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s from the crisis (kor)
Published: 20 Nov. 2017, 21:10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flicted a deep trauma on the Korean people. Since that shameful deal, low growth and high unemployment have wreaked havoc on our economy, with all economic players showing a tendency to avoid risks instead of taking the kind of challenges that produce world-class winners. The crisis also forced a countless number of struggling companies to end the practice of hiring full-time workers. They instead turned to part-time or contract workers to save costs. As a result, individuals became obsessed with finding jobs in the relatively stable public sector, while enterprises were bent on maintaining their status quo rather than embarking on what Joseph Schumpeter called “creative destruction.” That caused our economy to lose dynamism.
The Korean economy has changed a lot compared to two decades ago. It boasts of foreign reserves amounting to $384.5 billion as of October, the world’s ninth largest. Korea’s sovereign credit rating, which currently stands at AA, is higher than even Japan and China after a precipitous fall to B+ at the time of the crisis. Financial analysts expect a repeat of such a crisis for South Korea is highly unlikely.
But a crisis can hit our economy at any time. Korea is wrestling with chronic problems such as alarmingly low labor productivity, irksome regulations and ever-deepening income inequalities.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 whopping 88 percent of analysts compared our economy to a “boiling frog” — who doesn’t realize the water is getting hotter until it’s too late — while 63 percent say our economy has only one to three years left to escape a bad tipping point. The government must listen to advice from the IMF that our economy needs structural reforms, including in the labor sector. When a drive for economic reform is apathetic, the foreign media use the word “complacency.” That’s the big danger. We all must stay alert to the possibility of catastrophe.
JoongAng Ilbo, Nov. 21, Page 34
꼭 20년 전 오늘이다. 외환 곳간이 비어 가던 김영삼 정부는 1997년 11월 21일 국제통화기금(IMF)에 긴급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그해 12월 3일 임창열 경제부총리는 방한한 미셸 캉드쉬 IMF 총재 옆에 앉아 침통한 표정으로 구제금융안에 서명했다. 우리 국민은 그 후 IMF 요구에 따른 긴축과 고강도 구조조정을 견뎌내야 했다. 외환위기는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다. 저성장과 실업이 구조화됐고 경제 주체의 위험 회피 성향은 커졌다. 비정규직이 양산되고 구조조정이 일상화됐다. 이로 인해 개인은 안정적인 공공 일자리에 매달리고 기업은 파괴적 혁신보다 현상유지형 돈벌이에 눈독을 들였다. 한국 경제 특유의 활력(dynamism)이 외환위기 이후 사라졌다. 지금 한국 경제는 20년 전과는 많이 달라졌다.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3845억 달러로 세계 9위다. 외환위기 당시 투기 등급인 ‘B+’까지 떨어졌던 국가 신용등급은 현재 중국·일본보다 높은 ‘AA’다. 외환위기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은 별로 없다. 하지만 언제든지 위기는 다른 얼굴을 하고 찾아올 수 있다. 외환위기와 같은 급성 심장병은 아니지만 한국 경제는 노동생산성 저하, 혁신을 가로막는 규제, 소득 불평등 등의 고질 탓에 이미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만성 질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 경제 상황이 ‘(뜨거워지는) 냄비 속 개구리 같다’는 경제전문가가 88%에 달하며 탈출할 시간이 1~3년밖에 남지 않았다는 답변이 63%나 됐다. 지금처럼 경제 여건이 좋을 때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IMF의 조언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개혁이 더딜 때 외신이 한국 경제를 비판하면서 쓰는 말이 '자아도취병(complacency)'이다. 항상 경계하고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그게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의 숙명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