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the real work begin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w the real work begins

The consumer scare regarding chemicals in everyday household goods is spreading fast. Since the probe into killer humidifier sterilizers, consumers have become skeptical and anxious of all consumer products from anti-odor sprays to mouth cleaners. Housewives are throwing away products containing questionable chemicals and studying labels. The public remains unconvinced of the genuineness of Reckitt Benckiser Korea, the maker of the Oxy line of humidifier sterilizers that killed scores of people, even after its CEO arrived in Daejeon to deliver a belated personal apology to a group of victims and families.

But the local government is strangely calm about the issue. The minister of environment claims the government could not respond at the time when the health ministry ordered a recall on humidifier sterilizers, linking them to lung ailments in 2011, because there were no adequate regulations. The industry and health ministries say the case is out of their jurisdiction. How can government offices toss around responsibility when public health and safety are at stake? Recent cabinet meetings on social affairs, chaired by the deputy prime minister on society, underscore how poorly the government comprehends and addresses the threat from biocides in everyday household consumer products. Instead of coming up with effective measures, the cabinet idly discussed the scrutiny of foreign species. Environment Minister Yoon Seong-kyu spoke on the issue by way of a video conference call from Sejong administrative municipality with the rest of the cabinet.

Chemicals are indispensable in everyday modern lives. Before people were known to have been sickened and killed through the daily inhalation of toxic chemical substances from humidifiers, we did not realize that biocides take up 30 percent to 40 percent of everyday chemical substances.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inform the public of this threat. Companies abused the lax regulations and supervision for profit. Authorities also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global trend. The European Union has been regulating biocides since 1998, supervising them under different groups. For instance, chloroethane is strictly prohibited in any compressed aerosol flammable gas. The damage is done, but the work to prevent further damages must be carried out immediately. The government should first of all unify biocide supervisory and regulatory offices. The act on evaluating chemical substances full of loopholes also must be fixed. It does not make sense to exempt companies from toxicity safety tests because they manufacture, import or product a certain amount. Regulations must be strengthened, not eased. The government must demonstrate the will and resolution to show it makes public interest its priority.


JoongAng Ilbo, May 21, Page 26


국민의 생활화학물질에 대한 불안감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안방의 세월호 사건'인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의 여파로 탈취제·세정제·구강 청결제 등 생활화학물질에 대한 불신이 공포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아예 제품을 내다 버리거나 유해성을 일일이 확인하는 이들이 많다니 사태의 심각성이 예사롭지 않다. 어제 아타 울라시드 사프달 옥시레킷벤키저 대표가 대전에서 가습기 피해자와 가족에게 뒤늦게 사과를 했지만 진정성을 보여주지 않아 국민의 마음은 편치가 않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의 대응은 한심하기 짝이 없다. 주무 부처 장관인 환경부 윤성규 장관은 여전히 "당시 법령 미비 탓"으로 돌리고, 관계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 등은 '나 몰라라' 한다. 국민의 안전·생명과 직결된 문제에 부처 간 핑퐁이 가당한 일인가.
어제 이준식 사회부총리 주재로 열린 제6차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도 정부의 총체적 부실 대응이 드러났다. 범정부차원에서 생활화화물질에 함유된 살생물제(Biocide) 관리 체제를 정비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기는커녕 엉뚱하게도 '외래생물관리 개선 방안' 등을 의제로 다뤘다. 더욱이 윤 장관은 세종시에서 화상회의로 참석해 외래종을 논의했다니 어이가 없다.
세계적으로 생활화학물질이 필수품이 된지는 오래다. 그렇지만 우리 국민은 이번 사태 전에는 생활화학물질의 30~40%는 살생물제라는 걸 잘 몰랐다. 정부가 유해성과 위해성에 대해 잘 알리지 않았고, 그 틈을 타 기업체는 이익 챙기기에만 급급했기 때문이다. 공무원들은 선진국 동향에도 눈을 감았다. 유럽연합(EU)은 1998년부터 전체 화학물질 중 살생물제를 지정하고 사용기준을 물질 단위로 통합 관리하고 있다. 예컨대 '클로로에테인(염화비닐)은 어떠한 용도로도 에어로졸 압축 불활성 가스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깨알 같이 규정하는 식이다. 그런 좋은 사례를 내팽개치고 대체 뭘 배워왔단 말인가.
지금 시급한 것은 '소는 잃었어도 외양간은 제대로 고치는 일'이다. 우선 5개 부처로 산재돼 있는 살생물제 관리 체계부터 정비하라. 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살균제·살충제, 환경부 소독제, 농림축산식품부 농약, 해양수산부 방오제, 산자부 습기제 같은 식의 관리를 고집하는 건 부처 밥그릇 싸움에 불과하다. 허점이 드러난 '화학물질의 등록·평가에 관한 법(화평법)'도 손질해야 한다. 연간 1t 미만을 수입·제조·판매하면 독성시험을 면제해 주는 게 과연 타당한 규제 완화인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한 규제는 더 강화하는 게 올바른 방향이다. '살생물제관리특별법' 지정도 서둘러야 한다. 환경부의 화평법, 산업부의 품공법(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복지부의 약사법 등이 따로 놀면 절대 '내 일'이라는 책임감이 생기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정부의 강력한 의지다. 국무조정실장, 국무총리, 더 나아가 대통령이 직접 나서 통합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 그래야 제2, 제3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을 막을 수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