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erature of Korea-China relation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emperature of Korea-China relations (KOR)

PARK SEONG-HUN
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A hot issue in Beijing’s Korean community these days is the K-Festa, to be held from Nov. 10 to 12. Around this time of year, Korea’s small- and mid-sized companies and restaurants host the event in downtown Wangjing, Beijing’s Koreatown.

But the location is the problem. Until now, the event was held on the first floor of the shopping town in the middle of the subdistrict. This is an annual event promoting Korean products and selling Korean food. But this year, the authorities did not approve the event for various reasons. In the end, the site was decided to be at a location outside of Wangjing.

It may seem like a trivial issue, but such things are important concerns in China. It is common in China that things which had been routinely handled are suddenly not allowed for unclear reasons. This time, the Chinese authorities’ disapproval of the venue provoked concerns and complaints from the Korean residents. After checking through various channels, I found the outdoor event approval process has been reinforced since March and that the authorities did not approve the event in downtown Wangjing due to safety concerns, as the site had a fire before. But not many people accept it as it is. “What are they up to?” People are anxious about China’s true intention.

But in other parts of China, a friendly mood toward Korean companies can be sensed. Employees and executives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say that treatment was improving in provincial regions. An official is assigned for each Korean company for individualized management, or the authorities even propose a project. It seems to be a friendly gesture due to the economic slump in China since Covid-19. But it is a good sign that Chinese officials demonstrate a sense of humility amid strengthened cooperation among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On Oct. 11, China released Cheng Lei, an Australian national who was an anchor for the state-run CGTN. As she had been under house arrest for nearly three years on charges of leaking confidential information, Australia continued to make diplomatic efforts for her release. Cheng’s release is interpreted as a sign of thawed bilateral bilateral relations.

The Korea-China relationship has stalled recently. While there are no retaliatory measures as in the time of the Thaad crisis, China cares about sensitive issues such as the approach to the North Korea nuclear program and repatri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South Korea is also working hard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from China by sending the prime minister to the Hangzhou Asian Games while strengthening diplomacy with the United States and Japan.

Seven years after the Thaad incident, Seoul-Beijing relations are at a crossroads in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China’s crisis i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Strategies are needed to encourage China to show sincerity regarding the North Korean issues and China’s market opening. If the Korea-China-Japan summit is held later this year, it can be another turning point for normalizing our relations with China.
 
 
 
한중관계의 온도
박성훈 베이징 특파원
 
베이징 교민사회의 요즘 화젯거리 중 하나가 다음달 10~12일 열리는 K-FESTA(페스타) 문제다. 매년 이맘때 한국 중소기업들과 요식업체들이 베이징 한인타운인 왕징 시내에서 2~3일간 여는 행사인데 이번에 장소문제가 불거졌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왕징 한복판에 위치한 쇼핑타운 1층 공간에서 행사를 해왔다. 우리 제품을 알리고 한국식품도 판매하는 연례행사인데, 올해 당국이 여러가지 이유를 들어 행사를 허가하지 않았다. 결국 장소는 왕징을 벗어난 곳에 어렵게 잡게 됐단다.  
 
작은 일 같지만 이런 일들이 중국에선 중요한 관심사다. 그도 그럴 것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일상적으로 처리되던 일을 갑자기 못하게 되는 경우가 중국에선 허다하다. 이번에도 당국의 행사장 불허에 교민들의 우려와 불만이 터져나왔다. 여러 경로로 확인해본 결과, 지난 3월부터 베이징에서 실외행사 허가과정이 강화된 데다 예년 행사장소에 화재가 난 적이 있어 안전우려 탓에 허가할 수 없다는 게 당국 입장이었다. 하지만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또 무슨 꿍꿍이인가' 사람들은 중국의 속내에 불안해한다.  
 
반면 중국의 다른 지역에선 한국기업들에 대한 우호적 분위기가 감지된다. 여러 우리기업 임직원들의 말을 종합하면 중국의 지방 성급에선 예우가 좋아지고 있단다. 한국기업마다 담당자를 한 지정해 개별관리를 하거나 당국이 먼저 접근해 사업 제안해 온다는 것. 코로나 이후 중국경제 침체로 우호적 제스처를 보내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미·일 협력관계가 강화되는 가운데 중국관료들이 낮은 자세를 보인다는 건 좋은 신호다.
 
지난 11일 중국은 국영언론 CGTN의 앵커였던 호주 국적의 청레이(成蕾)를 석방했다. 기밀유출 혐의로 3년 가까이 가택연금 중이던 그녀를 석방시키기 위해 호주는 지속적으로 외교적 노력을 했다. 이날 청레이의 석방은 얼어붙었던 양국관계 해빙의 신호탄으로 해석됐다.  
 
한중관계는 최근 교착상태다. 사드 사태 때와 같은 보복조치는 없지만 중국은 북핵 사태에 대한 접근, 탈북민 북송 등 민감한 이슈에 신경쓴다. 우리나라 역시 대미·대일 외교를 강화하면서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총리를 보내는 등 중국과의 적절한 거리유지를 위해 공을 들인다.
 
사드사태 이후 7년, 한중관계는 새로운 관계설정의 갈림길로 접어들고 있다. 중국의 위기가 우리에겐 기회다. 북한문제와 중국시장 개방에 중국의 성의 조치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올해 말 한·중·일 정상회의가 개최된다면 관계 정상화의 또 다른 변곡점이 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