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lnerable class firs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Vulnerable class first (KOR)

Infectious diseases always hit vulnerable people and businesses first. After an alarming spike in new Covid-19 cases, restaurants and other businesses — in which human contact is unavoidable — have been directly affect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customers who canceled planned events aft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oughened social distancing from Sunday.
 
As a result, many restaurants across the country are cutting their work hours or shutting down. A glimmer of hope for an economic rebound thanks to the country’s relatively effective quarantine and disinfection activities has suddenly dimmed, pushing the socially weak into a newly vulnerable corner.
 
In reaction, political circles have jump-started discussions on doling out emergency disaster relief to the people as they did earlier. We welcome it. Recently announced statistics clearly show the outbreak’s impact on the livelihoods of the poor. With an overall reduction in household incomes, the earned incomes of the lowest income group — comprised of daily laborers and the self-employed — recorded a double-digit contraction. More worrisome is the prospect of a worsened economic situation for the socially weak class down the road.
 
The problem is who should receive such emergency relief. Korean society went through an extreme conflict over who should received the aid after the first outbreak of the virus in February. Despite a lively debate, the entire population got checks ahead of nationwide parliamentary elections in April. The repercussions of that populist handout are strong. We worry about the rapid deterioration of our fiscal health after three rounds of supplementary budgets, which led to a whopping 111 trillion won ($93.3 billion) deficit for the govern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alone.
 
Given such circumstances, the government must consider providing new relief checks only to those in need. Fortunately, the elections are over. In a promising sign, the government, ruling party and Blue House are leaning toward selective aid to the mid- and lower-income class. It seems appropriate for the government to offer emergency relief to the lower 50 percent income group, as was suggested in the first round of relief in May. The government can choose the recipients based on the amount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mium paid by the people, as before. But it will deepen our fiscal debt further as it calls for a fourth supplementary budget. Luckily, opposition leader Kim Chong-in is positive about the need for another supplementary budget. (Actually, he first mentioned the need for another supplementary budget.) As a consensus is forming, the government and National Assembly must provide the money to those in need swiftly.
 
 
 
2차 재난지원금은 취약계층에 한해 지원해야
 
가장 약한 고리부터 타격하는 것이 전염병이다.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식당을 비롯해 사람이 몰리거나 대면 접촉이 불가피한 업종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되고 행사와 모임이 잇따라 취소되면서다. 이 여파로 결국 점포 영업시간을 줄이고 문을 닫는 곳도 속출하고 있다. 방역의 성과에 힘입어 지난달 들어 코로나 불황에서 벗어나는가 싶던 희망이 갑자기 꺼지면서 경제적 취약계층의 삶도 다시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즉각 긴급재난지원금 논의에 나섰다. 마땅히 지원해야 한다고 본다. 우선 필요성이다. 마침 최근 발표된 올해 2분기 가계동향은 코로나19의 경제적 파장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가계소득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소득 최하위층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감소 폭이 동시에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이보다 더 큰 걱정은 최근 재확산 양상이 심해지면서 취약계층의 가계소득이 3분기에는 더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이유다.
 
관건은 재난지원금의 대상을 누구로 할 것이냐다. 국민은 이미 1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둘러싸고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 절실하게 필요한 사람에게만 집중해야 한다는 주장과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이 맞서면서다. 결국 당시 총선을 앞두고 포퓰리즘이 득세하면서 국민 100% 지급으로 결론이 났다. 그 후유증은 지금도 막대하다. 경기 위축에 따른 세수 감소와 정부의 과도한 재정지출로 나라 곳간이 바닥을 드러낸 가운데 추경까지 거듭되면서 올해 상반기에만 111조원에 달하는 천문학적 재정적자를 기록하게 됐다.
 
이런 사정을 고려하면 이번에는 지난 1차 때와 달리 도움이 꼭 필요한 취약계층에만 신속하게 지급하는 원칙을 세워야 한다. 마침 이번에는 1차 때와 달리 선거를 위한 선심성 지원의 필요성도 없어졌다. 전 국민이 모임과 활동을 자제하고 있어 지원금으로 소비를 활성화하기도 어렵다. 다행히 어제 고위 당·정·청 회의에서는 선별 지원에 무게가 실렸다. 더 심각한 상황을 고려해 재정 여력을 남겨두고, 일정 소득 기준의 중·하위 계층에 집중하자는 것이다.
 
 그 기준으로는 기획재정부가 1차 재난지원금을 논의할 때 최초로 제시했던 소득 하위 50%가 타당해 보인다. 이것조차 소득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논란이 있었지만,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하면 상당히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1차 지원 논란 때 결론이 났다. 사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추경을 통해 또 빚을 낸다는 부담이다. 그러나 야당에서도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내가 먼저 (필요성을) 얘기했다”며 긍정적이다.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꼭 필요한 사람에게 신속하게 지원하는 것이 정부와 국회의 역할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