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ay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ac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elay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act (KOR)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would affect smaller business establishments employing five to 49 from Jan. 27. The law promulgated by the previous Moon Jae-in government in January 2021 gave a three-year grace period for smaller companies hiring fewer than 50 employees. That grace period is coming to an end. But 830,000 companies falling under legal scrutiny are pleading for a delay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id act. To comply with the complex law that requires expertise, they must also hire safety experts. But many owners of small companies cannot afford the extra cost.

According to a survey of 1,053 companies with employees fewer than 50 last November by the Korea Enterprises Federation, 94 percent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ready for the law. One out of two is yet to hire a safety supervisor.

The law does not just affect constructors and manufacturers but also bakeries, restaurants and fried chicken shops that employ more than 5 employees. When a fatal accident occurs at a mom-and-pop diner, the owner would have to serve a minimum of one year in prison or pay a fine of up to 1 billion won ($743,494). Many business owners are unaware of the change. Various confusion and side effects can occur if the act expands from Jan. 27 as planned.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Power Party (PPP) last month proposed to put off the implementation of the act on smaller companies until 2026, but their attempt was stopped by the majority Democratic Party (DP). President Yoon Suk Yeol, during a cabinet meeting on Tuesday, said that punishment may not be the sole answer. “Given the situation of small companies, they may need more time.” If small companies struggle under high interest rates and prices are added with additional burdens, they may not be able to survive. Their fall could translate into layoffs and greater pains for the people, he added.

The DP, which stands for laborers, is reluctant to change the plan ahead of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DP floor leader Hong Ik-pyo said that the majority party would consider suspen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if the government comes up with a specific outline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gency in charg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But it is outrageous for the DP to deman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PPP create a new agency when the grace period ends this month. The legislature must first suspend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and then discuss the complementary measures. The PPP should also be more proactive in persuading the opposition. A law with a benign design can also turn into a wicked one if it disregards reality. The National Assembly must pay heed to the pleas of small companies and merchants.
 
 
 
미적대는 중대재해처벌법 유예…속타는 중소기업
 
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도 중대재해법 대상
부작용 막으려면 여야 법 적용 유예 서둘러야
 
 
오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5~49인)에도 적용된다. 문재인 정부는 2021년 1월 중대재해법을 공포하면서 50인 미만 사업장은 3년간 법 적용을 유예하기로 했었다. 그 유예기간이 9일 뒤면 끝난다. 그러나 새로 법 적용을 받게 된 83만 곳의 사업장에선 법 적용을 더 늦춰달라고 아우성이다. 중대재해법을 제대로 이행하려면 법규가 복잡하고 부가되는 업무도 많기 때문에 안전관리 전문인력을 추가 채용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영세업체들은 추가 인건비 부담을 감당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는 호소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해 11월 50인 미만 1053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4%가 법에 대한 준비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2곳 중 1곳은 안전관리 인력조차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법은 건설ㆍ제조업체 뿐 아니라 5인 이상 직원이 있는 빵집ㆍ식당ㆍ치킨집에도 적용된다. 앞으로 동네 가게에서 사망 등의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경우에 따라 사업주는 1년 이상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을 물 수도 있으나 해당 업주들은 그런 사실조차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다. 이런 상태에서 27일부터 중대재해법이 확대 적용되면 현장에서 상당한 혼란과 부작용의 가능성이 농후하다.  
 
그래서 정부ㆍ여당은 지난해 연말 임시국회에서 50인 미만 사업장 적용 시점을 2026년으로 늦추는 법개정을 추진했으나 거대 야당의 벽에 막혀 무산됐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은 16일 국무회의에서 “처벌만이 능사는 아니다. 중소기업의 현실적 여건을 감안할 때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다”며 야당 측에 재차 중대재해법 적용 유예를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가뜩이나 지금 우리 영세기업들이 고금리, 고물가로 견디기 힘든 상황인데 이렇게 짐을 지우게 돼 중소기업이 더이상 존속하기 어렵다면 그 피해는 역시 고스란히 우리 근로자들과 서민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국회 운영의 키를 쥔 더불어민주당은 총선을 앞두고 노동계를 의식해 법 개정에 여전히 소극적 자세다. 윤 대통령의 요청에 대해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는 17일 “(정부가) 산업안전보건청 연내 설치와 관련된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오면 이 법을 유예할지 말지를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당장 9일 뒤가 데드라인인데 그 사이에 새로운 정부 기구 설치안을 만들라는 것은 무리다. 일단 유예부터 해놓고 보완 대책을 논의하는 게 맞는 수순이다. 여당도 보다 성의있는 자세로 야당을 설득해 합의안을 도출하길 바란다. 아무리 좋은 의도로 만든 법안이라도 현실성이 없으면 결국 악법이 되고 만다. 국회는 우리 경제의 풀뿌리인 중소기업ㆍ자영업자들의 하소연에 귀 기울여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