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ving up the privilege to immuni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Giving up the privilege to immunity (KOR)

Choi Hyun-ju
The author is a life and economic new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In England, where the parliamentary system was developed early, the biggest friction between the king and the aristocrats was taxes. In June 1215, King John signed the Magna Carta, or the Great Charter, which is called the “Bible of the British Constitution.” It states that taxes such as military service payment and special subsidy tax cannot be collected without the approval of the general meeting of the aristocrats. It is the cornerstone of taxation according to national law.
 
Successive kings did not properly follow this, and after Elizabeth I, the symbol of absolute monarchy, died unmarried in 1603, a distant relative, King James, ascended to the throne. The aristocrats ignored him for his lack of legitimacy. King James countered by arresting and imprisoning nobles for various reasons. The aristocrats strongly resisted and enacted the parliamentary immunity act. The law does not allow the king to arbitrarily arrest or detain a member of parliament. This was the beginning of immunity privilege.
 
In Korea, immunity privilege has continued from the Constituent Assembly in 1948. Article 44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at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shall not be arrested or detained without the consent of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session (from the opening day to closing day),  except in cases of flagrant delicto.” The law was often abused as a “criminal privilege.”
 
Lee Jae-myung, former presidential candidate of the Democratic Party, is creating controversy over “bulletproof candidacy.” Unlike previous candidates who took time to self-reflect after los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he announced a bid for a by-election in a district he does not have ties with. It happened four days after the police raided Seongnam City Hall in relation to donations to Seongnam FC. Suspicions related to Lee include preferential treatment for the Daejang-dong development project and private use of his official credit cards.
 
The People Power Party pressures him to “declare the renunciation of immunity” while the Democratic Party calls it “killing Lee Jae-myung.” Lee is not the only one who should renounce immunity. There are many others who are embroiled in corruption allegations and hide behind immunity. Seeing them jumping at demands to be investigated over allegations like other citizens, I wonder if they have any reasons why investigations should not proceed.
 
 
 
방탄출마
최현주 생활경제팀 기자
 
 
의회 제도가 일찍 발달한 영국에서 왕과 귀족 사이에 가장 큰 마찰은 세금이었다. 1215년 6월 존 왕은 ‘영국 헌법의 성경’으로 불리는 ‘마그나카르타’(대헌장)에 도장을 찍었다. 귀족 전체 회의 승인 없이 군역대납금‧특별보조세 같은 세금을 징수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 국법에 따른 과세의 초석이다.  
 
이후 왕들은 이를 제대로 따르지 않았고 절대 왕권의 상징인 엘리자베스1세가 1603년 미혼으로 숨을 거둔 후 먼 친척인 제임스 왕이 등극했다. 귀족들은 정통성을 빌미로 그를 무시했다. 제임스 왕은 다양한 이유로 귀족들을 체포해 감옥에 가두는 방법으로 맞섰고, 귀족은 이에 강력히 저항해 ‘의회특권법’을 제정했다. 왕이 자의적으로 의원을 체포‧구금할 수 없다는 법이다. 불체포특권의 시초다.  
 
한국에선 1948년 제헌국회부터 불체포특권이 이어졌다. 헌법 44조에 ‘국회의원은 현행범인인 경우를 제외하고 회기(개회일~폐회일) 중에 국회 동의 없이 체포 또는 구금되지 않는다’고 명시됐다. 이 법은 군사독재 정권에 맞서는 야당 의원의 국회 활동을 보장하는 역할을 톡톡히 했다. 그런데 이 법을 ‘범죄특권’으로 악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일단 당선돼 당장 처벌을 피하고 시간이 지나 수사가 유야무야하길 기다리는 식이다.  
 
이재명 민주당 상임고문이 ‘방탄출마’ 논란에 휩싸였다. 그는 대선 패배 이후 자숙의 시간을 가졌던 역대 후보와 달리 대선 58일 만에 연고가 없는 지역의 보궐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경찰이 ‘성남 FC 후원금’ 관련해 성남시청을 압수수색한 지 4일 만이기도 하다. 이 고문 관련 의혹은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법인카드 유용' 등도 있다.  
 
여당은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하라”고 압박하고 야당은 “이재명 죽이기”라고 맞서고 있다. 불체포특권을 포기해야 할 대상이 비단 이 고문만은 아니다. 여야를 막론하고 온갖 의혹이 난무하지만, 불체포특권 뒤로 피해있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렇다고 불거진 의혹에 대해 일반 국민처럼 수사를 받으라는 주장에 그들이 펄쩍 뛰는 모양새는 이런 생각하게 한다. 수사가 진행되면 안 될 이유가 있는 걸까.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