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security risks ignited by Trump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security risks ignited by Trump (KOR)

Former U.S. President Donald Trump made it clear that he would stick to his previous position of demanding more defense co-sharing from South Korea than the current level, which he perceives as “free of charge,” if he returns to the White House upon winning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November. In a recent interview with Time Magazine, the former U.S. president implied that he would press on with his previous idea of a complete withdrawal of U.S. forces from South Korea if “the very wealthy country” pays “very little.” He was quoted as saying, “Why would we defend somebody? … They’re a very wealthy country and why wouldn’t they want to pay?”

It is the first time Trump laid out his position on Korea’s defense costs in the middle of the U.S. presidential race. He sent the clear message that Seoul should expect a fresh round of bargaining once he is back.

Seoul and Washington set the foundation for defense cost-sharing for the U.S. Forces Korea every five years by revisiting the Special Measures Agreement (SMA). In 2021, the two countries agreed that Korea contribute $1.03 billion for the cost-sharing, up 13.9 percent from its payment in 2019 and 2020. From 2022 to 2025, they agreed to raise defense cost-sharing according to Korea’s defense budget growth rate from the previous year. During the 11th SMA negotiations in 2019 under Trump, Washington demanded Seoul bear $5 billion, nearly five times the previous amount. Since the negotiations were concluded after President Joe Biden was inaugurated, Trump could stick to the earlier number of $5 billion.

The return of Trump puts Seoul in a sticky spot. U.S. bargaining with a military ally amid alarming North Korean threats and tighter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Pyongyang, Beijing and Moscow will expose security loopholes to North Korea in the perilous geopolitical climate.

Trump has been misrepresenting the facts about South Korea, inflating the 28,500-strong U.S. troops in the South to 35,000 and claiming South Korea is paying “very little” for them. Although we cannot know if the remark was intentional, we still can expect Trump to demand monetization of the security alliance.

Few can bet surely o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due to the tight race. We must ready ourselves meticulously for every risk. The government must first correct Trump and set the record straight. It must conclude the SMA negotiations that began last month as soon as possible, and the government must prepare a system for a security alliance that can’t be changed regardless of who wins the U.S. election. The National Assembly must demonstrate bipartisanship on the critical issue of national interests.
 
 
 
주한미군 주둔비 대폭인상 예고한 트럼프…리스크 관리책 마련해야


트럼프, "한국은 부유한데 왜 돈을 내고 싶어 하지 않나"
한국 관련 정확한 정보 사전에 입력시킬 채널 가동하길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 한국이 부담하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의 대폭 인상을 요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국이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 철수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뜻도 내비쳤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발간된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들(한국)은 아마 거의 돈을 내지 않고 있을 것(paying very little)”이라며 “왜 우리가 다른 사람을 방어하느냐. 그들은 부유한 나라인데 왜 돈을 내고 싶어 하지 않느냐”라고도 했다.  
 
그가 대선 레이스에서 한국의 방위비 분담금과 관련한 입장을 내놓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자신이 집권할 경우 한국도 ‘흥정’ 대상에서 예외일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한·미 양국은 5년마다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을 체결하고, 한국의 주한미군 주둔비용의 수준을 정한다. 현재 한국은 지난 2021년 합의에 따라 당시 1조1833억원을 기준으로, 다음 SMA를 체결할 때까지 한국 국방비 인상률이 반영된다. 트럼프 정부는 2019년 제11차 SMA 협상 때 당시 한국의 연간 분담금(1조389억원)의 6배에 가까운 50억 달러(6조9000억 원)로 증액을 요구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된다면 50억 달러를 기준으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이럴 경우 우리 입장에선 여간 난감한 상황이 아니다. 북한이 군사적 긴장을 높이며 중국·러시아와 협력을 강화하고, 한국의 경제상황은 녹록지 않다. 한·미·일이 힘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 안보의 핵심인 군사력을 거래수단으로 삼거나, 한미동맹 보다 북미 직거래에 나선다면 가뜩이나 불안정한 동북아 정세 속에서 안보의 약점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2만 8500명 수준인 주한미군의 숫자를 3만 5000명이라고 부풀리거나 “한국이 거의 돈을 내지 않고 있을 것”이라는 잘못된 언급을 반복하고 있다. 그의 이런 언급이 의도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안보를 돈과 직결시키겠다는 뜻은 분명해 보인다.  
 
현재 미국 대선결과는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초박빙 상황이다. 그런 만큼 정부는 트럼프 리스크에도 철저히 대비하길 바란다. 당장 트럼프 캠프에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잘못된 사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채널을 가동해야 한다. 지난달 시작한 SMA를 조기에 매듭짓고, 누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더라도 되돌릴 수 없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필수다. 정치권 역시 국익에는 여야가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행동에 나서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