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s no ‘good-willed’ investmen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re’s no ‘good-willed’ investment (KOR)

PARK SU-RYEON
The author is the head of Factpl team of the JoongAng Ilbo.

I use a tumbler instead of disposable cups, diligently sort my recycling and try not to keep the air conditioner on for too long. But I often feel helpless and wonder if my contribution really helps the problem. The wildfires and floods recurring across the world threaten more lives each year. I cannot relieve my guilt with the duties of an ordinary citizen.

The fastest capitalist way to turn collective anxiety into a driving force for change is money. In January 2020, Larry Fink, chairman of BlackRock, the largest asset management company in the world, started it with one email. He wrote that whe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climate change risk and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will be considered first, and declared a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finance. Liberal politicians and businessmen raved over the “good capital” unwilling to invest in companies close to fossil fuels. The fossil fuel industry and the U.S. conservatives did not acknowledge the climate crisis itself. But the world had high hopes for BlackRock.

However, BlackRock recently betrayed expectations, saying it was against the interests of the clients who entrusted their money to BlackRock to ignore fossil fuel-related investments in the era of high oil prices. The capital management agents have no power before returns and political pressure. From the beginning, expecting “good capital” was wrong. Money moves for profits. Humans put character on money and use it for political gains.

It is important to not be deceived by marketing slogans like “good capital” or “good investment.” The more “bad and dirty” framing is put on oil, gas and coal capital, the cost of conflict grows.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s nuclear phase-out policy based on the dichotomy of justice and injustice is one example.

Then what should we do? Money tells us what to do. Global climate technology start-ups are attracting investments. According to venture capital research firm Pitchbook, global investment on climate technology was $44.8 billion last year. In 2020, the amount was $22.1 billion. It is not because they are good money. If the global problem is solved, the fruits of the profit will return to global levels. Venture capital is rushing in for that “opportunity.”

In Korea, the climate technology ecosystem started to move from last year. But the speed of start-ups cannot keep up with that of money. Sopoong Ventures CEP Han Sang-yeob, who created a 10-billion-won ($7.5 million) climate technology fund, said, “As there are not many climate technology start-ups in Korea, it is more urgent to train master’s and Ph.D. holders in deep tech as entrepreneurs.” As Korea is experiencing natural disasters every season, this could be the role of the government policy funding. This is a market with opportunities across the world beyond semiconductors. I wish for smart investments from the government.
 
 
 
‘착한 투자’는 없다
박수련 팩플 팀장
 
 
종이컵 대신 텀블러를 쓰고, 재활용 쓰레기를 부지런히 분리수거하며, 가능한 에어컨을 오래 켜놓지 않으려 한다. 하지만 ‘내가 이런다고 해결될까’ 싶어 종종 절망스럽다. 전세계 곳곳에서 반복되는 산불에, 물난리 등 기후재난은 매년 더 강하게 삶을 위협한다. 소시민의 성실함으로 죄책감을 좀 덜어내는 수준으론 나를 지킬 수 없다.  
 
집단적 불안을 변화의 동력으로 가장 빨리 바꾸는 자본주의적 방법은, 돈이다. 2020년 1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이메일 한 통으로 시동을 걸었다. “투자결정시 기후변화 리스크와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가장 우선 고려하겠다”며 “금융의 근본적인 재구조화”를 선언했다. 화석연료와 가까운 기업엔 투자하지 않겠다는 ‘착한 자본’에 진보정치인과 기업인들이 환호했다. 기후위기 자체를 인정 않는 화석연료 산업과 미 보수진영의 비아냥이 없진 않았다. 그래도 블랙록에 거는 세계의 기대가 더 컸다.  
 
그런데 웬걸. 그 블랙록이 최근 기대를 배신했다. “고유가 시대에 화석연료 관련 투자를 외면하는 게 (블랙록에 돈을 맡긴) 고객이익에 부합하지 않다”는 이유였다. 수익률과 정치적 압박 앞에서 자본관리 대리인은 무력했다. 애초에 '착한 자본'이란 기대가 잘못됐다. 이윤 있는 곳으로 움직이는 게 돈이다. 그 돈에 인격을 입히고, 정파적으로 활용한 인간의 정치가 있었을 뿐이다.  
 
그래서 기후위기를 해결하려면 ‘착한 돈’이니 ‘착한 투자’라는 마케팅 용어에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석유ㆍ가스ㆍ석탄 자본에 ‘나쁘고 더럽다는 프레임을 씌울 수록, 갈등비용만 커진다. 에너지정책을 ‘정의 vs 불의’의 문제로 접근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그런 예다. 그럼 이제 뭘 해야할까.  
 
뭘 해야할지, 돈이 말해준다. 전세계 기후기술 스타트업에 투자금이 몰린다. 벤처캐피털(VC) 조사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기후기술 분야 투자는 448억달러(60조1440억원)에 달했다. 2019년 148억달러, 2020년 221억 달러에서 빠르게 늘었다. 착한 돈이어서가 아니다. 전지구적 문제를 해결한다면 그 이윤의 과실도 전지구적 규모로 돌아올 것이라서다. 모험자본은 그 ‘기회’를 보고 달려든다.  
 
국내에도 지난해부터 기후기술 생태계가 꿈틀댄다. 하지만 돈의 속도를 창업속도가 따라가지 못한다. 100억원 규모 기후기술 펀드를 조성한 소풍벤처스의 한상엽 대표는 “국내는 기후기술 스타트업 모수가 많지 않아, 딥테크(기반기술) 석박사 인재들을 창업자로 육성하는 일이 더 시급하다”고 말했다. 매 계절마다 기후재난을 겪고 있는 한국에서 정부 정책자금의 역할은 이런 데 있지 않을까. 게다가 반도체 이상으로 전세계에 기회가 있는 시장이기도하다. 정부의 착한 투자 말고, 똑똑한 투자를 기원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