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cal loophole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iscal loopholes (KO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proposed a rule aimed at limiting the debt-to-GDP ratio to 60 percent and the consolidated budget balance below 3 percent. The rule would mandate the government devise measures to solidify fiscal integrity through efficient spending and increased revenues. That’s a means to ensure the government’s fiscal health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Such fiscal guidelines have been pushed by the National Assembly since 2016, but without any sincere discussion. In the meantime, Korea’s national debt has snowballed due to the liberal administration’s spending on populist welfare programs amid an economic slowdown from the Covid-19 outbreak. Our national debt has exceeded 100 trillion won ($86.1 billion) this year alone after the government drew up four supplementary budgets. As a result, the country’s debt-to-GDP ratio is expected to increase to nearly 44 percent this year. For years, a 40 percent ceiling was considered a gold standard for fiscal integrity.

The Moon administration has been reluctant to introduce fiscal guidelines citing various reasons, including the need for fiscal stimuli in the battle against Covid-19. We welcome the government’s decision, albeit belated, to adopt guidelines.

But the problem is that the fiscal rule can be stretched when the need arises. We wonder if the government really can stick with the guidelines. For instance, they allowed the Finance Ministry to draw up next year’s budget without having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debt-to-GDP ratio and the fiscal deficit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even if one of the two requirements is not met, it is OK as the government can compromise with the other requirement.

Moreover, the guidelines cannot be applied during times of war, natural disaster and economic crisis. When the economy slows down, the government can ease the standards. The guidelines also allow the government to change them without intervention from the legislature.

A study by the National Assembly Strategy and Finance Committee shows that 159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fiscal guidelines. 103 of them implement them by law, while 14 execute them by constitution to ensure binding force. For example, Germany has managed to keep its fiscal debt-to-GDP ratio under 35 percent since 2009 because it’s mandatory. No wonder Germany is a frontrunner in fighting a prolonged battle against Covid-19 thanks to its strong fiscal balance.

The Moon administration will be tempted to spend more than ever in the face of the pandemic. The fiscal guidelines will surely help the government build a responsible and sustainable country instead of resorting to populist policies. But we wonder if its lax fiscal guidelines really can work. The government and the legislature must toughen the guidelines.



'구멍 숭숭' 재정준칙으로 나라 곳간 지켜낼 수 있나


정부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 60%, 연간 통합재정수지 적자 비율 3% 내로 관리하겠다는 내용의 재정준칙을 제시했다. 이 기준치를 넘어가면 정부는 지출 효율화와 수입 증대 같은 재정 건전화 대책을 의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나랏빚 폭증을 막아 재정 건전성과 국가 경쟁력을 지키기 위한 장치다.

재정준칙은 2016년부터 추진돼 왔으나 20대 국회에서는 제대로 논의조차 못 하고 폐기됐다. 그 사이 급속도의 복지 확대, 경기 침체, 코로나19 사태 등이 겹치며 나라가 빚더미로 몰렸다. 특히 올해는 네 번이나 추가경정예산이 편성되면서 국가채무가 100조원 넘게 늘었다. 팬데믹 위기 국면에서 재정 역할이 불가피했지만 선거까지 맞물리면서 국가채무 비율은 40% 중반을 바라보게 됐다.

이런 상황에서도 정부는 이런저런 이유로 재정준칙 도입을 미뤄왔다. 코로나19 특수 상황을 내세우면서 아직 재정의 여유가 있다는 청와대와 여당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이제야 도입 계획이 발표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만시지탄의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문제는 이렇게 발표된 내용이 구속성보다는 유연성에 지나치게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이다. 과연 제대로 된 준칙 구실을 할지조차 의심스럽다. 기재부는 국가채무 비율과 재정적자 비율을 동시에 지키지 않아도 되도록 한도 계산식을 짰다. 둘 중 하나가 기준치를 초과하더라도 다른 지표가 기준치를 밑돌면 준칙을 충족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게다가 전쟁, 대형 재해, 경제 위기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 한도를 적용받지 않는다. 경기가 둔화할 때는 재정적자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구체적 산식 등 세부 수치를 시행령으로 정하도록 해 정부가 국회 간섭 없이 기준을 바꿀 수 있는 여지도 마련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가재정법 개정 검토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 159개국은 이미 재정준칙을 갖고 있다. 이 중 법률에 근거를 둔 국가는 103개국, 아예 헌법에 명시한 국가는 14개국에 이른다. 그만큼 강한 구속성을 갖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독일은 2009년 헌법에 '부채 브레이크'를 도입해 2016년부터 재정적자 규모를 GDP의 0.35% 이내로 관리하고 있다. 강력한 준칙에 기반을 둔 든든한 재정이 유럽에서 가장 앞선 코로나 대책의 힘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핑계 없는 무덤이 없다고, 정부가 마음먹고 곳간을 풀겠다면 대지 못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재정준칙을 두는 이유는 이런 포퓰리즘의 유혹을 떨쳐내고 책임 있고 지속가능한 국가를 만들자는 것이다. 유연성보다는 구속성에 방점이 찍힌 준칙이 필요한 이유다. 느슨한 준칙이 재정 건전성을 지키는 보루가 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정부와 국회는 앞으로 남은 논의 과정에서 준칙다운 준칙이 마련되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