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deology too deeply skewed to chang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n ideology too deeply skewed to change (KOR)

Hwang Sang-moo, senior presidential secretary for civil and social affairs, cannot be pardoned for his off-the-track description of a 1988 terrorist attack on a journalist, while dining with the press corps of the presidential office. He specifically addressed an MBC reporter in bringing up the episode which happened during his military service at the Korea Defense Intelligence Command (KDIC).

On Aug. 6, 1988, Oh Hong-keun, a senior editor at the now-defunct JoongAng Economic Daily, was stabbed on his thigh on his way to work for his critical writing about the military regime. The attack was later found to be ordered by the KDIC, which was angry about his opinion piece arguing for the need to reform our military culture. Why did the presidential secretary suddenly mention the shocking event that disgraced the country’s history in democracy? Hwang said he just wanted to remind that Oh had invited the misfortune with his critical piece on the government.

But his remarks only suggested that journalists today also can run into trouble if they write negatively about the government. When reporters angrily protested the comment, he tried to laugh it off as a joke. But who would take a sober warning from a senior presidential secretary as a joke?

Hwang also implied that North Korea was behind the Gwangju democracy movement, saying, “Ordinary citizens could not have acted so organized.” Even if the remark was made “off-the-record,” a presidential aide should have known better to decipher what can and cannot be said. The governing People Power Party’s interim leader Han Dong-hoon has been upping his attacks on a series of verbal blunders by members of the Democratic Party and even visited Gwangju to pay homage to the democracy movement heritage. Yet a presidential secretary has splashed cold water on the effort through his controversial remarks that can only come from the past military regime.

Hwang later apologized to the families of Oh and journalists and promised that he will watch his words and remarks better. Hwang was a KBS reporter for 30 years and served as a news anchor.

Hwang clearly would have calculated whether reporters would take his mention of the terrorist attack as a threat or joke. Words are the byproduct of one’s conviction. The latest fiasco could imply the perspective on the media by Hwang and in the inner circles of power.

The presidential office must not let the affair pass with Hwang’s short apology. It must use the momentum to appreciate the media role of checking the sitting power, fix the skewed perspective towards the media, and normaliz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Without such fundamental self-reflection, the slips of the tongue won’t cease.
 
 
 
'회칼 테러' 운운 수석, 네 문장 사과로 넘어갈 일 아니다
 
섬뜩한 흑역사 굳이 소환, '언론 겁박' 아니면 뭔가  
비뚤어진 권력 핵심부 언론관 노출, 근본 성찰해야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지난 14일 MBC 기자 등 출입기자들 회식자리에서 '언론인 회칼 테러' 사건을 언급한 것은 절대 그냥 넘어갈 일이 아니다. 황 수석은  "MBC는 잘 들어"라며 "내가 (국군)정보사령부 나왔는데, 1988년 경제신문 기자가 허벅지에 칼 두 방이 찔렸다"고 말했다고 한다. 문제의 사건은 36년 전인 당시 중앙일보 계열의 중앙경제신문 오홍근 사회부장이 쓴 '청산해야 할 군사문화'란 칼럼에 앙심을 품은 정보사 군인들이 예하부대장의 "혼내 주라"는 지시를 받고 출근길의 오 부장에게 테러를 가한 것이다. 오 부장은 허벅지에 길이 34cm, 깊이 3~4cm가 찢겨나가는 중상을 입었다. 국민은 큰 충격을 받았다. 우리 민주주의와 언론사의 커다란 오점인 이 사건을 굳이 "잘 들어"라며 소환한 이유는 무엇인가.  
 
황 수석은 당시 "(오 부장이) 정부에 비판적인 글을 쓴 게 문제가 됐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한다. 현 정부에 비판적인 기사를 쓰면 유사한 봉변을 당할 수 있다고 겁주려는 의도로 들릴 수밖에 없다. 황 수석은 기자들이 "왜 (이런 얘기를) 잘 들으라고 하냐"며 항의하자 "농담"이라며 넘어가려 했다고 한다. 대통령의 핵심 참모가 "잘 들으라"며 정색하고 한 말을 '농담'으로 받아들일 이가 누가 있겠는가.  
 
황 수석은 이 자리에서 5·18과 관련해 "훈련받은 누군가가 있지 않았고서야 일반 시민이 그렇게 조직될 수 없다"며 북한 배후설도 언급했다. '오프 더 레코드'를 전제로 한 식사 자리라도 대통령 참모는 할 말 안 할 말을 가릴 줄 알아야 한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은 민주당에서 잇따라 터진 막말 설화를 비판하고, 광주를 찾아 '5·18정신'을 기렸다. 이 와중에 여권의 핵심인 대통령실 수석이 막말을 넘어 섬뜩한 협박성 발언에다  '5·18 음모론'까지 거론한 것은 묵과할 수 없는 일이다.  
 
황 수석은 논란이 커지자 이틀 만에 "(오 부장) 유가족과 언론인들에게 사과드리며 공직자로서 언행을 각별히 조심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황 수석은 KBS에서 30년간 봉직하며  앵커까지 지낸 중견 언론인이다. '회칼 테러'란 말이 위협으로 들릴지, 농담으로 들릴지 분간하지 못할 리 없다. 말은 평소 의식의 소산인 만큼 이번 사건은 단순한 설화가 아니라 황 수석을 비롯한 권력 핵심들의 언론관이 어떤 수준인지 의문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대통령실은 달랑 네 문장에 그친 황 수석의 사과로 이번 사건을 그냥 덮고 갈 게 아니다. 권력에 대한 비판이라는 언론 본연의 역할을 인정해 권력 핵심부의 편향적 언론관을 바로잡고, 국민과의 소통을 정상화할 계기로 삼아야 마땅하다. 그런 근본적 성찰과 일신이 없다면 '황상무 설화'는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