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cks or cash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tocks or cash (KOR)

JANG WON-SEOK
The author is an S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Have I ever been so interested in prices in another country? The October Consumer Price Index (CPI) announced by the U.S. Department of Labor on Nov. 10 rose 7.7 percent from a year ago. The CPI has nearly returned to January’s level at 7.5 percent after soaring to 9.1 percent in June. Anticipation arose that prices are about to stabilize.

Optimism has gained momentum in the stock market, as seen in the rally in the New York Stock Exchange. On Nov. 10, Nasdaq soared by 7.35 percent in one day, and the Korean stock market jumped the next day. Some predict that Kospi would regain the 3,500-point level for the short term and will rally till the end of the year.

Many securities firms adjusted their Kospi forecast upward. They have their reasons. As surging prices brought a sudden increase in interest rates, it is a meaningful signal that prices are falling after hitting a peak. The strong dollar trend from rate hikes also has been weakened, another fa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northward movement of the stock market.

Is there a smooth path ahead of us? The United States has lifted the benchmark rate by 0.75 percentage points four consecutive times. But after the positive CPI signal, the U.S. is expected to raise the Fed rate by 0.5 percentage points in December. While we welcome the slowdown, the increase is not stopping. With the inflation fixed at 8 percent level, 7 percent CPI might sound good enough. But it is far from the goal of 2 percent.

For 10 years until last year, the Nasdaq went up seven times — a work of ultra-low rates. This year is exactly the opposite. The adjustment of global stock markets begins and ends with an interest rate hike. The benchmark rate in the U.S. has already reached 4 percent and will continue to go up for sure. To discuss a rebound trend, we need to understand not only the timing for stopping the hike, but also how long the high rate will remain high. As the economy is struggling, it is hard to estimate the extent of the slump. That’s why many experts put more weight on prudence than optimism.

The time for commercial banks to pay 5 percent interest for deposits has returned. That was unimaginable just a year ago. Money won’t flow elsewhere unless a greater return is guaranteed. Investment is bound to shrink. Stocks and real estate are helpless in the face of soaring interest rates. You still need to cherish cash over others for now.
 
 
 
현금
장원석 S팀 기자
 
남의 나라 물가에 이렇게 관심이 많았던 적이 또 있었을까. 지난 10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7.7% 상승했다. 6월(9.1%) 이후 4개월 연속 상승폭이 축소돼 1월(7.5%)과 비슷한 수준까지 내려왔다. ‘물가가 잡힐 것 같다’는 기대감이 생긴 셈이다.  
 
주식시장에선 낙관론이 힘을 받기 시작했다. 실제로 뉴욕증시는 급발진했다. 나스닥은 10일 하루에만 7.35% 뛰었다. 다음날 국내증시 역시 폭등했다. 가깝게는 코스피 2500선 탈환, 길게는 연말까지의 랠리를 전망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러 증권사가 연말 코스피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근거는 있다. 폭등한 물가가 급격한 금리인상을 불러왔으니, 물가가 정점을 찍고 내려온다는 건 분명 의미 있는 신호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강세도 한풀 꺾였다. 역시 증시 상승세에 힘을 보탤 수 있는 요인이다.  
 
정말 ‘꽃길’이 열릴까. 긍정적인 CPI 신호에 네번 연속 기준금리를 0.75%포인트씩 인상한 미국이 일단 12월엔 0.5%포인트만 인상할 전망이다. 감속도 물론 반가운 일이나, 멈추는 건 아니다. 물가상승률이 8%대를 유지하니까 7%대만 돼도 괜찮은 것 같지만, 목표(2%)까진 한참 멀었다. ‘인상 중단’이나 ‘금리인하’ 같은 시나리오를 떠올릴 시점은 아니란 얘기다.  
 
지난해까지 10년간 성장주 중심인 나스닥은 7배가량 상승했다. 유례없는 초저금리의 작품이다. 올해는 정확히 반대다. 글로벌 증시조정은 시작도, 끝도 금리인상이었다. 미국 기준금리는 이미 4%에 도달했고, 당분간 더 오를 게 확실하다. 추세적 반등을 논하려면 인상 종료시점뿐만 아니라 금리가 얼마나 오랜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 지금으로선 알 길이 없다. 경기라도 좋으면 모를까 침체의 폭을 가늠하기 어렵다. 많은 전문가가 낙관론보다 신중론에 무게를 두는 이유다.  
 
시중은행에 예금만 해도 5% 이자를 주는 시대가 다시 왔다. 불과 1년 전까지 상상도 못 했던 일이다. 이보다 많은 수익을 보장하지 않는 한 돈은 딴 곳으로 흘러가지 않는다. 투자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치솟는 금리 앞에선 무력하다. 주식시장이 뜨거울 때야 머뭇거리면 안 되지만, 조정 땐 조바심을 내면 안 된다. 아직은 현금을 소중히 여길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