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ng journey of Korejskij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long journey of Korejskij (KOR)

CHANG HYE-SOO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sports team at the JoongAng Ilbo.


In the 1860s, Koreans started to migrate to Primorsky Krai in Russia. By the early 1900s, about 20 percent of the population were from Joseon (1392-1910). Russians called them “Korejskij,” meaning Korean in Russian.

After a socialist revolution led by the Soviet Union, Joseph Stalin suspected that the Korejskij had colluded with imperial Japan. From 1937 to 1939, 170,000 ethnic Koreans living in Primorsky Krai were forced to move to Central Asia. They settled in the new territory, started growing rice and continued their Korean lifestyle and culture.

In November 1989, the Berlin Wall fell, and the communist bloc in Eastern Europe collapsed. The Soviet Union was affected. In March 1990, Lithuania declared independence, followed by Georgia in April 1991. In August 1991, Estonia declared independence on the 20th, Latvia on the 21st, Ukraine on the 24th, Belarus on the 25th, Moldova on the 27th and Kyrgyzstan on the 31st.

On Dec. 12, Russia also declared independence. With Kazakhstan’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Dec. 16, the Soviet Union was dissolved. Nationalism prevailed in the countries that gained independence, and Kazakhstan and Uzbekistan, where ethnic Korean populations were large, were no exception. The Korejskij people were losing ground.

Writer Lee Hoe-sung, an ethnic Korean living in Japan, was born in Sakhalin in 1935. His father was from Hwanghae Province and was a migrant mine worker. He settled in Japan after World War II. In 1972, he became the first ethnic Korean to receive the Akutagawa Prize. He travelled to Sakhalin and Primorsky Krai in Russia and Central Asia to research topics related to Korejskij. His 1992 novel “Basin” is about the third identity that belongs to neither North Korea nor South Korea. As a Zainichi Korean, an ethnic Korean living in Japan, Lee saw himself mirrored in Korejskij.

Since 1988, the Korean government allowed Korejskij to regain Korean nationality or move back to their motherland permanently. They returned after 150 years. Ddaetgol Village in Ansan, Gyeonggi, and the Goryeoin Village in Gwangju are their communities.

Many Korejskij still live in hardship abroad. Arirang Nursing Home, a shelter for first-generation Korejskij, opened in Tashkent, Uzbekistan in 2010. As the facility is struggling due to Covid-19, the Korean government offered emergency medical assistance. Kudos for the good work. It is something a good country should do. A better country would offer the service as a system rather than by an order from the president.


 
 
카레이스키
장혜수 스포츠팀장
 
1860년대 이후 많은 조선인이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했다. 1900년대 초 연해주 인구 20%가 조선 출신이었다. 러시아인은 그들을 '한국의' '한국적인'이라는 뜻의 러시아어 '카레이스키'(коре́йский)로 불렀다. 사회주의 혁명으로 소련이 탄생했다. 이오시프 스탈린은 카레이스키와 일제의 내통을 의심했다. 1937~39년 연해주의 카레이스키 17여만명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시켰다. 카레이스키는 새 터전에서도 논농사를 지었고, 조선의 생활문화를 이어갔다.  
 
1989년 11월 독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다. 동유럽 공산정권이 연쇄 붕괴했다. 불똥이 소련으로 튀었다. 90년 3월 리투아니아, 91년 4월 조지아가 차례로 독립했다. 8월에는 에스토니아(20일), 라트비아(21일), 우크라이나(24일), 벨라루스(25일), 몰도바(27일), 키르기스스탄(31일)이 하루가 멀다고 뒤를 이었다. 같은 해 12월 12일 러시아마저 독립했다. 16일 카자흐스탄 독립을 끝으로 소련은 사라졌다. 독립한 국가마다 민족주의가 창궐했다. 카레이스키가 많던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도 그랬다. 카레이스키 입지는 좁아졌다.  
 
재일 소설가 이회성은 1935년 러시아 사할린에서 태어났다. 황해도 출신인 부친이 이주 탄광 노동자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에 정착했다. 그는 72년 한국인 최초로 아쿠타가와(芥川)상을 받았다. 소련 붕괴 직후 러시아 사할린과 연해주, 중앙아시아를 돌며 카레이스키를 취재했다. 92년 펴낸 장편 소설 『유역』(流域)이 그 얘기다. 남북한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채, 현지인도 한국인도 아닌 제3의 정체성. '자이니치'(在日) 이회성에게 카레이스키는 거울을 통해 본 자신이었다.  
 
정부는 1988년부터 카레이스키의 한국 국적 회복이나 영주 귀국을 허용했다. 이른바 '150년 만의 귀향'이다. 경기 안산시 땟골마을, 광주광역시 고려인마을이 이들의 집단 거주지다. 많은 카레이스키가 여전히 현지에서 힘겹게 살아간다. 2010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에 독거노인이 된 1세대 카레이스키 보호시설 '아리랑 요양원'이 개원했다. 시설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자 최근 정부가 긴급 의료 지원에 나섰다. 잘한 일이다. 그게 나라다. 다만, 권력자 말 한마디 대신 국정 시스템으로 그렇게 한다며, 그건 더 좋은 나라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