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ing regulat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ixing regulations (KOR)

 PARK SU-RYON
The author is a senior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


I didn’t know things would be like this ten years ago.

The Biden administration is about to censure Silicon Valley tech companies. President Joe Biden nominated Columbia Law School Professor and “Amazon sniper” Lina Khan for Commissioner of the Federal Trade Commission.

She has become famous for precisely addressing the loopholes of the current antitrust law based on the 20th century world order. The Biden administration accepted Khan’s argument that defining monopolies based on consumer benefits cannot regulate Amazon, which dominated the market with the lowest price and fast delivery.

Alibaba was once the pride of Chinese capitalism, but it is in crisis lately. The company has been fined $2.8 billion by the Chinese government, the heaviest fine in China’s history. The financial authorities also demanded founder and chairman Jack Ma sell his shares of financial subsidiaries, according to a Reuters report.

Is this all because of Ma’s blunt remarks? Not necessarily. Compared to other Chinese businessmen who collapsed because of fraud or embezzlement charges, the reasoning for imposing the fine on Alibaba is based on market principles. Alibaba is charged with forcing vendors on its shopping mall not to sell on other platform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reviewing their regulatory framework because the market has changed. They are trying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new stars to be born and reduce the shadow of new industries. Ten years ago, the Obama administration nurtured Silicon Valley, but Biden, who was the vice president back then, is shaking big tech. Even China is creating different standards based on the nature of internet and platform industries.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 wants to design a new order by creating laws for fair online platforms. But they lack understanding of the market, as they are drafting a law regulating even unprofitable start-ups for abusing platform influence.

Controversies are repeated as the regulator sticks with existing regulations. The issue of designating the heads of the companies with more than 5 trillion won ($4.48 billion) in assets is also problematic. That’s a regulation made 30 years ago to prevent conglomerates, which grew and monopolized certain markets with the government’s financial assistance, from trying to turn the earnings of their shareholders into family profit. Four years ago, Naver was selected for the designation of conglomerate head, and this time, Coupang was chosen.

Naver and Coupang are different from existing chaebol. They grew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government, and there are already shareholders watching them. Even the founder should be ready to step down if the board of directors votes to oust them, as in Uber and WeWork. Would regulating these companies as chaebol help encourage competition? With so many old, new and changing regulations, start-ups are forced to seek out executives with some sort of legal background. This is the reality in Korea.


변해야 산다, 규제도…
박수련 팩플 팀장


10년 전만 해도, 이럴 줄은 몰랐다.

#1. 바이든 정부는 밖(유럽)에서 뺨 맞고 온 내 자식(실리콘밸리 기술기업)을 더 크게 혼낼 기세다.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 격인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에 ‘아마존 저격수’ 리나 칸 컬럼비아대 로스쿨 교수를 지명했다. 그는 20세기 질서에 기댄 현재 반(反)독점법의 허점을 짚은 영민함으로 유명해졌다. ‘소비자 편익’ 기준으로 독점 여부를 따져서는 ‘최저가-빠른 배송’으로 시장을 장악한 아마존을 규제 못 한다는 칸의 주장을 바이든 정부가 택했다.

#2. 한때 ‘중국식 자본주의’의 자랑이던 알리바바가 위기다. 중국 정부로부터 3조원대 벌금을 맞았다. 중국 역사상 최대 규모. 금융당국은 창업자인 마윈 회장에게 금융계열사 지분 매각도 요구했다고 한다(로이터). 이게 다 마 회장의 입바른 소리 때문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사기나 횡령 혐의로 낙마한 기존 중국 기업인들에 비하면, 알리바바 벌금 사유는 지극히 시장주의적이다. 자사 쇼핑몰 입점 상인들에게 타사 플랫폼엔 입점하지 못하도록 강요한 혐의(반독점법 위반)다.

세계 각국이 규제의 틀을 손보고 있다. 시장의 판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새로운 스타(기업)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신산업이 남긴 그늘은 줄이기 위해서다. 10년 전 오바마 정부는 실리콘밸리를 키웠지만, 그때 부통령이던 조 바이든은 이제 빅테크 기업을 뒤흔들어야 하는 역할을 맡았다. 중국마저도 인터넷·플랫폼 산업 속성에 따라 다른 잣대를 만들고 있다.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도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을 추진하며 새 질서를 짜겠다고 한다. 그러나 시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일까. 아직 이익도 못내는 스타트업들마저 ‘플랫폼 갑질’로 규제하는 법안을 그리고 있다. 그런가하면 기존 질서를 방치해 논란을 반복한다. 자산 5조원 이상 기업들에 총수를 지정하는 문제가 그렇다. 정부의 금융지원으로 특정 시장을 독과점하며 성장한 대기업이 주주(한때는 정부)의 이익을 가문의 이익으로 둔갑시키는 걸 감시하기 위해 30여 년 전 만든 규제다. 4년 전에 네이버가, 이번엔 쿠팡이 총수 지정 대상이 됐다.

네이버나 쿠팡, 또 미래에 그 체급에 이를 기술기업들은 기존 대기업들과 체질이 다르다. 정부 지원 없이 컸고, 감시하는 주주도 이미 많다. 창업자라도 능력이 부실하면 이사회 결의에 따라 물러날 각오도 해야한다. 우버나 위워크가 그랬다. 이런 기업들을 정부가 과거 대기업 다루듯 규제한들,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까. 새로 생기는 규제는 저렇고, 수정됐어야 할 규제는 이렇다보니 요즘 스타트업들은 법조인 출신 임원을 찾는다고 한다. 한국의 현실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