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sure we’re not xenophobic
A line connects what are separated. A lifeline continues life, and a phone line carries messages of love. By nature, a line connects. However, a line can also mean separation. If you draw a line, you separate yourself from the others. So when you draw a line, or cross a line, the line is a crack. When a line meets another, the contact is secretive and mysterious.
The Jews are the most notable people who draw a line from other ethnic groups. They were so exclusive about their religion and ethnic heritage that they called non-Israelites “gentiles.” Marriage with a gentile was a taboo among Jews. It may be the origin of xenophobia, hatred or fear of foreigners. It comes from the Greek words xenos, meaning stranger, and phobos, meaning fear.
Koreans also had similar sentiment. The ancient Dongye chiefdom had an extreme aversion to foreigners. When members of a different tribe crossed the border, they had to pay a fine in the form of slaves or horses. But they allowed marriages with other tribes. They may have chosen to cross the line for the prosperity of the tribe. The tradition is similar to the reality in Korea, where people don’t welcome foreigners, though the number of multiethnic families is growing.
The recent terror attacks in Norway have shocked the world. It may be the dark side of the great migration of labor. Last year, racist skinheads in Russia attacked a concert hall, killing or injuring more than 10 people. France is built on the belief of “tolerance,” but it has recently turned to a hard-line immigrant policy. Neo-Nazis in Germany are emerging based on antagonism toward Turkish immigrants. They think immigrant workers are taking their jobs.
Li Si, chancellor of the Qin Dynasty, was once alienated by court officials before being welcomed. The officials urged the emperor to expel all foreigners. Originally from the Chu state, Li Si said, “River and ocean do not discriminate creeks.” The Yellow River and the ocean could become so wide and deep because they accepted even the smallest streams, and the king would be virtuous when he embraced all people. In a modern interpretation, a nation can become great and powerful when it does not alienate or exclude foreigners.
There are 1.26 million foreign residents in Korea. If you treat them as aliens, they will consider you a stranger as well. If we all become foreigners to one another, we would be lonely beings in a desert. We need to check ourselves to ensure there’s not a trace of xenophobia.
*The writer is a special director of jTBC.
By Park Jong-kwon
제노포비아(Xenophobia)
끊어질 듯 이어지는 것이 ‘선(線)’이다. 생명선은 숨을 잇고, 전화선은 사랑을 잇는다. 이처럼 선의 속성은 본디 ‘이음’이다. 그런데 지금의 선은 ‘단절’이다. 너와 나, 여기와 저기를 가른다. ‘선을 긋다’ ‘선을 넘는다’고 할 때 선은 ‘금(禁)’이다. 이 때문일까. 선과 선이 만나는 접선(接線)은 오히려 은밀하고 비밀스럽다.
다른 종족에 선을 그은 대표적인 민족이 유대인이다. ‘이방인’이란 말도 여기서 나왔다. 물리적 공간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선을 그었다. 이방인과는 통혼(通婚)조차 꺼렸다. ‘제노포비아(Xenophobia)’의 원조격이다. 이방인과 낯선 이를 뜻하는 그리스어 ‘제노(Xeno)’에 공포와 혐오란 뜻의 ‘포비아(phobia)’가 붙었다.
우리도 비슷하다. 고대 동예(東濊) 역시 지독한 이방인 기피증이 있었다. 부족끼리도 경계선을 넘으면 노예나 말로 벌금을 물어야 했다. 바로 책화(責禍)다. 그래도 족외혼(族外婚)을 했다. 종족의 번성을 위해서는 선을 넘어야 했던 것일까. 외국인을 기피하면서도 다문화가정이 늘어나는 현실과 어쩐지 맥이 닿아 있다.
최근 노르웨이에서 저질러진 반(反)다문화 극우주의자의 테러에 세계가 전율하고 있다. ‘노동력의 대이동’시대 음울한 이면(裏面)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러시아에서 ‘스킨헤드’로 불리는 인종주의자들이 공연장에서 테러를 저질러 10여명이 죽거나 다쳤다. 관용이란 뜻의 ‘똘레랑스’로 유명한 프랑스도 근래 이주민에 강경한 정책으로 돌아섰다. 터키 이주민에 대한 반감을 바탕으로 독일에 ‘신 나치’가 등장하고 있다. 근본 배경은 ‘일자리’다.
진(秦)의 천하통일에 초석을 놓은 이사(李斯)도 ‘객경(客卿)’과 ‘축객(逐客)’을 오갔다. 외국인에 일자리를 빼앗긴 신하들이 “외국인은 믿을 수 없다”고 왕을 충동질한 것이다. 이사는 초(楚)나라 사람이었다. 그의 항변은 광고문구로도 유명하다. ‘하해불택세류(河海不擇細流)’다. 황하와 바다는 작은 물줄기도 가리지 않고 받아들여 깊다는 얘기다. 왕 역시 뭇 백성을 물리치지 않아 덕(德)을 밝힐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현대적으로 보면 대국(大國)은 외국인을 배척하지 않아서 이뤄진다고 할까.
우리도 외국인 126만명 시대다. 그가 이방인이면, 나 역시 그에게 이방인이다. 모두가 모두에게 이방인이면, 우리는 사막 위 낯선 존재가 된다. 내 안에 ‘제노포비아’는 없는지 체크할 일이다.
박종권 jTBC특임위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