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ing silent on sexual harassment (KO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Keeping silent on sexual harassment (KOR)

IM JANG-HYUK
The author is a lawyer and deputy political news editorat the JoongAng Ilbo.


“I will do my best as the first female vice speaker of the National Assembly to help bring gender equality in our society,” said four-term lawmaker Kim Sang-hee as she took the post on June 5. The first female vice speaker of the legislature is a landmark event for women’s politics in Korea since Im Yong-sin (1900-1977) was elected a lawmaker in 1949.

Many female lawmakers were elect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yet it is far less than the OECD average of 28.8 percent as of 2017. Currently, 57 lawmakers, or 19 percent of our 300 lawmakers, are women. And 28 are with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The change of the situation may make the female speaker a natural development, but it did not happen so easily. It is a feat for female lawmakers and the DP’s efforts. During the nomination process, Rep. Nam In-soon, a third-term lawmaker and a member of DP’s leadership council, and other female lawmakers demanded a 30 percent quota for female candidates. In the nomination screening committee, many female DP lawmakers persistently called for sole nominations for female candidates.

The efforts the former women’s right activists showed in the process were surprising. Kim had headed Women’s Link and Nam was the head of the Korean Women’s Association United. Rep. Jeong Chun-sook led the Korea Women’s Hot Line and Rep. Jin Sun-mee served as the minister of gender equality in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se passionate people are silent in the aftermath of the death of Seoul Mayor Park Won-soon despite allegations made against him of sexual harassment. They also remained silent on the sexual harassment case of former Busan Mayor Oh Keo-don in April and the sexual assault case of former South Chungcheong governor Ahn Hee-jung. Those who raised the need for investigation were non-mainstream party members like Park Yong-jin and Kim Hae-young, both male.

By remaining silent, the female lawmakers chose “loyalty” to former mayor Park over the identity they carved on their resumes. What meaning can female voters find from their moves using “women’s rights” as a brand? Compared to their silence, I find it easier to interpret DP Chairman Lee Hae-chan’s mentality to curse at a reporter who asked about the party’s position on the Seoul mayor’s sexual allegations.


민주당 여성 의원들의 '의리'

“국회가 성 평등 사회를 앞당기는 데 기여하는 최초의 여성부의장으로 역사에 기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지난달 5일 여성 최초 국회 부의장이 된 김상희(4선) 의원의 취임사 일부다. 여성 부의장의 탄생은 1949년 고(故) 임영신 선생의 제헌의원 당선으로 시작된 제도권 여성정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여전히 OECD 평균(2017년 기준 28.8%)에 못 미친다지만 21대 총선에선 역대 가장 많은 여성 의원이 탄생했다. 현재 전체 19%에 해당하는 57명의 여성 의원 중 절반 정도(28명)가 민주당 소속이다. 그 중엔 4선 2명(김상희ㆍ김영주), 3선 6명(남인순ㆍ서영교ㆍ인재근ㆍ전혜숙ㆍ진선미ㆍ한정애) 등 중진급 의원들이 즐비하다.

이같은 상황 변화를 보면 여성 부의장 탄생은 자연스런 일일 수 있지만 쉽게 이뤄진 일은 아니었다. 민주당 여성 의원들의 조직적 투쟁의 성과였다. 이들은 공천 국면에서 남인순 최고위원을 앞세워 “여성 후보 30% 할당제 준수”를 외쳤고 이를 근거로 공천심사위원회에선 전혜숙ㆍ백혜련 의원이 여성 후보 단수 공천을 줄기차게 요구했다. 임기 개시 후엔 여성 부의장 탄생을 위해 당 지도부와 박병석 국회의장 후보를 압박했다.

이 과정에서 여성운동계 출신이 주력인 이들이 보여준 화력은 놀랍지만은 않았다. 김 부의장은 여성민우회, 남인순 의원은 한국여성단체연합, 정춘숙 의원은 한국여성의전화 대표 출신이고, 진선미 의원은 문재인 정부의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냈다. ‘부천서 성고문 사건’의 피해자로 이름이 알려졌던 권인숙 의원은 최근까지 여성학계의 명사였다.

그렇게 열정적이던 이들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사망과 성추행 피해자의 폭로가 이어지는 지금, 말이 없다. 최근 조문 여부와 2차 피해에 대한 입장을 묻기 위에 진선미 의원에게 수차례 연락을 취했던 한 여성 후배는 그의 보좌관으로부터 “굳이 대답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답을 들었다. 지난 4월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성추행 사건, 2018년 불거졌던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행 사건 때도 이들은 대체로 침묵했다. 당내에서 진상조사 필요성을 제기한 건 박용진 의원, 김해영 최고위원 등 비주류 남성들이었다.

이들은 침묵함으로써 결국 동지로서 맺은 박 전 시장과의 '의리'와 자신들이 이력서에 새겨 넣은 정체성 사이에서 전자를 택한 셈이다. 여성 유권자들은 이들이 ‘여성 인권’을 브랜드 삼아 쌓아 올린 선수(選數)에서 어떤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이들의 침묵에 비하면 오히려 성추행 의혹에 대한 당의 입장을 묻는 기자를 “후레자식”이라고 욕한 이해찬 대표의 심사가 해석하기 쉽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