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는 없는 한식의 맛… 뉴욕에서 새롭고 고급스러운 정체성 발견하는 K푸드

Home > Culture > Food & Travel

print dictionary print

한국에는 없는 한식의 맛… 뉴욕에서 새롭고 고급스러운 정체성 발견하는 K푸드

Dishes at Atoboy, a modern Korean restaurant in New York City. [ATOBOY]

Dishes at Atoboy, a modern Korean restaurant in New York City. [ATOBOY]

뉴욕의 모던 한식당 아토보이의 음식. [아토보이]
 
 
 
‘You can’t get this in Korea’: K-food finds a new, upscale identity in New York City
한국에는 없는 한식의 맛… 뉴욕에서 새롭고 고급스러운 정체성 발견하는 K푸드
 
 
 
Korea JoongAng Daily 13면 기사
Friday, May 31, 2024
 
 
 
On a breezy Saturday night in April, a Korean tourist couple was 30 minutes into a queue at the modern Korean restaurant Atoboy in NoMad, the district north of Madison Square Park.
 
breezy: 산들바람이 부는
queue: 줄
 
산들바람이 불던 4월의 어느 토요일 저녁, 매디슨 스퀘어 파크 북쪽 노매드에 있는 모던 한식당 아토보이 앞엔 30분 넘게 줄을 서고 있는 한국인 관광객 커플이 있었다.
 
 
 
Having flown in from Seoul just two days prior, they weren’t there because they craved something familiar; Rather, they hoped to try something new.  
 
prior: 이전의
crave: (특정 음식이) 당기다
 
이들은 이틀 전 서울에서 비행기를 타고 왔기 때문에 굳이 익숙한 음식이 당겨서가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고 이곳에 왔다.
 
 
 
“My husband and I love to experience new foods, and some of these K-food experiences here, you can’t get in Korea,” said Kim Woo-yeon, age 30. “It seemed like a uniquely New York experience, which is what we have centered our trip around.”
 
center around: ~에 중점을 두다
 
김우연(30)씨는 “남편도 나도 새로운 음식을 경험하는 것을 좋아하고 이곳의 K푸드 경험 중 일부는 한국에서 할 수 없는 것들”이라며 “뉴욕에서만 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라 느껴 이번 여행을 짤 때 여기에 중점을 두었다”고 전했다.
 
 
 
Recent New York tourist Kim Jin-sol, 26, from Gyeonggi chose Korean fried chicken with caviar and Champagne at Coqodaq in Flatiron while dining with friends two months ago. Her research led her to believe it was one of the most “popular eateries in the city these days.”
 
dine: 식사하다
eatery: 음식점
 
최근 뉴욕을 여행한 경기도에서 온 김진솔(26)씨도 두달 전 친구들과 저녁식사로 플래티논의 코코닥에서 한국식 후라이드 치킨과 캐비어 그리고 샴페인를 선택했다. 조사를 해본 결과 요즘 뉴욕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음식점 중 하나”라는 확신이 들어서였다.
 
 
 
“I remember being amazed at how big and juicy the drumsticks were,” said Kim. “I’m not sure if it is even comparable to the ones in Korea.”
 
be amazed at: ~에 깜짝 놀라다
drumstick: (닭 등의) 다리
comparable: 비교할 만한
 
김씨는 “닭다리가 어찌나 크고 육즙이 풍부했는지 놀랐던 기억이 난다”며 “한국 닭다리와 비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Needless to say, Korean food in New York hardly a carbon copy of its hometown restaurants. Dishes that pride themselves on reliability and affordability in their country of origin have grown a new set of star-spangled wing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carbon copy: 복사본
reliability: 신뢰성
affordability: 적당한 가격
star-spangled: 미국의
 
뉴욕의 한국 음식은 더 이상 본토 음식의 복사본이라고 할 수 없다. 한국에서 신뢰성과 적당한 가격을 자랑했던 음식들이 이젠 지구 반대편에서 미국적 특징을 가미해 새로운 날개를 펼치고 있다.
 
 
 
Coqodaq, like many of New York's Korean eateries, isn’t afraid to deviate from its roots — especially when it comes to quality. The restaurant claims to cook with pasture-raised “certified humane" birds, gluten-free batter, and cultured oil from Brazil’s certified non-GMO sugar cane. Dinner can range from $40 to more than $15,000.
 
deviate: 벗어나다, 방향을 바꾸다
pasture: 목초지
batter: 반죽
cultured: 배양된, 만들어진
sugar cane: 사탕수수
 
코코닥은 뉴욕의 다른 많은 한국 음식점들과 마찬가지로 뿌리에서 방향을 트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특히 품질면에서 그렇다. 이 식당은 목초지에서 인도적으로 길렀다는 인증마크를 단 닭고기, 글루텐이 들어가지 않은 반죽, 그리고 브라질에서 유전자 조작을 하지 않았다고 인증한 사탕수수로 만든 기름을 쓴다고 한다. 저녁식사 비용은 40달러에서 시작해 1만5000달러 이상까지 간다.
 
 
 
The same can be said for Caviar Kim, a caviarpiled gimbap (seaweed roll) on offer at Jua in TriBeCa and the truffle and gim bugak (seaweed chips) at Naro on 5th Avenue: Their foundations are authentic, but the creative combinations of flavors can elevate such simple snacks, historically munched on Korean grandmothers’ couch, to delicacy status.
 
foundation: 기반
authentic: 정통
elevate: 승격 시키다
munch: 우적우적 먹다
delicacy: 고급 진미
 
트라이베카 주아의 캐비어가 들어간 김밥 ‘캐비어 김’과 5번가 나로의 트러플과 김부각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기반은 정통 한식이지만 여러 맛의 창조적인 조합을 통해 옛날부터 한국 할머니 집 소파에 앉아 우적우적 씹어 먹던 간단한 간식을 고급스러운 진미로 승격했다.
 
 
 
“I thought it was worth the money,” said Kim about her $60 chicken meal. “I’m not sure if I would feel the same way if I paid that much for fried chicken in Korea, though.”
 
김씨는 60 달러짜리 닭에 대해 “그만한 가치가 있었다”면서도 “한국에서 후라이드 치킨을 먹는데 이 돈을낸다면 지금과 같은 기분 일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Seoul also has a robust gastro scene with diverse enclaves and modern restaurants fusing cuisines, but it tends to be more conservative when cooking Korean.
 
robust: 탄탄한
enclave: 지역
fuse: 융합하다
conservative: 보수적인
 
서울에도 세계 다양한 지역 음식과 현대 요리를 융합하는 탄탄한 미식 산업 현장이 있지만 한식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경향이 있다.

WRITTEN BY LEE JIAN AND TRANSLATED BY YIM SEUNG-HYE [lee.jian@joongang.co.kr, yim.seunghye@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