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wift deal (kor)
Published: 26 Mar. 2018, 20:30
In the deal, Korea does not have to further open up its agricultural market — a very sensitive issue on Korea’s part — to U.S. agricultural products, with previous concessions remaining intact. While the United States agreed to exempt Korea from its new mandatory 25 percent tariffs on steel imports from Korea, Seoul consented to the idea of reducing its steel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this year to 74 percent of the amount exported last year. Then Korea made concessions in automobiles. The United States has long insisted on Korea importing more American cars even before the free trade pact was signed.
Through the new agreement, Korea was able to remove uncertainties over its exports to U.S. markets. It is a welcome development for Seoul to reach an agreement with Washington in just three months. On Monday,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made a statement that Korean companies will be able to draw up their trade and investment strategies toward the United States in a stable way and on a long-term basis since both sides swiftly eliminated uncertainties through the renegotiat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Trade Minister Kim Hyun-chong, Korea’s chief negotiator, said he had approached the negotiation in an aggressive way from the beginning. Even though his team had to accept the renegotiation in the face of Trump’s protectionist offensive, experts say his team did a pretty good job. However, immediate damage is expected for our steel pipe exports to the United States. That will adversely affect our steel industry, which heavily depends on U.S. markets.
Regardless of the agreement in Washington Sunday, Korea can be a target of American protectionism at any time given its big trade surplus with the country. If trade friction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reaches a peak, Korea will most likely be hit hard. Even before Washington and Beijing entered any kind of negotiations, the foreign news media reported that China will increase its purchase of semiconductors from the United States. That will have a huge impact on our exports of semiconductors to China.
To deal with the trade conflict wisely, the government must act in a preemptive way if it does not want to fall victim to fallout from many sides.
JoongAng Ilbo, March 27, Page 3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보호무역 정책으로 불거진 한·미 양국의 통상 갈등이 일단 봉합되는 분위기다. 미국의 철강 관세 문제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을 연계한 양국 협상이 지난 주말 사실상 타결됐다. 한국의 민감 부문인 농업의 추가 개방은 없고, 기존 FTA의 양허안은 유지됐다. 한국산 철강에 대한 25%의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올해 대미 철강 수출물량은 쿼터를 적용해 지난해의 74% 수준으로 줄였다. 미국의 가장 큰 불만사항이었던 자동차 부문에서 한국이 양보했다. 한국의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수입 쿼터를 2배 늘려 주고, 한국산 픽업트럭에 대한 미국의 관세 부과 시기도 20년 늦춰 줬다. 한국이 얻은 것은 대미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조기에 없앴다는 점이다. 당초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됐던 FTA 협상이 석 달 만에 큰 틀의 합의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김현종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꿀릴 게 없는 협상판이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대놓고 자랑할 일이 아니다. 현 정권이 야당 시절 비판했던 2010년 재협상 협정문보다 한국이 훨씬 불리해진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철강 쿼터로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강관류업계는 당장 피해가 예상되고 생산·수출 감소로 힘겨워하는 국내 자동차업계에도 중장기적으로 부담이 될 것이다. 이제 정치권은 정치적 계산 대신 냉정하게 국익을 생각해야 한다. 앞으로도 대미 무역 흑자 폭이 큰 한국은 언제든지 미국의 타깃이 될 수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고조되면 한국이 직격탄을 맞기 십상이다. 이미 미·중 물밑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중국에 대해 한국산 대신 미국산 반도체를 수입하라고 압박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언제 어디서 유탄이 날아올지 모르는 세상이다. 통상 갈등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정부는 더 긴장감 있게 움직여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