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amlining government organizat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reamlining government organizations (KOR)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changed its name seven times since the founding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n 1948. Other offices — including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 also had to change their names several times.

According to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Reform (KAP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undergone 50 big and small reorganizations since its founding in 1948. That means the governmental organization did not last for more than two years. The government can argue that it had to reorganize to meet administrative needs for fast industrialization, growth, and democratization. Still, experts think hasty reorganization also played a part.

The transition team of President-elect Yoon Suk-yeol is also working on an organizational overhaul. Government ministries are vying to draw commerce and women’s affairs, among others. Various ideas have been tabled.

But frequent reorganization can cause negative impacts on memory and learning 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undermine policy making capabilities. A new government must set national tasks and can overhaul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o carry out plans. But over-anxiousness to try to make an impression of a new government can lead to failures. Minimizing the revamp can help draw approval from the legislature.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launched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after adding IT industrial policy to the existing Ministry of Industry and Resources. The strange name made many foreigners wonder what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really does. The title was scrapped five years later by the next government.

The basic principle of keeping the government lean and efficient must be kept. Developed countries with greater populations and bigger economy have fewer government offices. The United States has 15, Japan 13, France 16 and Germany 15, but Korea has 18. Just because Korea has more government offices, its administrative services does not excel.

If there are too many government offices, the public sector becomes outsized due to increased umbrella institutions. The government that has become oversized under President Moon Jae-in requires dieting. Office integration must be considered if the public sector is deemed too big and inefficient. The rationalization must put top priority on efficiency so that one minister does not oversee an overly enlarged ministry through integration.

Selfishness of government offices also must be kept at bay. Government reorganization should not be a matter for politicians or bureaucrats. The goal is to raise policy efficiency to better the lives for the people.
 
 
 
정부 조직개편 놓고 밥그릇 싸움 안된다  
 
통상/여성 등 놓고 관련부처 로비 가열
작고 효율적 정부라는 대원칙 지켜야
 
 
상공부, 동력자원부·상공부, 상공자원부, 통상산업부, 산업자원부, 지식경제부, 산업통상자원부-. 지금의 산업통상자원부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무려 일곱번 간판을 바꿔 달았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 등도 여러 번 이름이 바뀌었다.  
 
한국행정개혁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948년 정부 출범 후 지난 74년간 무려 50여 차례의 크고 작은 정부조직 개편을 했다. 정부 조직의 평균수명이 2년이 채 되지 않는 셈이다. 고속성장과 압축적 민주화에 따른 행정수요를 그때그때 정부조직에 반영했기 때문이라지만 정부조직을 졸속으로 개편한 탓도 크다는 게 학계 시각이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새 정부조직 개편을 검토 중이다. 통상, 여성 등의 기능을 끌어오기 위해 관련부처들이 로비하느라 여념이 없다고 한다.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지만 놓치지 말아야 할 게 있다.  
 
지나치게 자주 정부조직을 바꾸다 보면 행정조직의 기억과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부처의 정책역량을 훼손할 수 있다. 정권교체의 민심을 반영해 새 정부 나름의 국정과제를 만들고 이를 추진한 조직 개편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새 정부만의 색깔을 내겠다는 과도한 의욕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조직개편을 최소화하는 것은 국회합의를 이끌어내는 데도 유리하다. 이명박 정부는 정보통신(IT) 정책 등을 기존 산업자원부에 추가해 지식경제부를 출범시켰다. 당시 세간에 유행하던 ‘지식경제’를 따서 부처 간판을 달았지만 외국에서 부처 영문명(Ministry of Knowledge Economy)을 보고 ‘대체 뭐하는 부처냐’고 헷갈려 했다. 모양만 내려다 실속을 놓친 것이다. 결국 5년 만에 다시 간판을 내려야 했다.  
 
작고 효율적 정부라는 기본원칙은 지켜야 한다. 우리보다 인구, 경제 규모가 큰 선진국도 부처 수는 많지 않다. 미국 15개, 일본 13개, 프랑스 16개, 독일 15개 등 우리(18개)보다 적다. 정부 부처가 많다고 우리 정부의 행정서비스가 이들 나라보다 뛰어나다는 소리는 듣지 못했다.  
 
부처가 많으면 산하 공공기관이 늘어나고 결국 공공부문이 커진다. 문재인 정부가 지나치게 늘린 공무원 조직의 군살을 빼는 게 시급하다. 기능에 비해 공공부문이 너무 비대한 건 아닌지 심도있게 검토해 필요하면 부처 통폐합도 고민해야 한다. 다만 통폐합으로 ‘공룡 부처’가 탄생해 장관 한 사람이 통솔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지 않도록 효율적인 조직 설계가 필요하다.  
 
부처 이기주의는 경계해야 한다. 정부조직 개편은 정치인이나 공무원의 밥그릇을 위한 게 아니다. 정책품질을 높여 국민 삶의 질을 개선하는 게 가장 중요한 목표가 돼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