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rchitect of the Indo-Pacific polic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architect of the Indo-Pacific policy (KOR)

PARK HYUN-YOUNG
The author is the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There are several keywords the U.S. government repeatedly uses when explaining its Asian policy. First, the region is not referred to as Asia, but is called “Indo-Pacific.” In February, the document compiling the Biden administration’s Asia policy was published under the title “Indo-Pacific Strategy.”

The economic consultative body the U.S. had launched in Tokyo in May is the 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 Expressions like a “rule-based international order” and “freedom of navigation” are also used often. They mean checking on China and defending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Unexpectedly, the “origin” of these terms and concepts is the late Shinzo Abe, Japan’s former prime minister. The beginning was his speech at the Indian Parliament in August 2007, titled the “Confluence of the Two Seas.” Citing a book with the same title written by a Mughal prince in 1655, Abe argued that the Pacific and Indian Oceans are the seas of freedom and prosperity and that boundaries should be broken down. The concept of “Indo-Pacific” was designed to include India, the world’s largest democracy, while China, belonging to the Asia-Pacific, is excluded.

It was during the Donald Trump administration that the U.S. government adopted the concept of Indo-Pacific in its policy. The Trump administration announced the concept of a “free and open Indo-Pacific” in late 2017, 10 years after Abe delivered the address to India. White House Deputy National Security Adviser Matthew Pottinger admitted that the phrase was “borrowed” from Abe. The Biden administration, which focuses on erasing Trump’s policy, not only kept the Indo-Pacific strategy but also enhanced it. The QUAD, comprising America, Japan, India and Australia, was also inspired by Abe. It was initiated by Trump and developed into a summit in the Biden administration.

The background of the cooperation betwee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s China. They need to contain the rise and threat of China. The reality that America is limited to directly engaging in Asian affairs also played a part. In 2011, the Barack Obama administration declared a “Pivot to Asia” policy and decided to shift the central axis of foreign policy to Asia. But his objective was not achieved. The U.S. could not afford to pay attention to Asia as it was engaged in the Middle East and Europe. Japan also needed to protect its national interests after sensing the threat from China over the Senkaku Islands and a dispute over rare earth materials.

You can pursue your interests, but you can achieve nothing if you seek after your interests only. The Indo-Pacific concept was the fruit of a politician’s belief, will and strategy to maximize Japan’s national interest and enhance Japan as a global leader. Seeing Washington insiders grieve Abe’s death, I wonder if Korea has such a leader.
 
 
 
아베, 미국 인도·태평양 정책 설계자
박현영 워싱턴특파원
 
 
미국 정부가 아시아 정책을 설명할 때 반복해서 쓰는 핵심어가 몇개 있다. 우선, 이 지역을 아시아라 하지 않고 ‘인도·태평양(인·태)’으로 부른다. 지난 2월 바이든 행정부의 아시아 정책을 집대성한 문건은 ‘인도·태평양 전략’이란 이름으로 발표됐다. 미국이 지난 5월 도쿄에서 발족한 경제협의체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다. 자유롭고 개방된, 평화와 번영, 규칙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 항행의 자유 같은 표현도 있다. 중국을 견제하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옹호한다는 의미다.  
 
뜻밖에도 이런 용어와 개념의 ‘원조’는 아베 신조 전 일본총리다. 2007년 8월 인도 의회에서 한 연설 ‘두 바다의 교차점’이 출발점이다. 아베는 1655년 무굴제국 왕자가 쓴 동명 저서를 인용해 “태평양과 인도양은 자유와 번영의 바다”로서 경계를 허물고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옛 표현인 ‘아시아·태평양’에 속한 중국을 빼고, 세계 최대 민주주의 국가 인도를 넣는 ‘인도·태평양’ 개념을 설계했다.
 
인·태 개념을 미 정부가 정책으로 채택한 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때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말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개념을 발표했다. 아베가 인도 연설을 한 지 10년이 지난 뒤였다. 매슈 포틴저 백악관 국가안보 부보좌관은 이 문구를 아베로부터 "빌려왔다"고 전한다. 트럼프 정책 지우기에 열중한 바이든 행정부도 인·태 전략만큼은 유지했을 뿐 아니라 더욱 키웠다. 역시 아베가 영감을 제공한 미국·일본·인도·호주 4국 협의체 ‘쿼드’는 트럼프 때 시동을 걸어 바이든 때 정상회담으로까지 발전했다.
 
일본과 미국이 의기투합한 배경에는 중국이 있다. 중국의 부상과 위협을 억제할 필요성 때문이다. 미국이 아시아 문제에 직접 나서는 데 한계가 있는 현실도 한몫했다. 2011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피벗 투 아시아(Pivot to Asia)’를 선언하면서 대외정책 중심축을 아시아로 옮기기로 했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중동과 유럽에 매달리느라 여력이 없는 미국,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과 희토류 갈등으로 중국의 위협을 실감한 일본의 국익이 맞아 떨어진 결과다.  
 
내것을 추구하되 내것만 추구해선 이룰 수 있는 게 없다. 인·태 개념은 일본국익을 극대화하고, 일본을 글로벌 선도국가로 올려놓겠다는 한 정치가의 신념과 의지, 지략이 빚어낸 결실이다. 아베를 잃고 안타까워하는 워싱턴 사람들을 보며 한국도 그런 지도자를 가졌는지 돌아보게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