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e ripples from bitcoi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Wide ripples from bitcoin (KOR)

 KANG KI-HEON
The author is an industry 1 team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Satoshi Nakamoto is the person who created bitcoin. In October 2008, he appeared on the internet and disappeared without a trace in April 2011. It all began with a nine-page paper. Nakamoto proposed a new electronic currency that does not require banks in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He’s been gone for 10 years, and bitcoin, with a newly coined term of “Kimchi premium” — the gap between cryptocurrency prices on the Korean and global exchanges — is a craze.
 
Nakamoto’s intention to design bitcoin is clear. His view contained in the paper is anonymous peer-to-peer transactions not under the government’s control. “A purely peer-to-peer version of electronic cash would allow online payments to be sent directly from one party to another without going through a financial institution.” The first sentence of the paper rejects the existing financial system. He argues, “Commerce on the Internet has come to rely almost exclusively on financial institutions serving as trusted third parties to process electronic payments. While the system works well enough for most transactions, it still suffers from the inherent weaknesses of the trust-based model.”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bitcoin was created. In September 2008, the year the paper was published, Lehman Brothers went bankrupt,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egan. As more banks filed for bankruptcy, people’s trust in the banking system began to falter. Nakamoto proposed a bitcoin circulation process of transaction-network-privacy. The core idea is dispersed storage of transaction records that had been monopolized by banks. “Blocks,” which refer to the transaction records, are created in a 10-minute unit, and “block chain” is a series of timestamped blocks.
 
The fight to get bitcoin acknowledged is in progress. The government is to impose tax on transactions of virtual assets as early as January next year. Bitcoin investors insist that protecting the investors should come before taxation.
 
There’s no country that recognizes cryptocurrency as a “virtual asset.” If bitcoin is acknowledged as a virtual asset, the effect on the central bank’s monetary policy cannot be guaranteed. Nevertheless, bitcoin poses questions to society that cannot be answered lightly. They address challenges to the establishment, human desire of possession and generational discord. Nakamoto has started deep and wide ripples.
 
 
비트코인
강기헌 산업1팀 기자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창시자다. 그는 2008년 10월 인터넷에 등장해 2011년 4월 어떤 자취도 남기지 않고 사라졌다. 시작은 A4 용지 9장 분량의 짧은 논문이었다. 사토시 나카모토는 『비트코인: 일대일 전자 화폐 시스템』에서 은행이 필요 없는 새로운 전자화폐를 제안했다. 그가 사라진 지 10년-. '김치 프리미엄'이란 신조어까지 만든 비트코인은 글자 그대로 광풍이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을 설계한 의도는 명확하다. 논문 곳곳에 담긴 그의 세계관은 탈정부·일대일 거래·익명성이다. “완벽한 전자화폐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해 일대일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금융기관(Financial Institution)은 필요하지 않다.”  첫 문장부터 기존 금융 시스템을 부정한다. 그러면서 “인터넷 상거래는 일반적으로 제삼자인 은행이 보증하는데 이런 시스템에선 신용에 기반을 둔 근본적인 결함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비트코인이 탄생한 건 우연이 아니다. 논문이 발표된 그해 9월 미국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을 선언했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파산을 신청한 은행이 늘면서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무너지기 시작했다. 사토시 나카모토는 논문에서 거래-네트워크-프라이버시로 나눈 비트코인의 유통 과정을 제안한다. 이를 관통하는 핵심은 은행이 독점하던 거래장부의 분산보관이다. 거래장부를 뜻하는 '블록'은 통상 10분 단위로 만들어지는데 이 블록들을 시간순으로 이어붙인 게 '블록체인'이다.
 
비트코인 '인정투쟁(認定鬪爭)'이 한창이다. 정부는 이르면 내년 1월부터 가상자산 거래에 과세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이다. 비트코인 투자자는 과세에 앞서 투자자 보호가 우선이라 주장한다. 탈정부 선언에서 시작한 비트코인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순간부터 인정투쟁을 벌일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그래서일까 정부가 나서 암호화폐를 '가상자산'으로 인정한 국가는 없다. 비트코인을 가상자산으로 인정하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효과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비트코인이 우리 사회에 던지는 질문은 가볍지 않다. 기득권에 대한 도전, 인간의 소유욕망, 세대 갈등이 대표적이다. 사토시 나카모토가 던진 돌멩이가 남긴 파문은 깊고 또 넓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