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a lax response to the medical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hat a lax response to the medical crisis (KOR)

As an increasing number of emergency rooms have trouble operating, patients suffer deepening pain. In Busan, a patient died while desperately looking for a surgeon. After the construction worker in his 70s fell to the ground from the second floor of a structure, an ambulance arrived on the spot and first aiders called several hospitals. But all of them refused to take the patient, citing a lack of doctors for emergency treatment. The injured worker was later brought to a hospital 50 kilometers (31 miles) away, but couldn’t find a doctor with expertise in emergency treatment. The case explicitly shows the severity of the medical vacuum after the collective walkout by trainee doctors in protest of the government’s plan to increase the medical school admissions quota six months ago.

If such a tragic incident occurred in the second largest city in Korea, what about other places? After the massive strike, hospitals can’t properly run their emergency rooms or even shut them down, which is in stark contrast with what President Yoon Suk Yeol said in a press conference last month. “Our emergency treatment system is working smoothly,” he said.

President Yoon on Tuesday visited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which still operates its emergency room. We welcome his trip to the hospital to listen to voices from doctors in the field. He promised to give more support to essential medicines, but it’s a mid- to long-term project, not an immediate solution to address the worsening medical crisis.

Despite the grave situation, the government still shows a laidback attitude. Park Min-soo, a vice minister of the Health Ministry, said, “If patients themselves can call the hospital, their condition is not deemed serious.” In a meeting of the governing People Power Party (PPP) on Thursday, Kim Jong-hyuk, a member of the Supreme Council, asked, “How many citizens would agree to the vice minister’s remark that hyperthermia, stomachaches and bleeding are just light illnesses?” Policymakers must think deeply about why such criticisms come from the governing party.

The five-day Chuseok holidays are just a week away. If such terrible cases take place during the festive period, it can cause a national crisis. The government plans to deploy doctors in the military to emergency rooms of large hospitals, but we are only suspicious of its effect. The relocation of military doctors will certainly affect soldiers’ health. What’s urgent now is to devise extraordinary measures to effectively resolve the alarming medical vacuum, not a quick fix. We hope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community will help normalize the operation of emergency rooms directly liked to people’s lives as quickly as possible.
 
 
 
'응급실 뺑뺑이' 아우성인데 안이한 대응으로 풀리겠나
 
휴일·야간 응급실 폐쇄 속출, 수술 의사도 태부족
땜질식 처방 안 돼…추석 연휴 특단 대책 마련을
 
 
주요 병원의 응급실 파행이 장기화하면서 환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부산에선 응급실을 헤매던 환자가 수술할 의사를 찾던 중 사망하는 일도 발생했다. 부산소방본부에 따르면 지난 2일 오전 70대 근로자 A씨가 공사장 2층에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신고 직후 출동한 구급대원들은 급하게 병원 여러 곳에 연락했지만 진료가 어려우니 오지 말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한다. 결국 사고 현장에서 50㎞ 떨어진 병원 응급실로 이송했지만 이곳에서도 긴급 수술이 가능한 의사를 찾지 못했다. 국내 2위의 대도시인 부산에서도 의료공백이 얼마나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만일 A씨가 조금이라도 빨리 수술을 받았다면 결과가 달랐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부산뿐 아니라 전국에서 ‘응급실 뺑뺑이’로 아우성치는 환자가 많아진다. 야간이나 휴일에 응급실 문을 닫거나 축소 운영하는 병원도 속출한다. 응급실 문은 겨우 열었지만 수술할 의사가 없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병원도 적지 않다.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진료체계가 원활히 가동되고 있다”고 말한 것과 현장 상황은 딴판이다. 지방 병원에서 시작한 응급실 파행은 수도권 주요 병원으로 확산하는 양상이다. 윤 대통령은 그제 경기 북부 권역응급의료센터인 의정부성모병원을 찾았다. 대통령이 직접 현장 의료진의 목소리를 듣는 건 긍정적이지만 한계도 분명했다. 윤 대통령은 필수의료 지원 강화를 약속했지만 중장기 과제고, 당장의 혼란을 수습하는 대책은 보이지 않았다.
 
상황이 점점 심각해지는데도 정부의 인식은 여전히 안일하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환자 본인이 (병원에) 전화해 알아볼 수 있으면 경증”이란 발언으로 논란을 키웠다. 김종혁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어제 최고위원회의에서 “고열·복통·출혈 정도는 경증이니까 응급실에 가지 말라는 주장에 동의할 국민이 얼마나 되겠나”라며 “책임을 통감하고 당사자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박 차관을 비롯한 정책 당국자들은 여당에서도 사퇴 요구가 나왔다는 사실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
 
'민족의 대이동'이란 말처럼 통행량이 급증하는 추석 연휴가 약 1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각종 사고나 급성 질환으로 환자가 몰리는 추석 연휴에도 응급실 파행이 이어진다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인력 보충을 위해 군의관·공보의를 투입한다고 했지만 그 정도로는 효과가 의심스럽다. 일부 병원은 군의관들이 응급실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돌려보내기도 했다. 지금 시급한 건 땜질식 처방이 아니라 특단의 대책이다. 의료계도 응급실을 정상화하고 환자를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해 협조하길 바란다. 어떤 경우에도 국민 생명과 직결된 응급의료의 최전선이 무너지는 것만은 막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