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cience loopholes(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science loopholes(국문)

Korean teenagers have kept up a splendid winning streak in the field of science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e Korean team came in first at the International Physics Olympiad in July, and second, third and fourth respectively at the Chemical Olympiad, Earth Science Olympiad, and Olympiad in Informatics last month. But half of the science and math whizzes end up in medical school or overseas universities.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ational competitiveness hinges on talent in creative and convergence science. But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system and education environment precludes growth of such talents.

Data cited by Rep. Oh Se-jung of the People’s Party underscores the gloomy future of science in the country. Applicants for higher level basic science studies — physics, chemical,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 among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for college entrance have shriveled to a tenth of the number five years ago.

Math and science students study for the rudimentary level merely to get good scores instead of the purpose of exploring deeper studies. In 2012, the college applicants for high level chemistry studies totaled 36,238, or 5.58 percent of students taking the math and science college exams, but among 2016 candidates, the number reached a mere 3,936, or 0.67 percent.

In the high level physics exams, the ratio slipped to 0.59 percent from 2.94 percent. In the biology II exam, the ratio sank to 4 percent from 11.14 percent and in the earth science II exam , 1.78 percent from 3.85 percent. “Science-prone students’ skills and minds deteriorate if they avoid deeper and challenging studies,” Oh said.

As Oh pointed out, it becomes a problem if talented students shun deeper studies. All college applicants do not need to take the higher level science studies as a small number of universities demand it. But it is a different matter if contenders in international science competitions and elite science schools also refuse taking the subjects to get good scores in college exams.

We can never expect to breed innovative scientists if an Olympiad winner is prohibited from mentioning the feat in school records for college admissions. We must retool the college entrance and educational system if we want to stay competit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JoongAng Ilbo, Sept. 21, Page 30


세계 과학 영재들의 경연장인 국제올림피아드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거둔 성과는 눈부시다. 지난 7월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는 종합 1위, 지난달 화학·지구·정보올림피아드에선 각각 2·3·4위를 했다. 하지만 역대 영재들의 절반 이상은 의대로 진학하거나 유학을 떠났다고 한다. 파괴적 혁신을 요구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엔 창의·융합형 과학도 배출이 곧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그런데 현행 대입 제도와 교육 풍토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 오세정 의원(국민의당)이 어제 내놓은 수능 과학탐구 영역 응시생 자료를 보면 왜 그런 지적이 나오는 지를 알 수 있다. 기초과학의 토양인 물리·화학·생명과학·지구과학 Ⅱ 선택 비율이 최근 5년 사이 10분의 1까지 급감했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출신인 오 의원은 "학생들이 암기를 통해 점수 따기가 쉬운 과탐Ⅰ과목에만 매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료를 보면 2012학년도 화학Ⅱ 응시생은 3만6238명(5.58%)이었으나 2016학년도엔 3936명(0.67%)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물리Ⅱ는 2.94%→0.59%, 생물Ⅱ는 11.14→4%, 지구과학 Ⅱ는 3.85%→1.78%로 각각 줄어들었다. 오 의원은 "심화과목 기피는 이공계 학생들의 실력 저하로 이어진다"며 정부에 대책을 촉구했다.
그의 지적대로 심화학습 외면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물론 과탐Ⅱ는 서울대 등 일부 대학만 요구해 모든 학생들이 배울 필요는 없다. 하지만 올림피아드 출전자나 과학고생 조차 내신·수능·논술 3중고에 파김치가 돼 기피한다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올림피아드에서 금메달을 따도 학생부에 기재하면 탈락시키는 코미디 같은 제도 속에서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같은 창조적 인재가 나오겠는가.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을 우리 것으로 만들려면 교육 방식부터 뜯어고쳐야 한다. 그 첫 단추가 과학교육 혁신이다. 23년째 시행 중인 수능을 비롯한 대입의 문제점과 암기·필기·점수 만능의 '죽은 과학 교실' 추방 방안을 마련하기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