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country, many systems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ne country, many systems (국문)

Here’s a pop quiz. Of the following world leaders, who has not ridden in a state coach with England’s Queen Elizabeth II? 1. Barack Obama 2. Angela Merkel 3. Xi Jinping 4. Park Geun-hye.

There are actually two answers. Obama could have taken the ride, but he did not, and Merkel was not qualified to do so. It might sound ridiculous, especially since she has been called the bastion of liberalism in the West, but because she is a chancellor and not a president, she is not considered a head of state.

After the scandal involving President Park Geun-hye and Choi Soon-sil, many are suggesting Korea end its presidential system. I agree with this sentiment. Some argue a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should be the alternative, but because there are no clear standards, this is not a simple matter. Other advanced democracies with a similar size population as Korea provide examples.

First, a president can also exist in a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if there is no monarch. The president is directly elected in France and indirectly in Germany and Italy. Of course, a directly elected president has significant power. The president of Turkey was elected through a direct election, and he now wants to become the president of a presidential system. How much power should a president have? If the president is given significant authority, the system should be called a semi-presidential system.

Additionally, the idea that a majority party will form an administration is not easy. The United Kingdom, a country with a long history of democracy, used to have a two-party system. It was effective, but it was also limited in reflecting complicated interests. The Scottish National Party, which won 1.45 million votes in last year’s general election, won 56 seats, but the U.K. Independence Party, which won 3.88 million votes, only occupies two seats. The inequality in vote value was a problem.

In most countries, multiparty systems exist to reflect religions, ideologies, regions and interests. Coalitions are therefore unavoidable. Belgium took 514 days to negotiate a coalition. Spain ran the risk of having three general elections in one year after its two-party system was changed to a multiparty system. Is efficiency or consensus more important?

Do we also want to increase the number of lawmakers, who are now the subject of national distrust and disgust? In the United Kingdom, with a population of 650 million, the House of Commons has 650 members, 120 of whom are senior party members.

Three decades ago, we filled Gwanghwamun Square with voices demanding the direct election of the country’s leader. Can we get used to an ambiguous system in which we vote for a lawmaker when we are actually voting for the prime minister?

Once discussions of a constitutional amendment begin, various questions will be raised and we must find an answer with the greatest common denominator. The new political system will stay for the next 50 years, maybe a century. Insight and wisdom will be absolutely necessary.

JoongAng Ilbo, Nov. 25, Page 35


*The author is the Lond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Koh Jung-ae



퀴즈다. 다음 중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황금마차를 타지 않은 이는?
①버락 오바마 ②앙겔라 메르켈 ③시진핑 ④ 박근혜
답은 둘이다. 오바마는 탈 수 있는데 안탔고 메르켈은 ‘자격’이 안 돼 못탔다. 서구 자유주의의 보루로 불리는 이에게 가당하기나 싶겠지만 사실이 그렇다. 총리는 대통령과 달리 국가원수가 아니다.
최순실 일가 ‘덕분’에 대통령제는 안 되겠다는 이가 적지 않다. 필자도 1인이다. 대안으로 의원내각제가 거론된다. 황금마차 타는 일 마냥 일도양단이면 좋은데 꼭 그런 건 아니다. 일종의 스펙트럼이다. 대충 우리 못지 않은 인구에 남우세스럽지 않은 민주주의 국가들만 봐도 그렇다.
일단 내각제에도 대통령이 있다. 군주가 없다면 말이다. 대통령을 직선으로도(프랑스), 간선으로도(독일·이탈리아) 뽑는다. 아무래도 직선 대통령엔 힘이 실릴 수밖에 없다. 터키 대통령은 직선으로 뽑히더니 아예 대통령제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나서고 있다. 대통령에게 어느 정도의 권력을 줄 텐가. 제법 준다면 정치언어로 분권형대통령제·이원집정부제일 터다.
‘과반 정당이 정부를 구성한다’는 원칙도 녹록치 않다. 국민국가 전통이 긴 영국은 대체로 양당제로 수렴하곤 했다. 과반 정당이 만들어지곤 했다. 효율적이다. 하지만 복잡다기해진 이해를 담아내기엔 그릇이 작다. 지난해 총선에선 145만표를 얻은 스코틀랜드국민당이 56석을 얻은 반면 388만 표를 얻은 영국독립당은 두 석에 그친 일도 있었다. 표의 등가성도 문제인 게다.
대개는 종교·이념·지역·이해가 얽힌 다당제다. 주고받기에 의한 연정이 불가피하다. 벨기에는 연정 협상을 하느라 541일이 걸렸다. 사실상 양당제에서 다당제로 바뀐 스페인은 1년 동안 세 번의 총선을 치를 뻔했다. 효율인가, 그래도 합의인가.
영국엔 정부직·당직 등 이른바 ‘프런트 벤치’ 의원만 120명이다. 인구 6500만 명인데 하원의원이 650명이어서 가능했다. 국민적 불신·혐오 대상인 의원이 늘어나는 데 동의하는가.
30년 전 우리는 우리 손으로 지도자를 뽑겠다며 광화문 광장을 직선제 함성으로 채웠다. 의원에게 투표하지만 실제론 총리를 뽑는 ‘어정쩡한’ 제도에 익숙해질 수 있나.
개헌 논의가 시작되면 이런 유의 무수한 질문들이 제기될 게다. 최대공약수의 답을 구해야한다. 50년, 100년은 갈 정체(政體)다. 혜안과 통찰력이 절대적이다. 진정 우주의 기운을 모을 시기란 얘기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