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Hong Kong as we know it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Not Hong Kong as we know it (KOR)

PARK SEONG-HUN
The author is a Beijing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I vividly remember. In August 2019 at the height of the protests, I met the student president on the campus of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Why do you protest,” I asked. He replied that if they remained silent, they would lose. When I asked if there’s any hope for victory, he said, “People are moving. There’s an election next year.” And he mentioned Gwangju, as he wanted to learn from Korea’s experience of democratization. There was hope then. No one expected Hong Kong would change just a year later.

In retrospect, the Chinese government had thorough strategies. After Vice Premier Han Zheng visited Shenzhen in November last year, protest suppression became unprecedentedly intense. It was clear that protests were being suppressed by force. Protestors were injured and pushed. Fires spread in downtown streets. The police didn’t seem to care. After universities were locked down, protestors were dispersed. The spring did not come. Covid-19 was a disaster for China, but ironically, it offered a chance to dominate Hong Kong. People could not resume protests. Two major political events in China —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Chinese People’s Political Consultative Conference — were held in May, and as if they were biding time, the security act was passed. The legal system is now in China’s hands.

People who called for Hong Kong’s autonomy, independence or foreign help were to be arrested. On the day when the security act was passed, the people of Hong Kong carried blank papers on the streets. Instead of slogans, they played flutes. They could no longer sing, “We are afraid. We keep our heads up and cry out the slogans for freedom to come.”

And that was not the end. Hong Kong’s Legislative Council has 70 lawmakers who are elected every four years. 35 are directly elected from districts while 35 are selected from functional representatives. 19 of them are in the democratic alliance. They, however, were not safe. Four of them were stripped of the position because they went to the United States and asked for help in July. The lawmakers who were elected by the people could not survive in the fearful standard of “national security.” The remaining 15 members resigned.

Probably because of the confidence as the second-largest economy in the world after the United States, China’s changes can be seen in how it deals with Hong Kong. China is no longer daunted by international criticism.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emphasizes internal unity to surpass the United States.

Now the flame is spreading beyond Hong Kong to Taiwan. China is criticizing the Tsai Ing-wen government for elevating war tensions day by day. The Chinese military is training for a landing operation for a Taiwan invasion scenario. As next year marks the 110th anniversary of the Xinhai Revolution, there are reports that Beijing is discussing how to celebrate. The U.S. relationship is a variable, but Taiwan unification is a constant for China.






홍콩은 없다
박성훈 베이징 특파원
 
선명하게 기억한다. 시위가 거셌던 작년 8월 홍콩 침례대 캠퍼스에서 학생회장을 만났다. 왜 시위를 하는가. 침묵하면 진다고 했다. 이길 수 있다는 희망이 있는지 물었다. 그는 “시민들이 움직이고 있다. 내년에 선거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광주 얘기를 꺼냈다. 한국의 민주화 경험을 배우고 싶다면서. 당시만 해도 희망이 있었다. 1년 뒤 홍콩이 이렇게 바뀔 줄 그땐 누구도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돌이켜보면 중국 정부의 전략은 치밀했다. 그해 11월 한정 중국 부총리가 선전을 전격 방문한 뒤 시위 진압 강도는 전례없이 세졌다. 힘으로 누른다는 게 확실했다. 시위대는 다쳤고, 밀렸다. 도심엔 불길이 치솟았다. 경찰은 아랑곳하지 않았다. 대학마저 봉쇄한 뒤 시위대를 결국 해산시켰다. 봄은 오지 않았다. 코로나19는 중국으로서도 재앙이었지만 역설적으로 홍콩을 장악할 기회였다. 시위를 재개할 수 없었다. 5월 열린 양회는 기다렸다는 듯 보안법을 통과시켰다. 사법 체계가 중국의 손에 들어갔다.  
 
홍콩 자치를, 독립을, 외국에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은 모두 붙잡히게 됐다. 보안법이 통과된 날, 홍콩 사람들은 거리에서 백지를 들었다. 구호 대신 피리가 등장했다. ‘우린 그렇게 두렵다. 고개를 들고 구호를 외친다. 자유가 다시 오길...’(‘홍콩에 영광을’ 가사) 외칠 수 없는 홍콩인들은 피리를 불었다.  
 
끝이 아니었다. 홍콩 의회는 70명의 의원이 있다. 4년에 한 번 뽑는다. 35명은 직무 대표, 지역에서 35명을 뽑는데 이 중 19명이 범민주파 계열이다. 과반도 안 되는 이들도 무사하지 못했다. 의원 4명이 7월 미국을 찾아가 홍콩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는 이유로 의원직을 박탈당했다. 시민들의 손으로 뽑은 의원도 ‘국가안보’란 서슬 퍼런 ‘잣대’ 앞에 살아남을 수 없었다. 나머지 15명도 사퇴했다.  
 
미국에 이은 경제대국이란 자신감 때문일까. 홍콩을 다루는 방식에서 중국의 변화가 읽힌다. 국제사회의 비난에 위축됐던 중국은 더 이상 없다. 시진핑 주석은 2035년 장기 개발 청사진을 제시하며 미국을 넘어서기 위해 내부 단합을 강조하고 있다. 연임은 사실상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불씨는 홍콩을 넘어 이제 대만에 옮겨붙고 있다. 중국은 차이잉원 정부가 전쟁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며 연일 비난을 쏟아낸다. 중국군은 대만 침공을 가상한 상륙 작전 훈련에 열을 올린다. 신해혁명 110주년이 되는 내년, 베이징에선 이를 어떻게 기념할지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미·중 관계가 변수지만 중국에 대만 통일은 '상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