government must be subtle so that the moves to help the lives of North Koreans do not trigger conflict over policies on North Korea and peace. It must stay true to the design of the law so that it does not worsen relations with North Korea and cause disputes among South Koreans.


JoongAng Ilbo, Sept. 5, Page 34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북한인권법이 마침내 발효됐다. 2005년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이 발의한지 11년만이다. 우여곡절 끝에 여야 합의로 지난 3월 국회를 통과한지 6개월만인 어제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미국은 2004년, 일본은 2006년부터 북한인권법을 시행해 오고 있다. 하지만 성과에 대한 평가는 사람마다 다르다. 북한인권법을 시행한다고 북한 주민의 인권이 자동적으로 증진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북한 주민의 실질적 인권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의 묘를 살리는 게 중요하다.
제1조에 규정된대로 북한인권법의 목적은 유엔 세계인권선언 등 국제인권규약에 규정된 자유권 및 생존권을 추구함으로써 북한 주민의 인권 보호 및 증진에 기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북한인권증진자문위원회와 북한인권기록센터를 통일부 산하에 설치하고, 북한인권재단 및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직을 신설토록 규정하고 있다. 물론 적지 않은 예산도 투입된다. 관련 기관 간 합리적 역할 분담과 긴밀한 공조로 법의 취지가 최대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북한인권법 시행에 맞춰 통일부는 북한 인권 개선과 이산가족 문제 해결, 탈북민 지원 등을 총괄하는 ‘공동체기반조성국’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한다. 기회만 있으면 조직을 확대하려는 것이 정부 부처의 생리다. 과연 이것이 최선책인지는 좀 더 면밀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혹시라도 북한인권법 시행과 함께 정부 부처나 관련 단체가 자리나 예산을 둘러싸고 밥그릇 싸움 양상을 보인다면 이 법의 정당성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다.
북한인권법은 인권 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대한 규정도 담고 있다. 또 북한 주민의 인권 증진을 위한 노력과 함께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의 평화정착을 위해서도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이 남북관계 및 평화정착과 충돌하는 일이 일이 없도록 균형감각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북한인권법이 남북대결과 남남갈등을 조장할지 모른다는 일각의 우려가 현실화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