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psided reinvestigati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lopsided reinvestigation (KOR)

The legal yardstick must be the same for everyone. Its conclusion cannot be accepted if it applies differently to different people. Rulings have authority because people respect them. The law must therefore be enforced with clarity and singularity.

A special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Justice, which was set up to look into the past wrongdoings of the prosecution, has recommended the prosecution reopen an investigation into former Deputy Justice Minister Kim Hak-eui. The probe inevitably would have to challenge whether the prosecution’s early investigation of him in 2013 had been properly carried out. But it raises questions why the committee specifically named Rep. Kwak Sang-do of the opposition Liberty Korea Party, who served as the senior presidential secretary of civil affairs under President Park Geun-hye, and Yi Jung-hui, a former secretary of civil affairs, for having interfered with police investigation at the time.

It was neither clear nor fair to decide whom to include or not to include in the reinvestigation. The commission claimed Kwak had interfered with the police investigation by reprimanding the officers in charge or replacing the commanding officers at the police agency. The committee backed its claim with testimonies from Blue House officials and police at the time. Yet Cho Eung-cheon, a lawmaker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was excluded from the reinvestigation although he had been a staff of Park Geun-hye’s Blue House team in charge of overseeing public discipline. Former Prosecutor-General Chae Dong-wook, who was responsible for the prosecutorial probe at the time, was also not named by the committee.

The difference is that Kwak is an opposition lawmaker now and Cho a ruling party lawmaker. The committee claims there have not been enough testimonies against Cho. But Kwak, Cho and Lee all deny interfering with the police investigation. Why only two out of three men under the same condition and giving the same defense became subject to a new probe cannot be convincing. Kwak claims he has been singled out because he previously raised questions about President Moon Jae-in’s daughter and her suspicious emigration overseas.

A sex scandal involving former Deputy Justice Minister Kim is a serious problem on its own. But the investigation procedures also went critically wrong at the time. The prosecution denied all the police requests to seize, search, indict and ban Kim from leaving the country filed from March 28 to June 19, 2013. There could have been some kind of pressure from then-Prosecutor General Chae or senior offices of the prosecution. If you leave such questions unanswered, you can never correct past mistakes.

The committee must explain the grounds for its guideline on reopening old cases. The prosecution must also investigate on a fair and objective basis. It would betray the people twice if it applies double standards on the renewed investigation.

JoongAng Ilbo, March 27, Page 34

‘김학의 사건 재수사’ 조응천·채동욱은 왜 뺐나
법의 잣대는 하나여야 한다. 법이 대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면 따르기도 어렵지만, 마음속에서 승복할 수 없게 된다. 활자가 적힌 종이일 따름인 공소장과 판결문이 힘을 갖는 것은 국민이 승복하기 때문 아닌가. 법을 다루는 곳에 서면 그곳이 어디든 결정 하나, 표현 하나에도 온 힘을 기울여야 한다.
그제 나온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의 김학의 사건 관련 수사권고를 납득하기 힘든 것은 그래서다.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을 새로운 혐의(뇌물)로 수사하도록 권고한 것은 그간 부실 수사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1차수사(2013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던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과 이중희 전 민정비서관을 콕 집어서 ‘경찰 수사방해’ 혐의(직권남용)로 수사권고 대상에 넣은 것은 어떤 쪽에서든 이해하기 어렵다.
대상에 포함하고 포함하지 않은 기준이 엄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검찰과거사위 측은 곽 의원 등에 대해 “김학의 사건을 내사하던 경찰을 질책하거나 경찰청 지휘라인을 부당하게 인사 조치하는 등 수사를 방해했다”며 “이런 혐의가 당시 민정수석실 공무원과 경찰 등의 진술로 소명된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박근혜 정부 초기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으로 곽 의원 등과 함께 일하며 고위공직자 인사 검증·비리 감찰을 담당한 조응천 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수사권고 대상에 들어가지 않은 이유는 뭔가. 또 채동욱 전 총장 등 당시 검찰 지휘라인은 왜 대상에서 빠졌는가.
당장 곽 의원과 조 의원의 당적에 눈길이 갈 수밖에 없다. 단순히 “조 의원 등 관련 의혹에 대해선 구체적 진술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설명만으론 부족하다. 특히 곽 의원과 조 의원, 이 전 비서관 모두 “경찰수사를 방해한 적 없다. 오히려 경찰이 김 전 차관 첩보를 확인해주지 않다가 차관인사 발표 후 뒤늦게 얘기했다”고 입을 모았다. 이처럼 동일한 입장에 서 있는 세 사람 중 두 명만 대상에 포함한 데 대해 “표적수사”란 반발이 나오고 있는 건 지극히 당연하다. 당사자인 곽 의원은 자신이 문재인 대통령 딸의 해외이주 의혹을 제기한 것과 관련지어 보복성 수사 지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김학의 사건은 그 자체도 문제지만, 수사과정 역시 매우 부실했다. 검찰은 2013년 3월 28일부터 6월 19일까지 경찰이 김학의 사건과 관련해 신청한 통신·압수·체포 영장과 출국금지 신청 등을 모두 10차례 기각했다. 당시 채동욱 총장 등 검찰 지휘라인이 경찰수사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주목된다. 이 부분을 수사권고 대상에 넣는 게 ‘과거의 과오를 바로잡는다’는 검찰과거사위 도입취지에 맞는 것 아닌가.
이제라도 검찰과거사위가 한쪽은 들어가고, 한쪽은 빠진 이유가 무엇인지 제대로 된 설명을 내놓아야 한다. 검찰 역시 과거사위의 수사권고 내용을 객관적으로 검토한 뒤 공정한 기준에 따라 수사에 나서야 한다. 부실수사를 시정하기 위한 재수사가 ‘이중잣대’로 의심만 키운다면 국민을 두 번 실망시키게 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