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 Deregulating the ivory towe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Editorial] Deregulating the ivory tower (KOR)

The keywords in the higher education reform outline the Ministry of Education unveiled last week are deregulation and autonomy. The government-led review on basic capabilitie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ill be replaced by evaluations by the Korea Advancing Schools Foundation, the Korea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College Education. Opening or adjusting enrollment quota will be left up to the institutions. When a private institution has to close, it can be converted to a welfare or public facility and can be merged or acquired in the same process as corporate entity.

The education ministry so far had the control over admission, staffing, and degree organization through its funding power. Any institutions falling below the government assessment was stigmatized as being unqualified. Any opening of a new department or reorganization had to meet strict government guidelines. Public and national universities had to seek prior approval when they adjusted their enrollment quota.

Korea ranked 46th out of 63 countries in World University Rankings in this year’s scale of Switzerland-base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due to excessive government meddling and sluggish investment.

The conservative Yoon Suk-yeol administration has allowed universities access to some of the budget for subsid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which is earmarked at 3 trillion won ($2.4 billion) in 2022. The government has followed up with deregulatory action this time.

But the measures may not be enough. According to a Statistics Korea forecast, the population of 18-year-olds in 2042 would stop at 234,567. Given the current university enrollment ratio of 71.5 percent, freshmen would number just a third of the current count of 474,996. In other words, two thirds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would have to shut down 20 years later.

The outline could help our ailing universities find an exit. Various policies and bills to restructure trouble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ll failed over the past decade. A relief bill for private universities motioned in September requires bipartisan attention and review.

The idea of the education ministry handing over the administrative and jurisdiction authority to local governments requires further study as it can only increase meddling by municipal and provincial heads. The autonomy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as only worsened the education divide under politically-motivated superintendents.

The reform outline has not mentioned tuition. University tuition has stayed frozen since 2009. The consumer price index has jumped from 83.9 in 2009 to 102.5 in 2021. Adjusting college tuition for inflation is inevitable to help ease the deepening financial woes of universities. The finalized outline must also address the issue.
 
 
 
대학 규제개혁 첫발, 입법 등 보완책 뒤따라야
 
세계 46위 대학경쟁력 높이려면 자율성 강화해야
사립대 퇴로 입법, 등록금 현실화 등도 향후 과제
 
 
엊그제 교육부가 발표한 대학개혁안의 핵심은 규제철폐와 자율성 확대다. 정부가 주도해온 기본역량진단을 사학진흥재단과 대교협·전문대교협의 평가로 대체하고, 학과 신설 및 정원 조정을 대학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사립대 폐교시 복지·공익 시설로 전환하거나 기업 인수합병(M&A)처럼 통폐합 할 수 있는 길도 열어줬다.  
 
지금까지 교육부는 재정지원을 고리로 대학의 입시·교무·학사 등 전반을 좌지우지 했다. 정부정책에 반하는 대학의 예산을 삭감하고, 평가기준에 미달하면 부실대학으로 낙인을 찍었다. 학과를 신설하거나 통폐합할 때도 교육부가 정한 깐깐한 기준을 맞춰야 했고, 국공립대는 단순 정원조정 시에도 사전승인이 필요했다.  
 
국내 대학의 경쟁력은 지난 6월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대학경쟁력 순위에서 46위(63개국 중)에 불과할 만큼 취약하다. 국가경쟁력(27위)이나 초·중등 교육경쟁력(29위)에 한참 못 미친다. 정부의 지나친 간섭과 규제, 부실한 고등교육 투자가 대학 발전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교육재정교부금 일부(2022년 기준 3조원)를 대학도 쓸 수 있게 한 것과 이번에 나온 규제개혁 조치는 발전의 시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20년 후(2042년) 만 18세 인구는 23만 4567명이다. 현재 대학진학률(71.5%)을 적용해도 신입생 수는 현 대입정원(47만 4996명)의 3분의 1이 안 된다. 단적으로 말하면 지금 대학의 3분의 2는 20년 후 문을 닫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번 발표에서 사립대 폐교시 사회복지관·의료시설 등으로 시설 변경토록 퇴로를 열어준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런 일이다. 지난 10여 년간 부실대학 정리 정책과 법안이 여러 번 나왔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지난 9월 ‘사립대 구조개선지원법’이 새로 발의됐는데, 이번만큼은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꼭 해법을 찾아야 한다.  
 
대학에 대한 행·재정적 권한을 교육부에서 지자체로 이양하는 것도 유심히 지켜봐야 한다. 자칫 시·도지사의 간섭만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의 권한을 개별학교로 분산코자 했던 지방교육자치가 오히려 정치화 된 교육감들의 손아귀에 놓여 있는 현실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  
 
이번에 빠진 중 개혁안 중 하나는 등록금 규제에 대한 부분이 다. 등록금은 2009년 이후 동결 상태인데 소비자물가지수는 2009년 83.9에서 2021년 102.5로 올랐다(2020년=100). 대학 재정난 해소를 위해선 적어도 물가인상 수준만큼의 현실화는 불가피하다. 다음번 개혁안 발표 때는 이에 대한 해법도 반영해주길 기대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