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a republic of prosecutor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uilding a republic of prosecutors (KOR)

Out of 14 commissioners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since its founding in 1999, 13 were bureaucrats or experts in the financial field. Overseeing the financial watchdog requires high-level expertise. An exception was a former lawmaker with a civilian activist background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e was short-lived.

A former prosecutor with expertise in financial crimes has been named as the new governor of the FSS. Lee Bok-hyun served as a senior prosecutor at the Seoul Northern District Prosecutors’ Office. After majoring in economic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Lee passed the bar exam and certified public accountant exam. He had been involved in investigations of bribery at Hyundai Motor, the cheap sale of Korea Exchange Bank to Lone Star and the power abuse of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He approached compani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in the context of financial crime.

With Lee’s appointment, the stalled investigations on Lime and Optimus Asset Managements could pick up. But the FSS’s role goes beyond crime.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gave high scores to the candidate for his ability to carry out investigations to ensure economic justice. But the financial community could feel intimidated by the new commissioner.

President Yoon Suk-yeol’s favoritism toward prosecutors went too far. He has seated former prosecutors in key posts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and intelligence. His loyalists from top law enforcement have come to dominate ministerial and vice-ministerial posts at the justice ministry as well as at the assistant ministerial-level at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secretary to the prime minister and head of the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to name a few. Kang Soo-jin, a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Law School floated as candidate for the head of the Fair Trade Commission, also comes from the prosecution.

The Democratic Party (DP) accused Yoon of envisioning a “republic of prosecutors.” Even the People Power Party (PPP) believes it’s excessive.

Yoon ran for president as soon as he retired as prosecutor general after 26 years in the prosecution. His resource pool could be restricted to prosecutors. But if he seats a former prosecutor at the top of the financial watchdog, he goes overboard. The move goes against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Given the strict work culture of the prosecution, the new administration could fall into a collective mindset.

President Yoon said the principle of appointment is to recruit the right person to the right post. The presidential office ensures it pays heed to critical voices and endeavors to recruit competent figures. Given its past choices, however, it raises questions over what endeavors it has really been making.
 
 
 
금감원장까지 검찰 출신…'검찰공화국' 만드나
 
검찰편중 비판에도 이복현 전 검사 내정
과연 적재적소 유능한 인물 쓰는 게 맞나
 
 
1999년 금융감독원이 설립된 이래 원장 14명 중 13명은 관료거나 전문가였다.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자리여서다. 유일한 예외가 문재인 정부 때 시민단체 출신 정치인인데 단명했다.  
 
어제 금융감독원장으로 특수통 검사인 이복현 전 서울북부지방검찰청 부장검사가 내정됐다. 초유의 검찰 출신 금감원장이다. 이 원장이 서울대 경제학과 출신으로 공인회계사란 점에서 여느 검사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대차 비자금 사건이나 론스타 외환은행 헐값 매각사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농단 사건 등의 수사참여에서 보듯, ‘범죄’란 프리즘으로 기업과 금융을 바라봤던 사람이다.  
 
그간 봐주기 논란을 빚은 라임·옵티머스 사건 재수사는 물론 각종 금융범죄 수사를 원활히 지원할 순 있겠으나 금감원의 업무는 그 이상이다. 금융위에선 “굵직한 경제범죄 수사 업무에 참여해 경제정의를 실현한 경험을 바탕으로, 금융회사의 준법 경영환경을 조성하고, 금융소비자 보호 등 금융감독원의 당면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적임자로 평가됐다”고 했던데, 과연 적임자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더군다나 경제계에선 특수통 검찰에 대해 “누구나 잡아들일 수 있다”는 불안감을 갖고 있다. 이번 인사로 금융권을 위축시킬 수도 있다.  
 
더 우려되는 건 윤석열 정부의 검찰중용 흐름의 고착이다. 윤 대통령은 인사·정보가 모이는 요충지에 검찰출신을 배치해 왔다. 법무부 장·차관은 그렇다 쳐도 국정원 기조실장, 국무총리 비서실장, 법제처장, 대통령실 공직기강·법률·총무·인사비서관까지 ‘윤석열 라인’으로 채웠다. 공정거래위원장 후보로 거명되는 강수진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검찰 출신이다.  
 
야권에서 “윤석열 검찰라인이 검찰공화국을 향하고 있다”고 비판하는데 타당한 우려다. 오죽하면 여권에서도 “지나치다”고 하겠는가.  
 
윤 대통령이 역대 대통령과 달리 대통령으로서 준비 기간이 짧아 핵심 그룹을 확장할 틈이 없었던 점은 이해한다. 평생 검사였으니 신뢰할만한 사람들 대부분 검찰출신일 것이다. 하지만 독립성과 자율성이 요구되는 기관까지 검찰출신을 앉히는 건 과하다. 무엇보다 견제와 균형의 원칙에 맞지 않는다. 검찰 특유의 상명하복 문화까지감안하면 끼리끼리의 ‘집단사고’의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검찰 편중인사’란 비판이 집중적으로 제기되는 와중에도 또 검찰출신을 발탁한 건 오만해 보이기까지 한다.  
 
윤 대통령은 어제 “우리 인사 원칙은 적재적소에 유능한 인물을 쓰는 원칙”이라고 했다. 대통령실에서도 “내부적으로 (비판을) 잘 듣고 있다”면서도 “적재적소에 유능한 인사를 찾기 위한 노력은 변함없고 원칙은 흔들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금감원장 등 일련의 인사를 보며 어떤 원칙이고 어떤 노력을 했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