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membering Hong Kong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Remembering Hong Kong (KOR)

Chae Byung-gun
The author is an international, diplomatic and security news director of the JoongAng Ilbo.

From the 1980s to the early ‘90s, movies rom Hong Kong were popular in Korea. I’d never been to Hong Kong, but I had to be quiet in conversations with peers without knowing about movies like “A Better Tomorrow” and “A Chinese Ghost Story.” All notable Hong Kong actors started in the “Better Tomorrow” series, and Korean men in their 20s at the time raved over it.
What made Hong Kong movies so popular? They had something Korean movies didn’t have.

During the military regime, Korean films and popular arts were created in an age of forbidden rules with layers of taboo. Political criticism and cultural imagination were restricted, and it was a time of frustration and invisible limits on reason and emotion. In retrospect, young Koreans felt the unrestricted freedom of emotion in Hong Kong movies in our own monochromatic world.
But Hong Kong movies are in decline. Among the many reasons, the critical cause was the return of Hong Kong to China in 1997. The year 2000 was the start of “cultural obedience.”

As Beijing’s grip tightened, resistance to keep the original Hong Kong continued through democratization protests, but they ended in vain. Hong Kong is now a part of China that has to follow the lead of the Communist Party. Especially after the National Security Law, criticism of the system and self-repentant arts and culture have lost their place in Hong Kong. The Hong Kong National Security Law stipulates that diversion from the state, subversion, and collusion with foreign powers are subject to punishment. In other words, questioning the system is “divergence from the state” and a documentary on democratization protests by international human rights groups is punishable for collusion. On July 2, the biggest festival of China and the centennia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Xi Jinping sai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fully controls and governs Hong Kong and Macau.

Art and culture stimulates humans with creativity for something new. Creativity stirs your emotions the moment you hear or see it. Creativity begins with resistance, challenging authority and a desire for diversity. The biggest enemy of art and culture is monism combined with a distorted or stubborn belief, such as nationalism or racism.

Can contemplation on political and social authority be found in Hong Kong films in the futur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he Hong Kong authorities announced on June 11 that they would begin censorship on films harming national security. In addition to violent, sexual and vulgar conten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will be subject to censorship and be restricted from distribution.
Artists in Hong Kong are applied not only legal and ideological controls but also social controls. Patriotic Chinese people demand filmmakers revealing the pains or problems of China apologize. The actors in the Hong Kong films playing masculine characters either express their support for China on social media or remain silent on sensitive issues.

The memories of Hong Kong as “Fragrant Harbor” from the 1980s is quickly disappearing into the past.


홍콩은 간다
채병건 국제외교안보디렉터


80년대를 지나 90년대 초까지도 홍콩 영화는 한국에선 트렌드였다. 홍콩을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지만 '영웅본색'과 '천녀유혼'을 모르고선 동년배의 대화에서 입을 닫고 있어야 했다. 홍콩의 대표적 남성 배우들은 모두 출동시킨 듯한 영웅본색 시리즈에 그 당시 한국의 이대남들은 피가 끓었다.

그때의 홍콩 영화가 한국을 휩쓸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 영화에는 없는 무엇이 있었기 때문이다. 80년 중반 군사정권 시절까지 한국 영화와 대중 예술은 금기 속에 금기가 양파처럼 겹겹이 포개져 있는 ‘금칙의 시대’에서 만들어져야 했다. 정치적 비판은 물론 문화적 상상력까지 제약을 받았던, 뭐라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답답함의 시절, 보이지 않는 제약이 이성과 감성을 둘렀던 시절이었다.

돌이켜 보면 회색과 같은 무채색의 세상이었던 그때 한국 젊은이들은 홍콩 영화에서 감성을 마음껏 풀어헤쳐 놓는 자유를, 막힘이 없는 호흡을 느꼈다.

그랬던 홍콩 영화가 석양에 지고 있다.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이 결정적 계기다. 반환 이후 맞는 2000년은 홍콩엔 ‘문화적 복종’의 시작을 예고하는 밀레니엄이었다.

베이징의 장악력이 세질수록 홍콩에선 민주화 시위로 오리지널 홍콩을 지키기 위한 저항이 계속됐지만 무위로 끝났다. 홍콩은 이제 공산당의 선도를 따라 지침에 복종해야 하는 중국의 일부일 뿐이다. 특히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후 홍콩에서 체제 비판과 자성의 예술 문화는 설 자리를 잃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은 국가 분열, 국가 전복, 외국세력과 결탁 등을 처벌 행위로 명문화했다. 즉 체제를 의문시하면 ‘국가분열죄’로, 국제 인권단체가 참여하는 민주화 시위 다큐멘터리는 ‘결탁죄’로 처벌받게 된다. 중국의 최고 축제일이자 중국 공산당 100주년 기념일인 2일 시진핑 국가주석은 기념 연설에서 “중앙 정부는 홍콩과 마카오에 대한 전면 관리와 통치를 하고 이들 특별행정구는 국가보안법을 시행해 사회 안정을 지켜야 한다”고 다시 한번 못 박았다.

문화 예술이 인간을 자극하는 힘은 새로움을 느끼게 하는 창의성에 있다. 보고 듣는 순간 새롭다고 느끼도록 감성의 영역을 뒤흔드는 게 창의성이다. 창의성은 권위에 도전하는 반항과,각잡힘을 견디지 못하는 다양성을 향한 욕구에서 시작된다. 그래서 문화 예술의 가장 큰 적은 내셔널리즘, 인종주의처럼 왜곡되거나 고집스런 신념과 결합한 일원주의다.

홍콩 영화에서 앞으로 정치적ㆍ사회적 권위에 대한 사색을 찾아볼 수 있을까. 사실상 불가능하다. 홍콩 당국은 지난달 11일 국가보안법에 따라 국가안보를 해치는 영화에 대한 검열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기존의 폭력적ㆍ성적ㆍ저속한 내용 외에 국가안보 위해도 검열 대상으로 삼아 배급을 막는다. 홍콩 예술인들을 향해선 법적ㆍ이데올로기적 통제만 아니라 사회적 통제도 작동 중이다. 중국의 아픔이나 문제를 드러낸 영화인들을 향해선 애국주의로 무장한 중국 네티즌들이 사죄를 요구한다. 그 시절 남성미를 물씬 풍기던 홍콩 영화 속의 주인공들은 이젠 소셜미디어에 ‘중국 지지’를 찍으며 살고 있거나, 아니면 민감 현안엔 목소리를 삼간 채 침묵하고 있다.

80년대의 추억이 향기처럼 스며있던 '향항(香港)'이 과거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