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ountain] Humanity shines in a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Fountain] Humanity shines in a crisis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inter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he father was devastated, unable to let go of the finger of his dead daughter. Looking at the pictures of the victims in the rubble of collapsed buildings in Turkey in the aftermath of the earthquake, I was reminded of Japan’s earthquake in 2011. A small fishing village in Aomori I visited just two days before was completely destroyed by the tsunami. I was quite relieved by my luck for a second.

But then, I worried about the owner of the bar who served snacks with a smile. The earthquake in Turkey is especially painful, not just because of the more than 10,000 victims. My memories of visiting Istanbul several years ago have returned to me.

The presence of Turkish people in Korea, including naturalized journalist Alpago Sinasi, also played a part. How must volleyball player Kim Yeon-kyung feel after having played for the Turkish league for a long time?

Without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the pain of others, homo sapiens — the most vulnerable of all primates — may not have survived today. Fossils showing the traces of injury and healing on ancient human bones prove that someone had helped them survive.

A well established theory in evolutionary sociology says disasters and pains stimulate compassion and encourage cooperation. We can work together with someone we’ve never met to achieve a mutual goal. Through that, we can create communities such as societies, nations and even fandoms.

But this ability is on the other side of the coin from the hostility to heterogeneous communities.

Oxytocin, which is released in mothers when delivering babies, can also ignite fury when the baby is threatened. If this mindset is expanded, we can hardly live together with those who harm “us.”

The sentiment was evident in a report from a JoongAng Ilbo journalist dispatched to Ukraine before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war. The fury was surging not only toward Russia but also Belarus which opened the path to Ukraine. Grudges and tragedy are passed down.

If mankind had lived like this, civilization would have been impossible. While survival of the fittest prevails, affinity facilitated revolution, as claimed by recent evolutionary anthropologists who say that kindness is the key to human survival. As if to prove this theor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tending helping hands. Korea extended a helping hand to Turkey, who sent its troops to Korea during the 1950-53 Korean War. Sweden has joined even after having a discord with Turkey over its NATO entry.

Greece, a rival of Turkey across the Aegean Sea, has a relationship as bad as the Korea-Japan relations. But the “earthquake diplomacy” is functioning again just like when the two countries reconciled at the time of the serial earthquakes in 1999.

When there is no anxiety over threats, contacts can encourage understanding the most. Humans are equal in the face of disaster. That humility brings us together.
 
 
 
재난 앞에 하나 되기
강혜란 국제부장
 
허망한 표정의 아버지는 숨진 딸의 손가락을 차마 놓지 못하고 있다. 대지진으로 형체 없이 무너진 건물 잔해 속 튀르키예 촌부의 사진을 보고 있자니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가 떠올랐다. 불과 이틀 전 다녀온 아오모리현 작은 바닷가 마을이 쓰나미로 산산이 부서진 사진을 봤다. 천운이었다는 안도감은 잠깐, 미소 띤 얼굴로 정갈한 안주를 내주던 주점 주인이 무사할까 염려됐다.   이번 지진이 유독 쓰라린 것도 이미 1만 명에 육박하는 희생자 때문만은 아니다. ‘형제의 나라’라는 관용어를 떠나서, 수년 전 이스탄불 등을 여행한 기억이 새록새록 겹쳐서다. 귀화한 저널리스트 알파고 시나씨 같은 한국 사회 속 튀르키예인의 존재감도 작용했다. 오랫동안 튀르키예 리그에서 뛰었던 배구선수 김연경의 심정은 오죽하겠는가.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는 능력이 없었다면 영장류 중에서도 가장 연약한 호모 사피엔스가 21세기까지 살아남지 못했을지 모른다. 원시 인간의 뼈가 다쳤다가 아문 흔적의 화석은 누군가 그의 생존을 책임졌음을 증명한다. 재난과 고통이 인간의 연민을 자극해 협동심을 북돋운다는 것은 진화사회학의 정설이다. 우리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누군가와 공동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함께 일할 수 있고, 그걸 통해 사회·민족·국가 하다못해 ‘팬덤’ 같은 무형의 공동체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만 이 같은 능력은 이질적인 공동체에 대한 적대감과 동전의 양면이다.  
 
아기를 분만할 때 엄마에게 솟구치는 옥시토신은 누군가 자기 아기를 위협한다고 느낄 때 분노를 뿜어내게도 한다. 이것이 확장되면 ‘우리’에게 해를 끼친 자와 같은 하늘 아래 살 수 없게 된다.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앞두고 본지 기자가 현지에서 보내온 르포도 그랬다. 오랫동안 같은 소련 지붕 아래 있던 러시아야 말할 것도 없고 인접국 벨라루스가 ‘침공 루트’를 터줬다는 분노가 하늘을 찔렀다. 원한과 비극의 대물림이다.  
 
인류가 이렇게 이어졌으면 오늘날 우리 문명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적자생존이라지만 실은 친화력이 진화를 촉진했고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고 최근의 진화인류학자들은 말한다. 이를 입증하기라도 하듯 국제사회의 구호 손길이 쏟아지고 있다. 한국은 물론이요, 최근까지 나토 가입을 두고 튀르키예와 갈등을 빚은 스웨덴 등도 동참했다. 특히 한·일 관계 못지않은 ‘에게해의 앙숙’ 그리스는 1999년 연쇄 지진 때 양국 간의 화해를 싹 틔운 ‘지진 외교’를 이번에도 가동했다. 위협에 대한 불안이 없을 때 접촉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가장 북돋운다고 한다. 재난 앞에 인간은 평등하다. 이 겸허함이 우리를 하나로 잇는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