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noring the problem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Ignoring the problem (KOR)

 CHO HYUN-SOOK
The author is the deputy editor of the economic policy teamof the JoongAng Ilbo.


On Aug. 25, Statistics Korea released its 2020 birth statistics. There were 272,300 babies born last year, a 10 percent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The total fertility rate, referring to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a woman between the ages of 15 and 49 gives birth to, was 0.84, the lowest since 1970.

It is shocking, but not unexpected. The number of annual births was barely over 300,000 in 2019, and it was expected to fall further.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been the lowest in the world — 198th among 198 countries in the UN Population Fund — for two years in a row.

The government’s response hasn’t changed. Offering more subsidies for having more children — such as free tuition for the third child and greater child subsidies — remains the same. As the birth rate goes down, subsidies go up.

But statistics show that policy direction hasn’t worked.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s future population estimate, the productive population between 15 and 64 is to decrease from 37 million this year to 27.5 million in 2040 and 22.6 million in 2050. That means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production falls by 500,000 a year on average.

To fill this gap, the total fertility rate should be boosted to 2 to 3, but that is totally unrealistic.

Let’s just say that the government came up with some clever ways to raise the fertility rate next year. Those babies need to be at least 20 or 30 before they can actually contribute to production and pay tax. There is no way to avoid the gap of 20 to 30 years as the production population drops and the economy falls.

So why is the government urging young people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to boost the fertility rate when they are worried about finding a job or buying a home? A clear answer can be found from the book titled “Truth of Japan’s Deflation,” which found the cause of Japan’s economic collapse in the population issue. It claims that when an irrelevant story is mentioned, more people turn away from the real problem.

In the book, author Kosuke Motani wrote, “Why do you only focus on the fertility rate? Probably because you can transfer responsibility to the young women while letting older men with loud voices get to feel like bystanders. Perhaps, more women chose not to get married because there are only such men.”

The last ten years, which may have been the last chance to resolve the problem, were wasted while consecutive governments repeated absurd measures. It would have been better to have spent that time devising a crisis response plan to withstand the perfect storm that is set to hit the economy, education, healthcare, national defense and all other fields. But the game seems to be over already.


저출산 대책, 게임은 끝났다
조현숙 경제정책팀 차장

25일 통계청은 ‘2020년 출생통계’를 발표했다. “출생아 수는 27만2300명으로 전년 대비 10% 감소.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

충격적인 숫자지만 예상을 벗어나진 않았다. 2019년 태어난 아이 수가 간신히 30만 명을 넘어선 터라 20만 명대 추락은 예고된 일이다. 15세부터 49세까지 임신 가능한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아이 수(합계출산율)가 세계 꼴찌(유엔인구기금 198개국 중 198위)로 내려앉은 건 벌써 2년째다.

정부대응은 바뀐 게 없다. 다자녀 셋째 대학 등록금 무료, 아동수당 확대같이 ‘아이 많이 낳으면 돈 더 준다’는 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출산율이 내려갈수록 판돈(지원액)만 늘릴 뿐이다.

통계는 다른 얘기를 한다. 정책의 목표도 방법도 틀렸다고-.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최근 실제 수치와 가까운 저위 시나리오 기준)에 따르면 올해 3702만 명인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40년 2754만 명, 2050년 2256만 명으로 줄어든다. 경제 활동을 해 생산에 기여할 사람이 연평균 50만 명씩 사라진다는 의미다.

이 공백을 메우려면 합계출산율을 2~3명대로 끌어올려야 한다. 전 국민 너나 할 것 없이 둘째ㆍ셋째까지 낳는 세상. 70년대 베이비붐 때에나 있던 일이다. 현실성이 없다는 건 누구나 안다.

만에 하나, 정부가 절묘한 저출산 대책을 내놔 당장 내년 합계출산율이 2~3명으로 치솟았다고 치자. 하지만 이들이 성장해 생산에 기여하고 세금도 내려면 20~30대는 돼야 한다. 무슨 수를 쓰더라도 생산인구가 급감하고 경제가 추락하는 20~30년간 공백은 피할 수 없다.

그런데 왜 정부는 당장 직장도 집도 없어 걱정인 청년에게 ‘결혼해 아이를 낳아 출산율을 올려야 한다’며 닦달할까. 일본 경제 붕괴의 원인을 인구 문제에서 찾은 책 『일본 디플레이션의 진실』에 명쾌한 답이 있다. “관계없는 얘기를 꺼내면 (진짜) 문제에서 눈을 돌리는 사람이 늘어나기 때문”이란다.

저자 모타니 고스케(藻谷浩介)는 책에서 신랄하게 비판한다. “어째서 출산율에만 주목할까. 젊은 여성(청년)에게 책임을 전가할 수 있어서 그리고 남성, 특히 목소리가 큰 고령 남성들은 방관자적 기분이 될 수 있기 때문 아닐까. 그런 남자뿐이라서 더욱 결혼하지 않는 여성이 늘고 있는지 모르겠다.”

문제를 해결할 마지막 기회였던 지난 10여 년을 엉뚱한 대책만 반복하며 시간만 흘려보냈다. 경제ㆍ교육ㆍ보건ㆍ국방 등 전 분야에 닥칠 ‘퍼펙트 스톰’을 어떻게 견뎌낼지 위기 대응 시나리오를 짜는 게 더 맞다. 게임은 이미 끝났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