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ting at the table or being on the menu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itting at the table or being on the menu (KOR)

SHIN KYUNG-JIN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The third Summit for Democracy ended in Seoul last Wednesday. China, which was excluded, likened the host country to a pawn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its state-run news agency. One newspaper wrote in an editorial that the coffin cover is closed, citing the adage “Don’t pass judgment on a person’s life until the lid is on the coffin.”

Why is China so agitated? The background is the “table and menu” remarks by U.S. Secretary of State Antony Blinken. “If you’re not at the table, you’ll probably be on the menu,” he said at the Munich Security Conference on February 17. In a session with German and Indian foreign ministers, he was asked about Washington’s stance as the tens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led to greater division and the two countries competed over alliances. At that time, the head of U.S. foreign policy brought up the table and menu theory.

China, North Korea, and Taiwan reacted sensitively. It analyzed that the U.S.-China competition has entered a new stage of fighting.

First of all, China’s state-run Xinhua News Agency compared Blinken to Hannibal Lecter, a cannibal character in novels and films, in its English column titled “Washington’s ruthless zero-sum appetite spells trouble for the world.” The Global Times ran an editorial condemning Blinken. It said, “Translated into Chinese, the meaning is akin to ‘if you’re not the knife and the chopping board, you’ll be the fish and meat on the board.’” The editorial went on to say, “Blinken’s use of this phrase reveals a worldview characterized by a harsh and chilling perspective of a world where the strong prey on the weak.”

North Korea’s response was a bit late. On March 1, the Rodong Sinmun ran a harsh editorial in which it said, “The U.S. must not be allowed to enjoy ‘gastronomy’ anymore.”

A Taiwanese newspaper reported that Blinken’s remarks came as the U.S. strategy and geopolitical thinking changed and its national power declined. The paper added that the fact that an isolationist president like Trump may be elected reflects the failure of liberal value diplomacy. The paper also alerted the ruling party, defining the table or the menu rhetoric as a candid yet realistic metaphor.

Recently, the U.S. Congress passed a bill to ban TikTok. China has banned YouTube and Facebook, but protested and called the U.S. move “the logic of the strong.”

China’s intense response is a sign of impatience. China still deals with America largely based on Chairman Mao Zedong’s “two hands theory” of engaging in both fierce battles and negotiations for a ceasefire during the Korean War. Blinken’s remarks are a warning that the declining U.S. will no longer play fair.

The next American president will intensify the U.S.-China competition. It is unknown whether Biden’s new multilateral policy will be in the second term or Trump’s new isolationist storm will hit the world. Response teams should be operated for each of the two scenarios. I hope the governing and opposition parties will work together at least after the April 10 parliamentary elections if they do not want to make the country the meat on the menu.
 
 
 
식탁에 앉을 것인가, 메뉴에 오를 것인가
신경진 베이징 총국장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가 20일 서울에서 폐막했다. 배제된 중국은 관영 통신사를 통해 개최국 한국을 미국의 ‘졸(馬前卒)’에 비유했다. 한 신문은 사설에서 관뚜껑이 덮였다며 ‘개관논정(蓋棺論定)’에 이번 회의를 비유했다. 중국은 왜 이렇게 흥분했을까. 배경에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식탁·메뉴 발언이 자리한다.
 
“국제 시스템 안에서는 테이블에 없다면, 메뉴에 오르게 될 것이다.” 지난달 17일 뮌헨 안보회의에서 한 말이다. 독일·인도 외교장관과 함께한 세션에서 사회자는 “미·중의 긴장이 더 큰 분열로 이어지고 있고, 미·중이 동맹을 놓고 경쟁하고 있다”며 미국의 입장을 물었다. 미국 외교 사령탑은 이때 작심하고 식탁·메뉴론을 꺼냈다.
 
중국·북한·대만이 민감하게 반응했다. 미·중 경쟁이 새롭게 격투기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우선 중국. 관영 신화사가 영문 칼럼에서 블링컨을 소설·영화 속 식인범 '한니발 렉터'에 비유했다. “워싱턴이 무자비한 제로섬을 추구한다”고 했다. 환구시보가 이어 “중국어로 번역하면 ‘칼자루를 잡지 못하면 고기가 된다’는 뜻”이라며 “약육강식의 세계관에 오싹한 냉혹함과 한기가 배어 있다”는 비난 사설을 실었다. 북한의 반응은 좀 늦었다. 이달 1일 노동신문에 “미국이 더 이상 ‘식도락’을 누리게 해서는 안 된다”는 맹비난 논평을 실었다.
 
대만 신문은 “미국의 전략과 지정학적 사고가 바뀌고, 미국 국력이 쇠퇴하면서 나온 발언”이라며 “트럼프 같은 고립주의 성향의 대통령 당선이 유력하다는 자체가 자유주의 가치외교가 실패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고 우려했다. 또 “식탁 아니면 메뉴는 적나라한 비유이지만 현실적”이라며 집권당에 경종을 울렸다.
 
최근 미국 의회는 틱톡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중국은 유튜브·페이스북 등을 금지하면서도 “강자의 논리”라며 반발했다.
 
중국의 격한 반응에 조바심이 묻어난다. 중국은 지금도 한국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와 휴전협상을 병행했던 마오쩌둥의 양수론(兩手論)에 충실하게 미국을 상대한다. 블링컨의 발언은 쇠퇴하는 미국이 더는 호락호락하게 페어플레이만 하지 않겠다는 경고다.
 
내년 백악관의 주인은 미·중 경쟁을 더욱 과격하게 몰고 갈 것이다. 바이든의 신(新)합종정책이 시즌 2를 맞을지, 트럼프의 신고립주의 폭풍이 몰아칠지는 알 수 없다. 두 시나리오별로 대응반이 가동돼야 한다. 여야 정치권은 총선 후부터라도 외치에 힘을 모으기 바란다. 나라를 메뉴판의 고기로 만들지 않으려면 말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