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break the deadlock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w to break the deadlock (KOR)

YOON SEOL-YOUNG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Kim Eung-yong, a legendary professional baseball manager, lamented the absence of two ace players, — “Dongryeol is gone and Jongbeom is gone”— when the two star players left the Haitai Tigers years back. But I have more anticipation for the exit of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and U.S. President Donald Trump from the international stage, at least when it comes to Korea-Japan relations.

Two weeks ago,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Director Park Ji-won and National Assembly representatives who are also members to the Korea-Japan Parliamentarians’ Union visited Tokyo. Park said that two heads of state are beginning to share the view that the two countries’ relationship should improve, sending positive signals for a potential trilateral Korea-China-Japan summit.

Rep. Kim Jin-pyo, a member of the inter-parliamentary group, made a dramatic suggestion to hold off the forced labor issue for now. Under that kind of “moratorium,” the liquidation of the assets in Korea owned by Japanese companies that were found guilty in a Supreme Court ruling would not be pursued for the time being. Luckily, Korean victims haven’t protested the idea. I have never seen such an aggressive approach since I started working as the Tokyo correspondent three years ago.

But Japan’s response is not that promising. Tokyo has not many any specific offers on how it would like to accommodate the issue of compensating the forced labor victims. Diplomatic analysts say Prime Minister Yoshihide Suga met with both Park and Kim’s group simply to ease deepening concerns from Washington. Suga only wanted to show U.S. President-elect Joe Biden that Japan did its part.

On the resumption of the director-level government meetings and the visit by high-level Korean officials, a Japanese government source said that they are not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the forced labor issue. Japanese officials said the proposed declaration between Suga and President Moon Jae-in is “unrealistic,” adding that Korea may be offering to help the Tokyo Olympics to use it for North Korea affairs. Local media didn’t forget to publish Suga’s comment that Korea should make a breakthrough.

On Suga’s part, he cannot ignore the Korea-Japan comfort women agreement. Suga, a cabinet minister for Shinzo Abe at the time, watched the whole process. As the comfort women deal he had persuaded Abe to sign was scrapped by the Moon administration, it remains traumatic for him. Improving Korea-the Japan relationship means healing this trauma. We cannot expect it to be resolved at once or clear the distrust completely. That’s why we need a patient and sincere approach.

Fortunately, Suga didn’t mention “violation of the international law” when he met with Korean officials. I hope Japan will take a different approach this time.

 
 
 
 
"아베도 없고… 트럼프도 없고…"
윤설영 도쿄 특파원
 
해태타이거즈 김응용 감독은 “동렬이도 가고…종범이도 가고…”라며 두 에이스의 부재를 한탄했다지만, 아베 신조 일본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퇴장은 기대감이 앞선다. 최소한 한일관계에 있어선 그렇다.  
 
지난 주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 김진표 의원 등 한일의원연맹 소속 국회의원들이 일본을 다녀갔다. 박 원장은 “양국 정상이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접근하고 있다”면서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김진표 의원은 “강제징용 문제는 잠시 봉합하자”는 파격적인 제안까지 했다. 일본 피고기업의 자산 현금화가 당분간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일종의 ‘모라토리엄 선언’이다. 손을 쓴다는 얘긴 아니지만, 피해자 측에서도 이런 제안에 반발하지 않고 있다. 도쿄에 부임한 지난 3년간 이렇게 전향적인 메시지가 한꺼번에 쏟아진 적이 있었나 싶을 정도로 적극적인 어프로치다.  
 
그러나 일본의 반응이 시원치 않다. 핵심현안인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문제에 대해 일본이 수용할 만한 구체적 제안이 오지 않았다는 이유다. 스가 총리가 박 원장, 김 의원 일행을 다 만난 건 “단지 미국을 의식한 제스처”라는 분석도 나왔다. 바이든 당선인 측에 “우리도 할 만큼 했다”라는 걸 보여주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한일 국장급 회의 재개와 잇따른 한국 고위급 인사 방문에 대해 “강제징용 문제 해결과 연관성이 1㎜도 없다”면서 아예 기대를 싹둑 잘라버렸다. ‘문재인·스가 선언’ 제안에 대해선 “비현실적”이라거나 “도쿄올림픽을 돕겠다는 건 북한관계에 이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도 관저 주변에선 나온다. 언론들은 방점은 “한일관계를 건전하게 되돌릴 계기를 한국이 만들어달라”는 스가 총리의 발언에 있다는 점을 빠뜨리지 않았다.  
 
스가 정권에서 한일관계를 보려면 ‘한일 위안부 합의’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2015년 아베 정권의 관방장관었던 스가 총리는 합의체결 과정을 속속들이 지켜봤다. 아베 총리를 설득해 성사시켰던 위안부 합의가 휴지쪼가리가 되어버린 사건은 스가 총리에게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한일관계를 개선한다는 건 이 트라우마를 바로잡는 과정이다. 단숨에 해결될 수도, 불신이 말끔하게 없애는 것도 기대할 수 없다. 참을성 있게 그리고 진정성 있게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다행이라면 스가 총리가 한국 측 인사를 만난 자리에서 ‘국제법 위반’이라는 말은 쓰지 않았다. 일본 측에도 공식에 얽매이지 않는 발상의 전환을 기대한다. 아베도 없고 트럼프도 없는 시대엔 좀 더 적극적인 상상력이 필요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