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oice to die well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choice to die well (KOR)

SUH KYOUNG-HO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When former SK Chairman Choi Jong-hyun (1926-98) found out that his lung cancer had come back, he refused to get chemotherapy and radiation treatment and returned home. He received pain relievers and composed himself through breathing exercises. Choi quietly embraced death and chose to be cremated. His death was a turning point in Korean funeral culture, and since then, more people have chosen cremation.

Many people choose what’s called “well-dying” in Korean to keep their human dignity. American activist Scott Nearing (1883-1983) wished to feel the process of dying, as death to him was merely an awakening or transformation. He hoped to leave life respected by those close to him. At age 100, he died from fasting.

Writer Park Kyung-ri (1926-2008) did not give up on literature. She wrote poems until the last moment instead of receiving cancer treatment. In the poem, “That House of the Past,” she wrote, “The hard times are gone. Comfortable to be old. Lighthearted to be left with only the ones to throw out.” A collection of her poems was published a year after she passed away.

Cardinal Stephen Kim Sou-hwan, who passed away in 2009, refused all life-prolonging measures, including a respirator. Sungkonghoe University professor and author of “Reflections from Prison” Shin Young-bok (1941-2016) fasted for over 10 days and completed his reflection of 75 years when his skin cancer became aggravated. The Venerable Beopjeong (1932-2010) asked not to conduct any funeral rituals and practiced “Non-Possession.” He asked others not to make a coffin, prepare a shroud or plan a three-day funeral. He was happy with his monk’s robe and wished to be cremated quickly.

LG Chairman Koo Bon-moo, who died recently, also chose death with dignity instead of life-prolonging care. He wished to keep the funeral within the family, but those who were closed to him paid condolence calls. Many people support Koo’s wish to change funeral culture, which wastes time and money.

Korean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Cho Yoon-je criticized Korea’s culture of celebrating and mourning at funerals as wasted time that could be used for professional improvement. He encouraged making social connections through academic, regional or personal relationships instead. In fact, at many funerals, people visit to console and reaffirm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urviving family rather than mourn the deceased. I remember reading how a foreigner living in Korea found it strange that Koreans talk and drink at funerals. I hope Koo’s small funeral can be a turning point to change Korea’s funeral culture to focus on the deceased.

JoongAng Ilbo, May 22, Page 27

웰다잉과 작은 장례식
서경호 논설위원

최종현(1926~1998) SK 회장은 폐암이 재발하자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를 거부하고 자택으로 돌아왔다. 통증 완화제를 맞고 기호흡을 하며 마음을 추슬렀다. 조용히 죽음을 받아들인 그는 화장(火葬)을 선택했다. 그의 유언은 우리나라의 장례 문화를 화장 위주로 바꾸는 전환점이 됐다.
불필요한 연명 치료를 거부하고 인간의 존엄을 지키며 평온하게 삶의 마지막을 맞는 ‘웰다잉’을 실천한 이들은 꽤 있다. 미국의 사회운동가 스콧 니어링(1883~1983)은 “죽음의 과정을 예민하게 느끼고 싶다”며 “죽음은 옮겨감이나 깨어남에 불과하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게 존중받으면서 가고 싶다”는 말을 남겼다. 그는 몸에 이상이 오자 스스로 곡기를 끊고 딱 100세 되던 해에 세상을 떠났다.
소설가 박경리(1926~2008)는 항암치료 대신 마지막 순간까지 시를 쓰며 문학을 놓지 않았다. 그는 ‘옛날의 그 집’이란 시에서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리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고 읊었다. 마지막 시구를 제목으로 삼은 시집이 그가 임종하던 해에 출간됐다.
2009년 선종한 김수환 추기경도 인공호흡기를 포함한 일체의 생명연장 조치를 거부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의 저자 신영복(1941~2016) 성공회대 교수는 피부암이 악화하자 10여 일간 곡기를 끊고 75년간의 사색을 마쳤다. 법정(1932~2010) 스님은 “일절 장례의식을 행하지 말라”며 마지막까지 『무소유』를 실천했다. 그는 “관을 짜지 말고 승복이면 족하니 수의를 입히지도 말고 3일장도 하지 말고 지체 없이 화장하라”고 주문했다.
그제 별세한 구본무 LG 회장이 연명 치료를 하지 않는 존엄사를 선택했다. 남들에게 폐가 되지 않도록 외부 조문을 받지 않는 가족장을 원했지만 친분 깊은 인사들이 추모의 행렬을 이어 가고 있다. 시간과 돈 낭비가 심한 장례 문화를 바꿔야 한다는 구 회장의 뜻에 공감하는 이는 많다.
조윤제 주미 대사는 우리의 경조사 문화 탓에 전문가들이 내공을 쌓을 시간이 허비될 뿐만 아니라 학연·지연·인맥으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연줄사회의 폐해를 키웠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우리 장례식은 고인을 추억하는 것보다는 좋게 말해 유족을 위로하거나 유족과의 사회적 관계를 확인하는 자리가 많다. 국내에 거주하는 한 외국인이 ‘영정 앞에서 떠들며 술 마시는 한국의 장례시장 풍경’을 이색적이라고 표현한 글을 읽은 기억이 난다. 구본무 회장의 웰다잉과 작은 장례식이 우리의 장례 문화를 고인과 가족 중심으로 바꾸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