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nsori masters bring years of experience to ‘Tale of Simcheong’

Home > Culture > Korean Heritage

print dictionary print

Pansori masters bring years of experience to ‘Tale of Simcheong’

테스트

Ahn Sook-sun, left, and Yu Su-jeong, right, are the top two pansori “Queens” at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When pansori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inging) singer Kim Seong-nyeo was appointed to lead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in 2012, she announced that she’ll breathe new life into changgeuk, or traditional Korean opera, so that even young Koreans enjoy traditional performing arts by retelling the five surviving pansori stories - Chunhyangga, Heungbuga, Jeokbyeokga, Sugungga and Simcheongga.

For the past six years, Kim has invited world renowned directors and has added modern touches to the traditional stories. In 2011, German stage director Achim Freyer worked on “Sugungga,” while American-Romanian theater director Andrei Serban worked with “Chunhyangga” in 2014. Famous Korean playwright Ko Sun-woong was also invited to work on “Heungbuga” and opera director Lee So-young had a go at working with the famously difficult story “Jeokbyeokgga.”

The company only has one tale left to tell, the beloved story of “Simcheongga.”

For this production, Kim decided to go back to its roots and asked pansori master Ahn Sook-sun and stage director Sohn Jin-chaek to produce a genuine changgeuk piece using the tale of Simcheong. Because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where the company usually stages performances, is under renovation, the upcoming “Simcheongga” will run from April 25 to May 6 at the Myeongdong Art Theater in central Seoul.

Kim entrusted Ahn, 69, to write narration and to perform it for the upcoming performance. The role of the narrator, known as dochang, will be played by pansori master Yu Su-jeong, 57, when Ahn is not performing.

Ahn and Yu are known as the two leading female pansori singers in Korea. They met 40 years ago while learning under the teacher and pansori maestro, Kim So-hui. Later, Yu followed Ahn and joined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becoming Ahn’s apprentice.

To learn about the upcoming performance, the JoongAng Sunday,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sat down with the two masters recently for an interview.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Q. Ahn, why has Yu been so special to you?

테스트

Top: Ahn Sook-sun, left, and Yu Su-jeong, right, star as the dochang, or narrators, in the upcoming pansori, traditional Korean opera, “Simcheongga.” Middle: Choreographer Ahn Eun-mi, left, and director Sohn Jin-chaek, right, talk to the cast of “Simcheongga.” Above: Lead actors Yu Taepyungyang, left, and Min Eun-kyung, right, practice “Simcheongga” at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SHIN IN-SEOB]

A. Ahn
: She had a natural gift. Although she has gained a lot of weight now, she used to be slim and very pretty. (laughs) She was good hearted but was quite lazy at studying. I wanted to lead her so that she can earn the title of a renowned pansori singer and perform in front of many people with what she had. I didn’t understand why she was wasting her talent. Now, we have become teachers and the oldest [members] in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who take care of each other.

Yu: [Ahn’s] first words to me were “Hey, what are you so high and mighty about?” The words pierced my heart and I couldn’t sleep for days from crying. Eventually, I took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and studied hard for six years. I still think about where I would be if that didn’t happen. I’m very thankful [for Ahn]. Now, whenever I face personal problems, I run to Ahn to ask for advice. She’s not only my pansori teacher but also my life mentor.



They say being a pansori singer is a never-ending road. Why is that?

Ahn
: As you age, you see objects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When you’re young, you only look at the outside and think there’s no need to look inside, but now I want to see the inside. Pansori has an inner side to it. Pansori is made up of literature, acting and music so it is malleable and there’s no such thing as a complete [piece]. It’s the same with how people live.

Yu: With pansori, I think energy gradually accumulates. [I think] because of such accumulated energy, [Ahn] always performs as if she is possessed on stage. The rest of us are not at that stage. We have a long way to go to become a virtuoso like Ahn.

Ahn: I’m not a virtuoso. Even if I don’t practice for two or three days, it shows [in my performance]. [In that sense,] pansori is very honest. Nowadays, I get scared before going on stage. I pray a lot to control the fear in my heart.



Director Sohn said, “Pansori is in the beats of all contemporary music.” Can you talk about the rhythm?

Yu
: Eight years ago, when we were performing “Sanbul,” Ahn was the composer and she started to rap quickly. She had to be exact so that [the crowd could properly] hear her. So, whenever that part came, her artery was about to burst. (laughs)

Ahn: Our teacher Choi Baek-ho said, “Rap came from pansori. All the old teachers were rappers.” When you hear the part where Simcheong falls [into the water], the words are incredible. Although the author [of the tale of Simcheong] is unknown, I’m certain it was written by high class writers.



From what I saw at practice, the dochang is quite prominent in the performance.

Yu
: Maybe it’s because the performance is dedicated to Ahn. (laughs) I think it’s [the result of] the director wanting to showcase pansori in its original form. [The director] told us to try not to act, but rather, sing.

Ahn: To be honest, it’s not my turn [yet] to receive such dedication. It should be the teachers [before me] who have placed all their fervor into changgeuk. I’m working to the late hours because I share the same heart as the director, wanting to make pansori the musical play that represents our country. I’m hoping changgeuk becomes like China’s Beijing opera and Japan’s kabuki.

BY YOO JU-HYUN [[email protected]]



"삶에 완성이 있나요, 소리도 평생 가야죠"

“많은 연출가들이 창극을 오페라처럼 또 뮤지컬처럼 만들자고 했죠. 하지만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창극이 만들어져야 해요. 어느 나라나 그 나라를 대표하는 음악과 극이 있잖아요.”(안숙선)

국립창극단이 정통성 있는 ‘대표창극’ 제작에 나선다. 지난 6년간 아힘 프라이어, 안드레이 서반 등 외국 거장, 이소영·고선웅·서재형 등 타장르 스타 연출가들과의 적극적인 실험으로 창극은 공연계에서 가장 핫한 장르가 됐다. 평생 한국적인 연극을 화두 삼아온 연출가 손진책은 판소리의 진수를 보여주는 ‘심청가’(4월 25일~5월 6일 명동예술극장)로 창극의 본질에 다가선다.

김성녀 예술감독은 여기에 ‘안숙선 헌정 공연’이란 부제를 달았다. 1979년 국립창극단에 입단해 예술감독까지 지내며 오랜 세월 대들보 역할을 해온 안숙선(69) 명창에게 작창과 도창을 맡긴 것. 그의 후배이자 제자인 유수정(58) 창악부장도 더블캐스팅으로 안 명창을 따르고 있다. 판소리계 두 ‘왕언니’를 만나 ‘대표창극’이 보여줄 ‘판소리의 진수’를 살짝 미리 맛봤다.

4일 오후 국립창극단 연습실은 안무가 안은미의 특별출동으로 동선 재정비가 한창이었다. “도창이 작품의 주체”라는 손진책 연출의 말대로 안숙선 명창은 배우들 주변을 맴돌며 내내 분주했다. 창극단 최고참인 유수정 명창도 안 명창을 그림자처럼 따랐다. 연습은 저녁 늦게까지 끝날 줄 몰랐고, 유 명창은 지쳐보이는 안 명창을 안마까지 하며 살뜰히 챙겼다. “눈빛만 보면 선생님 컨디션을 알거든요. 몸이 힘드신 게 보이니까 해드리는 거지 ‘미투’ 안마는 아니에요(웃음).”(유수정)

두 사람은 만정 김소희 선생에게 동문수학한 선후배로 40년전 처음 만났다. 유 명창이 안 명창을 좇아 창극단에 입단했고, 만정 타계 후에는 사제지간이 됐다. “유수정씨는 만정 선생의 거의 막내 제자거든요. 선생이 돌아가시고 나니 내가 대신 챙겼지만, 제자라기보다는 후배죠.”(안) “선생님께 깊은 마음을 갖게 된 동기가 있어요. 당신과 무관한 일에는 1분도 할애 안 하는 분인데, 창극단 예술감독 시절 저를 불러다 2시간 동안 앉혀놓고 야단을 치셨어요. 중퇴한 대학을 다시 다니고, 대회에 나가 상도 타고, 갈고닦아 완창도 준비해라. 네가 사람이 되려면 내 말을 듣고, 네 맘대로 할 거면 사람구실 못할 거라고 하셨죠.”(유)

왜 그렇게 특별히 챙기셨나요.
안: 내가 보기에 재질도 좋고, 지금은 살쪘지만 그땐 날씬하고 예뻤거든요(웃음). 성격도 원만한데 공부를 안 하더군요. 명창 칭호도 얻고 많은 사람에게 들려줘야 할텐데, 아까운 재질을 왜 낭비하나 싶었죠. 지금은 교단에도 서고 창극단의 제일 어른이 되어 같이 걱정하는 사이가 됐어요.
유: 그때 첫마디가 ‘야, 너 뭐가 그리 잘났냐’였어요. 아주 가슴에 콕콕 박히게 다그치셔서 며칠을 울고 잠도 못잤죠. 결국 수능을 다시 봐서 6년 동안 열심히 공부를 했는데, 지금도 가끔 그 일이 없었다면 내가 어떻게 됐을까, 새록새록 감사한 마음이 생겨요. 이젠 개인적인 일이 생겨도 선생님 댁으로 달려가 해답을 얻죠. 소리 스승이자 인생 멘토로, 든든한 비빌 언덕이죠(웃음).=

소릿길은 평생 가는 길이라는데, 왜 그런가요.
안: 나이 먹을수록 사물이 바로 보이잖아요. 젊을 땐 겉만 보이고 속을 알 필요도 없다 생각하지만, 지금은 내면에 있는 것들을 알고 싶죠. 소리도 내면이 있어서, 겉으로 찰랑찰랑 하는건 부끄러운 거에요. 소리는 문학·연기·음악이 어우러져 만들어지는 거라 변화무쌍하고 완성이라는 게 없어요. 사람 사는 것도 똑같잖아요.
유: 소리는 에너지가 점점 축적되는 것 같아요. 창극단에 유명한 전설이 있죠. 어느날 경비 아저씨가 오밤중에 쑥대머리를 만나 놀라 자빠졌는데, 안 선생님이 산발을 하고 늦게까지 혼자 연습에 열중하고 있었던 거예요. 그렇게 축적된 에너지들이 있기에 아무리 컨디션이 안 좋아도 무대만 올라가면 신들린 듯 하세요. 우린 그 정도는 아니죠. 선생님처럼 득음하려면 멀었어요.
안: 득음은 없어요. 2~3일만 안 해도 바로 티가 나니 찰나일 뿐이에요. 참 소리란 게 정직해요. 요즘은 무대 전에 더 겁이 나죠. 그 겁나는 맘을 다스리느라 기도를 많이 합니다.

‘판소리 본질을 살린 창극’을 표방했는데, 판소리의 본질이란 뭘까요.
안: 판소리의 이면과 내면, 고저, 장단, 시김새 같은 것들이 서양음악과 다르거든요. 우리는 내면을 울리면서 나가야되고 서양음악은 직접적으로 가니까요. 서양음악과 만나는 작업들은 깊이 들어가지 못하고 겉으로만 드러내기 쉽죠.

손 연출이 “판소리는 모든 현대음악 비트를 다 갖고 있다” 했는데, 우리 장단 자랑 좀 해주세요.
유: 8년 전 ‘산불’할 때 안 선생님이 작창을 하셨는데, 휘모리장단을 완전 랩으로 쓰셨어요. (한 소절 시연하며) 이렇게 휘몰아치는 걸 또 정확하게 들리게 해야 하니, 그 대목만 나오면 동맥이 터질 뻔 했죠(웃음).
안: 최백호 선생이 “랩이 판소리에서 나온 것”이라 했죠. 옛날 선생들은 다 랩가수에요. 심청이 빠지는 대목만 들어봐도 사설이 너무너무 멋진데, 작자 미상이지만 당대 하이클래스 문장가들이 만든 게 분명해요.

연습을 보니 도창 비중이 상당합니다.
유: 안 선생님 헌정 공연이라 그런가(웃음). 연출께서 판소리 원형을 그대로 옮기려니 그런 것 같아요. 우리에게도 일부러 연기하려 하지 말고 그냥 소리하라고 하시거든요.
안: 무슨 헌정이라고 해서 괜히 더 바빠졌죠(웃음). 사실 내가 헌정받을 군번인가요. 창극 위해 모든 정열 쏟아부은 스승들 차례가 먼저죠. 부담돼서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대본을 봐요. 나는 아직도 공부를 많이 해야 해요. 다만 손 연출이 판소리를 잘 살려서 우리나라 대표하는 음악극을 만들어보겠다는 마음에 공감해 이 시간까지 이러고 있는 거죠. 한국의 창극이 중국의 경극, 일본의 가부키 같은 대표성에 도달하기를 간절히 소망하면서 작업하는 중입니다.

유주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