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battle over public opin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battle over public opinion (KOR)

CHOI SUN-WOOK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If I were to sum up the atmosphere among the major employers’ groups opposing the so-called three corporate regulations — referring to the revisions to the commercial law, the fair trade law and the financial groups supervision law — I would say “resignation.” Their pain can be understood given the ruling Democratic Party’s (DP) majority of 174 seats and the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s (PPP) interim head Kim Jong-in’s support of the revisions.

On the employers’ part, the only power to put the brakes on the DP’s move is public opinion, but the public is not favorable to employers. The revision mandates that when a company selects the auditors of the board, at least one of them should be picked from outside. But average citizens would not regard the requirement as an infringement on management rights, as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ir lives. I am convinced by an analysis that local companies would feel burdened because the ruling party got the upper hand in a battle for public opinion by portraying it as a war to achieve a “fairer economy.”

Employers have decided to respond jointly to block the revisions. The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KEF) invited DP leader Lee Nak-yon on Oct. 6 and delivered its demands. The next day, four groups, including the Korea Federation of SMEs, got together and expressed opposition to the revisions. A source involved with one of the groups said they felt like they were doing what they could.

The power of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to promote the three revisions and make the opposition practically silent comes from anticorporate sentiment rather than the DP’s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On Oct. 7, analysis provided at the KEF chairpeople’s meeting found that the regulations on businesses will become stricter if they do not resolve anticorporate sentiment.

To block the regulatory laws, companies need to win public opinion, and the key is combating antibusiness sentiment. But holding a breakfast banquet at a five-star hotel in downtown Seoul and claiming that companies are struggling won’t help change that sentiment. The hypocrisy of pretending to be overly modest also would backfire, but they didn’t have to be so insensitive.

In the end, this is going to be a long war. The business owners are focused on blocking the three anticorporate laws. And they have to defend against tougher regulation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class-action lawsuits. If they want to block them all, they need to improve their image. As most citizens are only interested in ways to make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ies better, they don’t care which side wins between the labor and the management.

 
 
 
여론전에 뛰어든 경영계의 장기 과제
최선욱 산업1팀 기자
 
이른바 ‘기업규제 3법’(상법ㆍ공정거래법ㆍ금융그룹감독법 개정안)에 반대 의견을 내고 있는 주요 경영자 단체의 최근 분위기를 한 낱말로 종합하면 ‘체념’이다. 더불어민주당 의석만 174석인데다가,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지난달 “세 가지 법 자체에 대해서 거부할 입장은 아니다”고 말했기 때문이다.  
 
경영계 입장에서 여당 의석수라는 공식적인 권한을 제어할 수 있는 힘은 여론이다. 하지만 그마저도 만만치 않다. 회사가 감사위원을 뽑을 때 위원 1명 이상은 기존 이사가 아닌 다른 사람을 뽑아야 하는 등(상법 상 감사위원 분리선임) 경영권과 관련된 규제가 대부분이어서, 일반 국민이 보기엔 내 삶과 직결됐다고 느끼기 어려워서다. “우리 입장에선 ‘기업부담법’ ‘기업장악법’인데 민주당이 ‘공정경제법’이라는 이름으로 여론을 선점했다”는 한 경영단체의 분석도 수긍이 간다.  
 
경영계는 “그래도 막아야 한다”는 심정으로 공동대응을 하기로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6일 이낙연 민주당 대표를 불러 요구 사항을 전달한데 이어, 다음 날엔 중소기업중앙회 등 4개 단체가 모여 반대 의견을 함께 냈다. 한 경영자 단체 관계자는 “그래도 하는 데까지는 해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심정”이라고 전했다.
 
정부ㆍ여당이 기업규제 3법을 추진하고, 야당까지 사실상 침묵하게 만드는 힘은 여권 다수 의석보다 반기업 정서에서 나온다. 7일 아침 열린 경총 회장단 회의에서 “반기업 정서가 해소되지 않으면 기업에 대한 규제가 더 강해지면 강해졌지 완화되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 것도 이 때문이다.  
 
이처럼 경영계가 목표한 기업규제법 차단을 위해선 여론전에서 이겨야 하고, 그 필수 요소는 반기업 정서 해소다. 하지만 서울 도심 5성급 호텔에서 조찬 모임(7일)을 열어 “기업이 힘든 상황이다”고 주장하는 것으로는 이 같은 반기업 정서가 풀릴 것 같지 않다. 과도한 ‘서민 코스프레’라는 가식을 보여주는 것도 역효과를 부르겠지만, 이처럼 세세한 부분에서 트집 잡힐 필요는 없었다는 얘기다.  
 
결국 장기전이다. 지금 경영계는 기업규제 3법 방어에 집중하고 있지만, 집단소송법안과 노동 관련 법안 등 경영계가 꺼려하는 규제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이를 막고 싶다면 국민 실생활과 관련 있는 논리 개발과 이미지 구축은 지금부터라도 경영계가 서둘러야 할 과제다. 국민 입장에선 나와 내 공동체가 잘 살기 위한 방법이 궁금할 뿐, 노동계와 경영계 중 누가 이기든 상관이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