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song family forced to sell two Korean treasures

Home > Culture > Korean Heritage

print dictionary print

Kansong family forced to sell two Korean treasures

From left, treasures No. 284,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No. 285,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are being sold by the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K AUCTION]

From left, treasures No. 284,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No. 285,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are being sold by the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K AUCTION]

The family behind the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founded by legendary collector Jeon Hyeong-pil (1906-62), has placed two art treasures up for auction for the first time, citing financial difficulties.
 
Both are considered treasures by the country, although not national treasures, which is a finer category. Treasure No. 284,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No. 285,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have been registered at the K Auction Exhibition Space in southern Seoul for an auction on May 27.
 
“It wasn’t an easy decision, but we had to find a way to pay the [inheritance] tax levied on the Jeon family following the death of Jeon Seong-woo, former director of the foundation [and son of Jeon Hyeong-pil],” a member of the foundation told the JoongAng Ilbo exclusively on Thursday on condition of anonymity. “We cannot reveal how high the [inheritance] taxes were, but it was beyond what the family could cover. We are aware that this decision can be criticized by the public, but the decision was made in order to keep the foundation alive.”
 
The Kansong foundation owns many of the artifacts collected by Jeon, and the Jeon family others. The tax issues involve the family and their holdings.
 
The foundation, created by Jeon in 1938, was the first private foundation for the arts in Korea. Jeon is famous for dedicating his fortune to buying and preserving the country’s treas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 preventing them from ending up in Japan or elsewhere.  
 
Jeon and his family collected over 5,000 artifacts, which include 12 national treasures including No. 70, Hunminjeongeum, also registered on Unesco’s Memory of the World list, and 32 treasures. Korea has 331 national treasures and 2,064 treasures,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a national treasure and a treasure is that the former is “of great importance for humanity and without parallel in human history” while treasures are defined as “important cultural heritage of Korea,”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registered in 1963, dates to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Standing about 37.6 centimeters (14.8 inches) tall, the statue’s significant features include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Buddha and the overlapping folds of his robe, which show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Wei (386-534) dynasty of China, according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Gilt-bronze Standing Bodhisattva, registered in 1963, dates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A.D. 668). Standing about 18.8 centimeters tall, the statue’s significant features include narrow long eyes and high cheekbones, which the administration said are “uniquely Korean,” and fin-like ends of the robe of the bodhisattva that give the statue a stylized look.
 
In the 82 years that the Jeon family managed the treasures, they held 85 exhibitions and did not charge entrance fees, except for a revolving exhibition held at Dongdaemun Design Plaza in central Seoul from 2014 to 2019.
 
The foundation told the JoongAng Ilbo that most of the preservation work on the treasures was paid for out of its own pocket. The foundation received 4.78 million won ($3,900) in fund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rom 2018 to this year, mostly used to create more storage space at the foundation.  
 
Things changed, it said, with the passing of Jeon’s first son, Jeon Seong-woo, in 2018. After his father’s death in 1962, Jeon became director of the foundation. When he died, the family said they had to pay a massive inheritance tax bill.
Jeon In-geon, grandson of Jeon Hyeong-pil, observes an artifact at the special exhibition hosted by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at the Dongdaemun Design Plaza in eastern Seoul on Jan. 3, 2019. [SHIN IN-SEOP]

Jeon In-geon, grandson of Jeon Hyeong-pil, observes an artifact at the special exhibition hosted by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at the Dongdaemun Design Plaza in eastern Seoul on Jan. 3, 2019. [SHIN IN-SEOP]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aid in a statement on Thursday that inheritance taxes on national treasures and treasures are exempted. But the family owns many artifacts that are valuable but not deemed treasures.
 
“I understand that the family has tried to come up with several solutions in dealing with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Jeong Yang-mo, former director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old the JoongAng Ilbo. “Let’s hope that what they’re trying now does not put a permanent dent in the foundation and Jeon’s work.”
 
It is not illegal in Korea to place treasures up for sal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llows selling of treasures between individuals as long as the trade is on the record and registered with the government.
 
And the family may be selling more of its artifacts.  
 
Experts told the JoongAng Ilbo that the starting price of the treasures to be auctioned will be around 1.5 billion won each.
 
“We may need more than that [to cope with our financial situation],” a member of the foundation told the JoongAng Ilbo. “And because of that, we may put out other artifacts related to Buddhism on sale. We intend to focus on paintings and ceramics.”
 
There are two national treasures related to Buddhism at the foundation: No. 72, Gilt-bronze Standing Buddha Triad with Inscription of “Gyemi Year,” and No. 73, Portable Shrine of Gilt-bronze Buddha Triad.
 
“We need all the help of the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Jeong said. “Government bodies must also do their work to help preserve these treasures of national heritage.”
 
Jeon Hyeong-pil, founder of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Jeon Hyeong-pil, founder of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KANSONG ART AND CULTURE FOUNDATION]

 
BY PARK JUNG-HO, ESTHER CHUNG   [chung.juhee@joongang.co.kr]
 
 
[단독] 막대한 상속세 때문에...간송 30억대 보물 처음 경매 나왔다
 
 
간송(澗松) 전형필(1906~62)은 한국 문화의 자존심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에 유출될 뻔한 서화·도자기·고서 등 국보급 문화재 5000여 점을 수집했다. 전 재산을 털어 “문화를 통해 나라의 정신을 지킨다”는 문화보국을 평생 실천했다. 간송의 정신은 후손들에게도 이어졌다. 간송의 타계 이후 장남 전성우(1934~2018), 차남 전영우(80), 장손 전인건(49)씨 등이 3대에 걸쳐 간송 소장품 창고지기 역할을 맡았다. ‘한국의 미’를 소중히 간직하라는 간송의 유지를 받들었다.
 
그런 간송 집안의 소장품이 처음으로 새 주인을 기다리게 됐다. 오는 27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케이옥션에서 열리는 경매에 삼국·통일신라 시대 불상 두 점이 나온다. 간송이 문화재 관리를 위해 1938년 서울 성북동에 세운 보화각(71년 간송미술관으로 개칭)이 문을 연 이후 82년 만의 일이다. 간송이란 상징성을 고려할 때 문화계에 주는 파장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
 
다음주 경매에 나오는 불상은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과 ‘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이다. 청동에 금을 입힌 명품으로, 각각 보물 제284호와 285호로 지정됐다.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구매 시기·과정은 명확하지 않지만 7세기 무렵 고대 한국 불상의 특징과 변천을 드러내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여래입상’은 부처의 당당하면서도 자연스러운 자태를, ‘보살입상’은 수행자의 가늘게 찢어진 눈과 입 등 한국적인 얼굴을 형상화했다. 두 작품의 경매가는 각 15억원, 합계 30억원으로 추정됐다.
 
두 불상은 간송미술관의 간판스타는 아니다. 간송은 값으로 매길 수 없는 걸작들을 애써 수집했다. ‘훈민정음 해례본’ ‘청자상감운학문매병’ ‘혜원 신윤복 풍속도화첩’ 같은 국보 12점, 보물 32점 등 삼국시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 전 시대를 포괄했다. 이원복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은 “간송미술관 소장품만으로 한국 미술사를 서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미술계, 간송컬렉션 보존안 찾아야”
 
이번 경매는 일명 ‘민족문화의 수호신’으로 불린 간송의 면모에 상처가 될 수도 있다. 간송 집안이나 관계자는 물론 일반 시민들에게 상실감을 줄 수 있다. 반면에 간송미술관의 재정난을 고려하면 현실적인 선택이라는 시각도 있다. 간송미술관 살림이 어려워진 결정적 계기는 2년 전 전성우 간송미술문화재단 이사장이 타계하면서다. 문화재를 승계한 이들에게 막대한 상속세가 부과됐으나 이를 해결할 대책이 없었다.
 
익명을 요구한 간송재단 관계자는 “굉장히 가슴 아픈 결정이었다. 오랜 기간 고민했다. 액수를 밝힐 수 없지만 세금 액수가 미술관이 감당할 수 없는 규모였다. 주변의 비판적 시선이 걱정됐지만 간송의 큰 뜻을 계속 이어가려면 별다른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어쩔 수 없는 자구책이라는 설명이다. 정양모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은 “간송의 가족들이 여러 노력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 간송의 빼어난 공적에 손상이 가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간송미술관 측은 지금껏 국가 지원을 전혀 받아오지 않았다. 2014년부터 지난해 초까지 열린 서울 DDP 기획전을 제외하고 지난 40여 년간 주최해 온 85차례 전시회의 입장료를 받지 않았다. 소장품 수리비, 연구자료 발간비 등도 자체 해결했다. 지원을 받으면 그만큼 간섭도 받는다는 이유에서다.
 
간송재단 측은 이번 경매와 별개로 전시·연구·교육 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일단 지난해 문화재청에서 별도의 수장고 건립을 의결했고, 현재 설계도가 완성된 상태다. 문화재청과 서울시에서 건축비 44억원을 지원한다. 올해 공사에 들어가 내년에 완공된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말 보화각 건물을 근대 문화재로 등록해 보화각의 원형 복원도 지원할 계획이다. 재단 관계자는 “첨단시설을 갖춘 신축 수장고는 연구·교육 공간으로, 기존 보화각은 전시 공간으로 활용할 생각이다. 그간 문화 각계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간송미술관의 현대화를 이룰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재단 “다른 문화재 더 내놓을 수도”
 
간송 소장품 경매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재단 관계자는 “간송의 핵심 문화재는 주로 회화와 도자기다. 이번에 낙찰돼도 돈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불교 문화재도 내놓을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현재 간송미술관에는 ‘금동계미명삼존불입상’(국보 제72호)과 ‘금동삼존불감’(국보 제73호)이 있다. 굳이 비교하자면 문화재적 가치가 이번 불상보다 더 크다. 문화계가 또 한 차례 출렁거릴 수 있다.
 
간송의 전기를 쓴 이충렬 작가는 “정부 관계부처와 미술계 전문가들이 협의체를 구성해 간송의 귀중한 문화재가 흩어지지 않고 보존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 전 중앙박물관장도 “우리 문화계 전체의 성숙된 역량이 필요하다. 국가 문화기관들이 적극적 역할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제안했다.  
 
박정호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