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eping a low profile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eeping a low profile

There are always some figures who exaggerate their role and influence during power transitions, for instance by claiming to be confidants to the new leader or at least part of their inner circle. Campaign staff tend to step into the limelight with the president-elect in the weeks leading up to their inauguration, and some flaunt their close connections to earn rewards, raising eyebrows and causing resentment from the general public.

President-elect Park Geun-hye has managed to keep her key aides and loyalists out of the presidential transition team. But their faces are likely to pop up here and there on the pretext of relaying Kim’s inner thoughts to members of the team. Considering the strong allure of power, it is likely some won’t be able to resist the temptation to try and grab more of it. One group of people is already said to be strutting around boasting of their roles as “advisers” to members of the transition team. They mostly work in private organizations supporting the president-elect, and are apparently seeking their share of the glory.

Transition committees usually divide into several subcommittees on state, foreig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ffairs, with the head each leading a group of experts and advisers. Incumbent President Lee Myung-bak recruited 558 advisers for his team five years ago; his predecessor Roh Moo-hyun had as many as 700 back in 2002, not to mention various private organizations who worked for him. These advisers often ascend to the position by virtue of their ties to the president-elect, rather than based on their expertise, morality or abilities. As such, past presidents and governments have typically been questioned about how much they were vulnerable to cronyism and favoritism.

The motivation of those who ditch their jobs to help the president-elect is rarely noble and altruistic. They are usually either after a government post or an election nomination. Some have subsequently embarrassed the president after being hit with corruption charges. They can also branch off and raise factional strife, giving the opposition a good excuse to launch new attacks.

Park decided not to recruit an outside team of advisers to help her transitional team. She took that they are often more trouble than they are of help. Also the team can always seek out additional help as the needs arise, so there is little sense in going through the formality of handing out advisory titles for the one-month period.

People are sensitive to subtle shifts of power during such a transitional period, as the inner circle moves to cement its ranks and positions. However, if they are truly loyal to the president-elect, these figures need to prove their worth rather than merely expecting high-level positions to be handed down to them in return for their past efforts.


권력교체기에 호가호위하는 세력방치하면 국정 농단할 위험 커져인수위 출범 계기로 단호히 막아야    권력교체기엔 늘 측근입네, 실세입네 하며 호가호위(狐假虎威)하는 자들이 나타난다. 특히 대통령 선거 직후부터 새 정부 출범 초까지 기승을 부린다. 이른바 ‘완장’들이다. 선거 때 도왔다, 당선인이나 실세와 가깝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권력의 위세 한 자락을 거머쥐려는 자들이다.이들의 횡포는 국민의 불신과 불만의 대상이 되곤 했다.   박근혜 당선인은 아직까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친박’ 정치인의 기용을 자제하고 있다. 하지만 인수위의 본격 가동을 계기로 권력이 가시적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 ‘완장’이 등장할 가능성이 점점 커진다. 우리 사회 곳곳에 뿌리 박혀 있는 권력지향 의식 때문이다. 어느 실세와 가깝다고 보도된 한 고위 공직자는 “갑자기 여기저기서 밥 먹자는 전화가 밀려오더라”고 했다. ‘완장’의 유혹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   또 인수위 출범 뒤엔 무슨 자문이니, 고문이니 하는 명함을 멋대로 쓰며 위세를 부리는 이들도 나온다. 소위 ‘명함세력’이다. 대개는 당선인의 사조직 출신이다. 이들이 인수위 명함을 팔아 사익(私益)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역대 인수위는 정무·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과에 간사와 인수위원 2~3명을 중심으로 전문위원과 자문위원들이 수십 명씩 배치돼 있었다. 5년 전 이명박 당선인의 인수위 자문위원은 558명이었다. 2002년 노무현 당선인 시절엔 무려 700명에 달했다. ‘안국포럼’ ‘선진국민연대’ ‘노사모’ 같은 사조직 출신들이 많았다. 실무능력, 전문성, 도덕성 등에 대한 검증을 거치지 않은 채 지연·학연 등 1차적인 인연을 바탕으로 뭉친 집단이었다. 대통령 임기 내내 연고주의가 판을 칠 수밖에 없는 구조였던 것이다.   생업을 놔두고 인수위 자문위원 명함을 뿌리며 돌아다니는 이들의 목표는 뻔하다. 관직 아니면 공천이다. 자문위원 중 일부는 부적절한 처신을 하거나 비리에 연루돼 결국 대통령에게 부담을 주기도 했다. 자기들끼리 파벌을 만들어 싸우느라 내부 갈등을 일으키는가 하면, 야당에게 공격의 빌미를 제공한 적도 많다.   이런 시기에 6일 본격 출범한 박근혜 인수위가 자문위원직을 두지 않기로 한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자문위원이 실무엔 별 도움을 주지 못하면서 정치적으로 잡음을 일으키곤 했다는 비판을 의식한 듯하다. 자문이 필요하면 그때그때 제일 잘 아는 이에게 물어 보면 된다. 자문위원은 명함을 뿌리며 위세를 자랑하라고 있는 자리가 아니다.   새 정부의 틀이 짜여지는 시기엔 누구나 권력의 풍향에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 이게 바로 ‘완장’과 ‘명함세력’이 발호할 수 있는 토양이다. 이들이 엇나가면 결국 ‘국정 농단세력’으로 변질되기 쉽다. 이명박 정부의 실정(失政)도 상당 부분 여기에서 비롯했다. 박 당선인은 이미 대통합 인사를 공약했다. 이를 위해서라도 권력을 팔아 이권을 챙기려는 ‘완장’과 ‘명함세력’의 출현을 단호히 막아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