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aking hands for what? (KOR)
Published: 22 Sep. 2022, 09:47
JANG WON-SEOK
The author is an S-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A handshake is a greeting in which two people extend one hand and grab the other’s hand. It was originally said to be a way to prove that one was not holding a weapon.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t is now the most commonly used greeting regardless of country or culture.
Handshakes produce lots of talk. Former Defense Minister Kim Jang-soo was once the talk of the town because of a handshake. During the 2007 inter-Korean summit, he shook hands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while keeping a straight posture without bowing his head. He earned the nickname, “stiff jangsoo.” Jangsoo in Korean means a general.
There is another well-known episode in which Park Geun-hye screamed when she shook hands with Lee Myung-bak during the 2006 presidential campaign. Supporters of both sides clashed over the incident, some wondering if Lee squeezed Park’s hand.
At a preliminary match before the Tokyo Olympics, national soccer team member Lee Dong-kyung slapped his opponent’s hand who asked for a handshake, after losing a game against New Zealand. He was criticized for being rude and had to apologize. During the Korea-U.S. summit in May 2021,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was criticized for diplomatic discourtesy as she wiped her hand after shaking hands with President Moon Jae-in.
A few days ago, Democratic Party (DP) lawmaker Kim Eui-kyeom controversially claimed that Justice Minister Han Dong-hoon intentionally staged a handshake scene. Kim said that Minister Han chased DP Rep. Lee Jae-jung to the elevator and asked for a handshake with her to look like a sign for cooperation. Expressing his strong disagreement, Han said that it was a “wrong fact.” In fact, they shook hands inside an event venue — not in the elevator — and it was Lee who asked for the handshake.
But what I want to ruminate over is what Kim said before the story. “I heard from Rep. Lee that former DP floor leader Yoon Ho-joong came to her mind. She avoided a handshake with Han intentionally so that she didn’t get a picture taken.” He was referring to how Yoon — then head of the emergency committee of the DP — was criticized after a picture of him smiling with first lady Kim Keon-hee, the wife of President Yoon Suk-yeol, was released. Politicians are not comfortable with greeting and shaking hands as it could make their supporters uncomfortable.
To a politician, a handshake is like breathing. It is an effective way to win the hearts of voters. There is a reason for saying “One vote for each handshake.” The perception of handshaking has changed a littl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but the handshake battle in political circles looks bizarre.
악수
장원석 스포츠팀 기자
악수는 두 사람이 서로 한 손을 내밀어 잡는 인사다. 옛날 옛적 적에게 무기가 없다는 걸 증명하려 한 게 기원이라고 한다. 매너에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해도, 국가나 문화권과 관계없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인사법이다.
악수는 많은 얘깃거리를 생산한다. 화제가 된 인물로 김장수 전 국방부장관이 있다. 그는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악수를 하면서 머리를 숙이지 않고 꼿꼿한 자세를 유지해 ‘꼿꼿장수’란 별명을 얻었다. 2006년 당시 대선 경쟁자였던 박근혜·이명박 대통령이 악수하다가 박 대통령이 소리를 지른 일도 유명하다. 잦은 악수로 손을 다친 상태였는데 “너무 꽉 쥐어 그런 것 아니냐”며 양측 지지자가 충돌하기도 했다.
축구 국가대표 이동경은 지난해 도쿄올림픽 축구 조별리그 뉴질랜드전 패배 후 악수를 청한 상대 선수의 손을 툭 치고 가버렸다. 매너 없는 행동이란 비판이 쏟아졌고, 결국 사과해야 했다. 2021년 5월 한·미 정상회담 때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한 후 손을 옷에 닦는 행동을 했다가 외교 결례란 지적을 받은 일도 있다.
며칠 전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악수 장면을 의도적으로 연출했다”고 주장했다가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한 장관이 같은 행사에 참석한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엘리베이터까지 쫓아가 악수를 요청하고, 이 장면을 협치로 포장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는 내용이다. 이에 한 장관은 “허위 사실”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실제로 두 사람이 악수한 장소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행사장 내부였고, 악수를 먼저 청한 것도 이 의원이었다.
더 곱씹어볼 대목은 김 의원이 전한 이야기의 앞부분이다. “이 의원한테 들었어요. 윤호중 의원이 생각이 났대요. 사진 찍히면 안 되니까. 그래서 일부러 피했답니다.” 지난 5월 김건희 여사와 만나 활짝 웃는 사진이 공개된 후 일부 당원으로부터 난타를 당한 윤호중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언급이다. 지지층에게 찍힐까 인사나 악수조차 편치 않은 속내다.
정치인에게 악수는 숨 쉬는 것과 같다. 유권자나 주변의 마음을 잡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악수 한 번에 한 표’란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악수에 대한 인식이 조금 변했다지만, 지금 정치판에서 벌어지는 악수 다툼은 가히 기이하다.
The author is an S-Team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A handshake is a greeting in which two people extend one hand and grab the other’s hand. It was originally said to be a way to prove that one was not holding a weapon.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t is now the most commonly used greeting regardless of country or culture.
Handshakes produce lots of talk. Former Defense Minister Kim Jang-soo was once the talk of the town because of a handshake. During the 2007 inter-Korean summit, he shook hands with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while keeping a straight posture without bowing his head. He earned the nickname, “stiff jangsoo.” Jangsoo in Korean means a general.
There is another well-known episode in which Park Geun-hye screamed when she shook hands with Lee Myung-bak during the 2006 presidential campaign. Supporters of both sides clashed over the incident, some wondering if Lee squeezed Park’s hand.
At a preliminary match before the Tokyo Olympics, national soccer team member Lee Dong-kyung slapped his opponent’s hand who asked for a handshake, after losing a game against New Zealand. He was criticized for being rude and had to apologize. During the Korea-U.S. summit in May 2021, U.S. Vice President Kamala Harris was criticized for diplomatic discourtesy as she wiped her hand after shaking hands with President Moon Jae-in.
A few days ago, Democratic Party (DP) lawmaker Kim Eui-kyeom controversially claimed that Justice Minister Han Dong-hoon intentionally staged a handshake scene. Kim said that Minister Han chased DP Rep. Lee Jae-jung to the elevator and asked for a handshake with her to look like a sign for cooperation. Expressing his strong disagreement, Han said that it was a “wrong fact.” In fact, they shook hands inside an event venue — not in the elevator — and it was Lee who asked for the handshake.
But what I want to ruminate over is what Kim said before the story. “I heard from Rep. Lee that former DP floor leader Yoon Ho-joong came to her mind. She avoided a handshake with Han intentionally so that she didn’t get a picture taken.” He was referring to how Yoon — then head of the emergency committee of the DP — was criticized after a picture of him smiling with first lady Kim Keon-hee, the wife of President Yoon Suk-yeol, was released. Politicians are not comfortable with greeting and shaking hands as it could make their supporters uncomfortable.
To a politician, a handshake is like breathing. It is an effective way to win the hearts of voters. There is a reason for saying “One vote for each handshake.” The perception of handshaking has changed a little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but the handshake battle in political circles looks bizarre.
악수
장원석 스포츠팀 기자
악수는 두 사람이 서로 한 손을 내밀어 잡는 인사다. 옛날 옛적 적에게 무기가 없다는 걸 증명하려 한 게 기원이라고 한다. 매너에 조금씩 차이가 있긴 해도, 국가나 문화권과 관계없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는 인사법이다.
악수는 많은 얘깃거리를 생산한다. 화제가 된 인물로 김장수 전 국방부장관이 있다. 그는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악수를 하면서 머리를 숙이지 않고 꼿꼿한 자세를 유지해 ‘꼿꼿장수’란 별명을 얻었다. 2006년 당시 대선 경쟁자였던 박근혜·이명박 대통령이 악수하다가 박 대통령이 소리를 지른 일도 유명하다. 잦은 악수로 손을 다친 상태였는데 “너무 꽉 쥐어 그런 것 아니냐”며 양측 지지자가 충돌하기도 했다.
축구 국가대표 이동경은 지난해 도쿄올림픽 축구 조별리그 뉴질랜드전 패배 후 악수를 청한 상대 선수의 손을 툭 치고 가버렸다. 매너 없는 행동이란 비판이 쏟아졌고, 결국 사과해야 했다. 2021년 5월 한·미 정상회담 때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한 후 손을 옷에 닦는 행동을 했다가 외교 결례란 지적을 받은 일도 있다.
며칠 전 김의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악수 장면을 의도적으로 연출했다”고 주장했다가 왜곡 논란에 휩싸였다. 한 장관이 같은 행사에 참석한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엘리베이터까지 쫓아가 악수를 요청하고, 이 장면을 협치로 포장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는 내용이다. 이에 한 장관은 “허위 사실”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다. 실제로 두 사람이 악수한 장소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행사장 내부였고, 악수를 먼저 청한 것도 이 의원이었다.
더 곱씹어볼 대목은 김 의원이 전한 이야기의 앞부분이다. “이 의원한테 들었어요. 윤호중 의원이 생각이 났대요. 사진 찍히면 안 되니까. 그래서 일부러 피했답니다.” 지난 5월 김건희 여사와 만나 활짝 웃는 사진이 공개된 후 일부 당원으로부터 난타를 당한 윤호중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언급이다. 지지층에게 찍힐까 인사나 악수조차 편치 않은 속내다.
정치인에게 악수는 숨 쉬는 것과 같다. 유권자나 주변의 마음을 잡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악수 한 번에 한 표’란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악수에 대한 인식이 조금 변했다지만, 지금 정치판에서 벌어지는 악수 다툼은 가히 기이하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