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Cold War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new Cold War (KOR)

PARK HYUN-YOUNG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global economic news team of the JoongAng Ilbo.

U.S. President Donald Trump’s tweets and Turkish President Recep Tayyip Erdogan’s speech caused the Turkish lira to plummet and stirred the global financial market. It was Trump that pulled the trigger. At 8:47 a.m. on Aug. 10 he tweeted, “I have just authorised a doubling of Tariffs on Steel and Aluminum with respect to Turkey as their currency, the Turkish Lira, slides rapidly downward against our very strong Dollar!” To clarify his intention, he added, “Our relations with Turkey are not good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Turkish Lira immediately began to fall. On that day alone, it fell by 14 percent. Erdogan said in a speech that the United States was waging an economic war on Turkey. “We are aware that the issue is not the dollar, euro, gold … These are the bullets, cannon balls, missiles of an economic war waged against us.”

While the crisis is due to Turkey’s vulnerable economic structure — its external debt to GDP is over 50 percent, or as high as 70 percent according to Deutsche Bank — it was Trump that placed the last straw that broke the camel’s back.
It is the age of economic cold war. If the mid-20th century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was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socialism and capitalism, countries are now waging economic wars to protect national interests. Weapons and damages now come in economic form.

Unlike during the old Cold War era, it is hard to distinguish enemies from friends. The United States was fighting against the EU before a truce last month. Already imposing tariffs on steel, the United States threatened to increase tariffs on automobiles, only to turn to negotiations at the last minute. In trade negotiations with Mexico, the United States presses to raise automobile workers’ wages. On the surface, they address the poor labor conditions, but in reality, they want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gap. Washington used tariffs as a weapon against Japan as well.

The best example of the economic Cold War led by the United States is China. The critical issue that triggered an all-out war against China was the Made-in-China 2025 plan. The Chinese government plans to nurture semiconductors, aviation and robotics to fill 70 percent of the key material and part industries with Chinese products by 2025. It plans to become technologically independent. It also means that jobs and profit in the United States will decrease or disappear. While the United States has a large trade deficit with China, it is also China that buys advanced American technology the most. China is the biggest customer of Boeing.

The arms race of the original Cold War also applies to the economic cold war. It is a race for innovation. It is a fight to keep, or take, global leadership in advanced technologies. As the arms race accelerate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and space exploration become possible. The race of innovation will also boost the advanced technology and industrial capaciti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t may help mankind, but it is hard for Korea. While Korea is working on income-driven growth, the global economy is changing.

JoongAng Ilbo, Aug. 15, Page 26

경제 냉전 시대를 사는 법 박현영 글로벌경제팀장

트럼프의 트윗과 에르도안의 연설. 터키 리라화 급락으로 시작해 세계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한 것은 이 둘이었다. 방아쇠를 당긴 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었다. 10일 오전 8시 47분 트위터에 ”방금 터키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두 배로 올리는 안을 승인했다“고 썼다. ”우리의 강한 달러와 비교해, 터키 리라화는 급속히 하락하고 있으며 지금 터키와 (미국의) 관계가 좋지 않다“고 덧붙여 의도를 분명히 했다.
직후 리라화 가치는 죽 빠지기 시작했다. 이날 하루 14% 하락했다. 앞서 리세프타이입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연설에서 “미국이 터키를 겨냥해 경제 전쟁을 벌이고 있다” “미 달러와 유로, 금이 탄환과 포탄, 미사일로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 대외 부채 비중이 국내총생산(GDP)의 50%(도이체방크에 따르면 70%)를 넘는 취약한 경제 구조가 금융위기의 근본 이유지만 낙타 등에 지푸라기를 얹은 건 트럼프 대통령이었다.
바야흐로 경제 냉전 시대다. 20세기 중반 미국과 소련이 주도한 냉전 시대이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이념ㆍ체제 간 대립이었다면 지금은 국익을 지키기 위한 경제 전쟁으로 바뀌었다. 무기도, 피해도 모두 경제로 나타난다. 옛 냉전 시대처럼 적과 동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미국은 유럽연합(EU)과도 일전을 벌이다가 지난달 휴전했다. 철강에는 이미 관세를 매겼고, 자동차는 관세 부과 위협을 하던 중 협상으로 급선회하면서 일단 대상에서 빠졌다. 멕시코와 무역 협상에서는 자동차 노동자의 임금을 올리라고 압박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멕시코의 열악한 노동 조건을 문제 삼았지만 속내는 미국과의 제조 비용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우방 일본에도 관세 무기를 썼다.
미국이 주도하는 경제 냉전의 가장 큰 본보기는 중국이다. 중국과 전면전을 벌이게 된 결정적 계기는 ‘중국 제조 2025’ 계획이다.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반도체ㆍ항공ㆍ로봇 등 첨단 분야를 육성해 핵심 소재ㆍ부품 산업의 70%를 중국산으로 채우겠다는 비전을 세웠다. 기술적으로 자립하겠다는 선언이다. 이는 앞으로 미국 내 일자리와 미국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거나 사라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국의 대중국 무역 적자가 크지만, 미국의 첨단 기술을 가장 많이 사 가는 곳도 중국이다. 중국은 보잉의 최대 고객이다.
냉전 시대의 군비 확장 경쟁이 경제 냉전 시대에도 적용된다. 혁신 경쟁이다. 첨단 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잃지 않으려는, 또는 얻으려는 싸움이다. 군비 경쟁이 가속하면서 과학 기술 발전과 우주 개발이 가능했듯 혁신 경쟁은 미ㆍ중의 첨단 기술과 산업 역량을 더욱 끌어 올릴 것이다. 인류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한국으로선 고달픈 일이다. 우리가 소득주도성장에 몰입한 사이 세계 경제는 이렇게 돌아가고 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