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 and downs in food security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Ups and downs in food security



Elevators use the rope and pulley system developed by Archimedes, a Greek mathematician, in around 200 B.C. But it was only in the 19th century that the system was implemented. In 1853, Elisha Otis invented a device that prevented elevators from falling if the rope broke.

There are elevators for grain, too, which are used for drying, storing, grading, processing and transporting grain.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re are three types of elevators - country, river and export. Country elevators are similar to granaries. Grains gathered at country elevators are sent to all parts of the world through export elevators located at major ports. The export elevators are essential to the grain distribution network. And four major grain companies - ADM Milling, Bunge, Cargill and Dreyfus - have a monopoly. Over the past 100 years, they have increased their market share to 85 percent and have an enormous amount of power over the supply and market price.

That’s why we have raised the issue of food security. At present, our self-sufficiency rates for wheat and corn are only 0.8 percent. That of beans is 8.7 percent and barley 26.6 percent. Only the rate of rice is over 100 percent. This imbalance in grain production is the result of a misguided farming policy. Farmers concentrated on rice farming because the government purchased rice at a higher price than the market, even though the supply was already great. Therefore, our grain self-sufficiency is 54.9 percent, and the rate goes down further when the shortage of feed grain is added on top of it. Of the total domestic grain consumption of over 20 million tons per year, Korea’s reliance on imports is more than 75 percen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government will soon establish a grain company in Chicago. The project was initiated by the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in collaboration with Samsung C&T, Hanjin Group and STX Group. Their first step is to purchase 10 country elevators and rent export elevators from the four major elevator companies.

But there is a major flaw with the way the consortium is executing the plan. The purchase has already been announced by the government, but this information should have been kept under wraps until the purchase is made. Prices are likely to jump now that it’s been revealed that the would-be buyer is the Korean government. But it is troublesome because this purchase could be vital to our food security.

*The write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By Shim Shang-bok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는 기원전 200년경 그리스의 아르키메데스가 개발한 도르래 원리에서 출발했다. 우물에서 물을 길어 올릴 때 썼던 두레박·밧줄·도르래가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 응용된 것은 19세기 들어서다. 1853년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는 줄이 끊어질 경우 철로 만든 톱니가 브레이크 역할을 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처음 만들었다. 전기로 구동되는 승강기는 1880년 독일 지멘스가 시조(始祖)다. 국내에는 1910년 조선은행(현 한은 화폐금융박물관)에 처음 설치됐다.

엘리베이터는 전문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곡물을 건조·저장·분류·가공·운송하는 설비시스템을 말한다. 설치 장소에 따라 산지(country)·강변(river) ·수출(export) 세 종류가 있다. 산지엘리베이터는 대규모 경작지 인근에 자리잡는데, 곡물저장고로 불리는 사일로(silo)와 유사한 면이 있다. 여기에 집하된 곡식은 중간 단계인 '강변'을 거쳐 큰 항구에 위치한 수출엘리베이터를 통해 세계 각지로 보내진다. 곡물 비즈니스의 필수 유통망인 셈이다. A(ADM), B(벙기·Bunge), C(카길·Cargill), D(드레퓌스·Dreyfus)라 불리는 4대 곡물 메이저가 이런 시설을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100년 이상 사업을 해오면서 시장점유율을 85%로 키웠다. 전형적인 과점(寡占)으로 이들의 물량과 시세 결정력은 대단하다.

우리가 식량안보를 거론하는 배경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밀과 옥수수 자급률은 각각 0.8%에 불과하다. 콩은 8.7%, 보리쌀은 26.6%다. 쌀만 100%를 넘는다. 이런 불균형은 농정(農政)을 잘못 편 결과다. 쌀은 남아돌아도 정부가 시세보다 비싸게 수매((收買)해 주니 벼농사에만 몰두했던 것이다. 전체 식량자급률은 54.9%이고 사료용 곡물까지 포함하면 26.7%로 떨어진다. 한해 2000만t이 넘는 국내 곡물 소비량의 4분의 3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곧 미국 시카고에 곡물회사를 설립한다고 한다. 농수산물유통공사(aT)를 중심으로 삼성물산·한진·STX가 동참하기로 했다. 첫번째 목표는 산지엘리베이터 10기를 사들이고, 수출엘리베이터는 4대 메이저의 것을 빌려쓴다는 방침이다. 업계의 배타성을 감안할 때 말발이 먹힐지 의문이다. 엘리베이터 인수도 몰래 추진해야 한다. 한국 정부가 나섰다고 하면 가격이 뛸 수 있기 때문이다. 발표보다 시설 확보가 앞서야 했다는 말이다. 청와대의 한마디에 대책을 급조한 건 아닐까.

심상복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