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mories of German presen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emories of German presents (KOR)

KIM SEUNG-HYUN
The author is a deputy politic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Over a decade ago, my wife went on a business trip in Europe. There she found a jacket from a notable German brand at a shopping mall. The discounted price was attractive. The jacket came back home with her as my Christmas present.

Despite my hopes and anticipation, the jacket’s sleeves were too long. As an average Korean man, I don’t have arms as long as Germans. I still remember my wife’s awkward smile. The sleeves were altered, but the German brand still makes me feel wary.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end of the year reminds me of that time.

The Gwangju employment model is based on the model Auto 5000 that German carmaker Volkswagen established in 2001. In Wolfsburg, Germany, where the headquarters of Volkswagen is located, 50,000 people out of the population of 120,000 work for Volkswagen and its partners. When the company considered relocating the factory due to the economic slump in the 1990s, unions opposed it. The management asked them what they would do if the factory did not move.

This was the background for the social agreement to hire 5,000 unemployed workers and keep their monthly wage level at 5,000 Deutsche Marks, which translated to about 40 million won ($35,590) a year at the time. There were concerns about lower wages and visions for new factories. But agreements were reached through politicians’ persuasions. They reached a social compromise for wages that were 20 percent lower and a promise to develop new models. Does Gwangju have the desperation and wisdom to save both companies and jobs? I only hear politicians’ voices to get votes with jobs and labor circles calculating how to use the cause.

In the National Assembly, Germany was mentioned in a new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Minor right-wing Bareunmirae Party head Sohn Hak-kyu and left-wing Justice Party head Lee Jung-mi have been on a hunger strike for a week. The ruling Democratic Party’s floor leader Hong Young-pyo asked them if they really wanted a German-styl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and proposed working together to create a feasible model for Korea. How many citizens understand their reasoning and hunger strike?

Their justification is the people. They argue that minority parties have fewer seats compared to their support among the people and that the representation is skewed. Germany strictly reflects party approval rating to the number of seats in the legislature. But some of our lawmakers must give up their districts in the 300-seat National Assembly. This year, the ruling and opposition lawmakers barely passed next year’s budget due to conflicts over electoral reform. I wonder if they can take on this challenge next year.

JoongAng Ilbo, Dec. 13, Page 34

독일제 크리스마스 선물의 추억 김승현 정치팀 차장
아내가 작심하고 산 크리스마스 선물은 감당이 안 됐다. 유럽 출장 중에 들른 쇼핑몰에서 독일 유명 브랜드의 점퍼가 눈에 띄었다고 했다. 파격적인 할인가에 ‘지름신’이 발동했고, 비행기를 탄 점퍼가 내 눈앞에 놓였다. 부부의 설렘은 거기까지였다. 감동과 기대 속에 입은 옷은 소매가 너무 길었다. 한국 평균 체형의 아재는 게르만 후예들의 팔 길이를 감당할 수 없었다. 10여 년 전 일인데도 멋쩍게 웃던 아내의 표정이 생각난다. 옷은 수선해서 입었지만, 그 독일 브랜드를 보면 지금도 위축된다. 연말 정치권의 작태를 지켜보다 독일이라는 연결고리로 그때가 떠올랐다.
① ‘광주형 일자리’는 독일 자동차 회사 폴크스바겐이 2001년 설립한 ‘아우토 5000’을 따라 한 상생 모델이다. 폴크스바겐 본사가 있는 독일 볼프스부르크는 인구 12만 명 중 5만 명이 폴크스바겐과 그 협력사에서 일했다. 1990년대의 경기 침체로 공장 해외 이전이 검토되자 노조가 반발했고, 경영진은 “공장을 안 옮기면 뭘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실업자 5000명을 채용하고 월급은 5000마르크(연봉으로는 3500만~4000만원) 수준에 맞추는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배경이다. 당시에도 임금의 하향 평준화, 새 공장의 비전 등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정치권의 설득, 20% 낮은 임금에 대한 사회적 대타협, 신차종 개발 약속 등의 디테일이 합의를 끌어냈다. 지금의 광주엔 기업과 일자리 모두 살리겠다는 절박함과 지혜가 있는가. 호남 표밭에서 일자리로 점수 좀 따겠다는 정치인의 목소리, 이를 이용하는 노동계의 계산기 소리만 들리는 것 같다.
② 여의도 정치권에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놓고 독일이 거론됐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와 이정미 정의당 대표가 일주일째 단식 중인 이유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독일식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하자는 얘기냐. 실현 가능한 ‘한국형’을 함께 찾자”고 단식 중단을 호소했다. 그들의 단식과 하소연을 이해하는 국민이 얼마나 될까. 각 정당의 속셈을 따지는 건 또 얼마나 복잡한 ‘수학’인가.
명분은 물론 국민이다. 당 지지율에 비해 소수당 의석수가 적어서 국회의원의 대표성과 비례성이 훼손된다는 논리다. 독일식은 당 지지율이 의석수에 고스란히 반영되는 배분 방식이다. 그러나, 어떤 제도이든 의원 중 누군가가 지역구를 포기하거나(300석) 비례대표 수를 늘리는(300+α석) 난제를 풀어야 한다. 내년도 예산 심사도 날림으로 가까스로 끝낸 여야가 그 무모한 도전을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