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the big fuss? (kor)
Published: 10 Jan. 2018, 21:15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said the 2015 agreement cannot be a true resolution to the issue of Japan’s forced wartime sexual slavery as it did not reflect the voices of the victims. Yet, Kang said that Seoul won’t pursue a renegotiatio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because it had been an agreement between two states.
Walking off a sealed deal would have been impossible as it would risk irrecoverable damage in bilateral ties with Japan.
But the Moon government did not explain what the government had sought by probing and revisiting the issue if it did not aimed to pursue a renegotiation. Kang said that the government itself will raise the 1 billion yen ($8.86 million) pledged by Japan to compensate for the forced recruitment of young women into sexual slavery during World War II, because it did not deem an apology from Tokyo had been sufficient. Korea wants Japan to “accept the truth as it is in accordance with universally-accepted standards and help restore honor and dignity of the victims and heal the wound in their hearts,” Kang said.
Her Japanese counterpart Taro Kono made it clear that the 2015 settlement that included the 1 billion yen fund was a “final and irreversible resolution” and that he could not accept Seoul’s demands for further action.
Since the government launched a special probe in July, President Moon and Foreign Minister Kang comforted the victims and made them think that they would pursue a settlement. The government has been doing things in a similar pattern.
It vows and moves towards actions that would win public support. But what it pulls up at the end are makeshift measures.
It acted the same way about the row with Beijing over the deployment of the controversial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antimissile system. It talks tough, irks the other state, and quickly wraps up the matter.
The government must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discreet in its actions, as there is always a counterpart in diplomacy.
JoongAng Ilbo, Jan. 10, Page 30
굴욕외교 논란을 빚었던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문제가 결국 찜찜하게 봉합됐다. 정부가 어제 위안부 합의에 결정적 문제가 있다면서도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까닭이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위안부 할머니들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합의는 진정한 해결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2015년 합의가 양국 간 공식합의였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는 처음부터 한·일 관계가 회복 불능이 되니 합의를 절대 물리면 안 된다고 주장해 왔다. 정부가 고심 끝에 현실적 선택을 한 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잘못된 합의를 고치겠다는 명분과 한·일 관계를 망칠 수 없다는 현실론까지 품으려는 바람에 앞뒤 안 맞는 대책이 됐다. 특히 일본 정부가 준 화해·치유재단 기금 10억 엔 처리가 그렇다. 정부는 일본 측 사과가 미흡하다며 우리 예산으로 10억 엔을 조성해 처리 방안을 협의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본이 이를 받을 리 만무하다. 실제로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무상은 발표 직후 "합의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항의하겠다고 했다. 결론에 이를 때까지 정부가 보여온 포풀리즘적 대응도 탄식만 낳는다. 합의를 깰 때 생기는 부작용은 지겹게 거론됐다. 그런데도 문재인 대통령과 강 장관은 위안부 할머니들과 만나 합의를 곧 깰 듯 처신했다. 당연히 일본의 감정은 나빠질 대로 나빠졌다. 현 정부는 여론, 특히 지지자들의 입맛에 맞는 정책을 펴겠다고 다짐하고도 뚜껑을 열어보면 면피성 대책만 내놓고 있다. 이러려고 검증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그 난리를 쳤던가. 중국을 상대로 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갈등도 이런 식이었다. 상대가 있는 외교에서 일방적 대응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 이제라도 정부는 깨달아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