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start talking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ime to start talking (KOR)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dismissed a lawsuit filed by the bereaved families of Korean victims of Japan’s forced labor during World War II against 16 Japanese companies. The court on Monday ruled that Korea is subject to the 1965 claims settlement agre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court said that though individuals’ rights to claim damages were not terminated, exercising the rights through litigation is restricted. That’s the opposite of the 2018 ruling by the Supreme Court in a separate suit, which ordered Japanese companies in Korea to compensate surviving victims for their labor. After Japan strongly opposed the court’s ruling citing Korea’s violation of the 1965 settlement agreement, Seoul-Tokyo relations hit rock bottom, where they remain.

With the two divergent court rulings, a legal battle over wartime forced labor will certainly be prolonged. No one knows how long it will take until the latest ruling will be upheld or dismissed by the top court in Korea. But we cannot wait for a final ruling indefinitely, as we cannot leave the diplomatic schism unattended any longer.

After the court’s ruling for compensation in 2018,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said it could not but respect the decision. With the reversed ruling this time, the government cannot show the same reaction as in 2018. The time has come for South Korea to settle the dispute through diplomacy. If the Moon administration had approached the issue actively before or after the 2018 court ruling, it could have prevented unnecessary diplomatic friction with Japan. We hope the government finds an effective solution both sides can accept.

Japan also must accept Korea’s call for diplomatic consultations instead of demanding a definite end to Korea’s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s. In the beginning, Seoul showed a passive reaction to Tokyo’s demand for consult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eparation of powers, but the Japanese government has been refusing dialogue with the Moon administration for a while. Simply expressing the hope for building a so-called future-oriented bilateral relationship in the absence of available diplomatic channels is nothing but a pipe dream.

Fortunately, President Moon Jae-in and Japanese Prime Minister Yoshihide Suga plan to attend the G7 Summit in London from Friday through Sunday. The two leaders have not had a face-to-face meeting since Suga took office in September last year. Japanese media reported that they will have a short conversation — more of a greeting — instead of an official summit on the sidelines of the summit.

The two countries share many tough challenges such as North Korea’s uninterrupted pursuit of advanced nuclear weapons and the never-ending Sino-U.S. contest, not to mention their protracted disputes over history. A lack of summit meetings certainly benefits no one. President Moon and the foreign ministry must do their best to hold a bilateral summit in London to help clear all the obstacles between the two countries.


엇갈린 강제징용 판결...외교적 타협으로 풀어야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와 유족이 일본 기업 16곳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소송이 법원에 의해 각하됐다. 서울중앙지법 재판부는 7일 “대한민국은 국제법적으로 (1965년의) 한일청구권협정에 구속된다”며 “개인청구권이 소멸하거나 포기됐다고 할 수는 없지만 소송으로 이를 행사하는 것은 제한된다”고 판시했다. 다른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낸 소송에서 2018년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내린 판결과는 정반대의 판단이다. 일본 정부가 1965년 청구권협정에 위배된다는 논리로 반발함으로써 역대 최악의 수준으로 냉각된 한·일 갈등은 아직 회복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대법원 판례와 엇갈리는 판결이 나옴으로써 강제징용 문제를 둘러싼 법적 공방은 더욱 길게 이어질 것이 틀림없다. 원고단이 항소하고 또다시 대법원 최종결론이 나기까지 얼마의 시간이 더 걸릴지 알 수 없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마냥 사법부의 판단만을 기다릴 수는 없다는 점이다. 그것은 피해자 구제의 관점에서도 그렇고, 악화된 한·일 관계를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외교적 관점에서도 마찬가지다. 판결이 엇갈리는 만큼 “사법부 판단을 존중한다”는 정부의 논리는 명분과 현실성이 약해졌다.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슬기로운 해법을 만들고 일본과의 협의를 거쳐 외교적으로 해결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2018년 대법 판결이 나기 전부터, 혹은 그 이후에라도 정부가 적극적인 자세로 나섰더라면 피해자 구제 지연과 불필요한 외교적 혼란을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미 학계나 정치권에서 제기된 여러 방안 가운데 피해자와 일본이 모두 받아들일 수 있는 공통분모를 찾으면 된다.

일본도 “한국이 국제법 위반 상태를 해소하라”는 말만 반복하지 말고 진지하게 외교적 협의에 응해야 한다. 한때는 한국이 3권분립을 내세우며 일본의 협의 요구에 소극적이었지만 언젠가부터는 일본이 대화를 거부하는 정반대의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외교 채널을 통한 대화가 거의 단절되다시피 한 상태에서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를 만들어 가자는 말은 구두선에 불과할 뿐이다.

때마침 11일부터 런던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함께 참석한다. 지난해 9월 스가 총리 취임 이래 양국 정상은 아직 얼굴을 맞댄 적이 없다. 이번에도 한·일 정상의 만남이 정식 회담이 아니라 상견례와 함께 잠간 환담을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될 것이란 보도가 일본 측에서 나오고 있다. 과거사 문제 이외에 북한 핵무장, 미·중 대립 등 협력할 일이 산적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정상회담조차 열지 못하는 관계는 두 나라 모두 이로울 게 없다. 문 대통령과 외교 당국은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일본도 전향적인 자세로 대화에 응해줄 것을 촉구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