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aliban, press and social media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Taliban, press and social media (KOR)

 KANG HYE-RAN
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international news team of the JoonAng Ilbo.


If the Gulf War gave CNN a spotlight and the war in Afghanistan made Al Jazeera a star, the end of the 20-year-long war in Afghanistan was for social media. Raw footage that news camera failed to capture was posted in real time.

The word tragedy is not enough to describe the Afghans who fell from the wheels of a transport plane leaving a Kabul airport. How about the parents who threw their children over a fence to soldiers? The terror attacks that killed 170 lives right before the U.S. forces withdrawal and consequent retaliation by the U.S. were also broadcast on social media unfiltered.

That was possible thanks to the remarkable “media growth” in Afghanistan in the 20 years of U.S. forces being stationed in the country. It is far short of the developed world’s standard, but 69 percent of the 39 million people in Afghanistan use mobile phones, and 22 percent use the internet. One in ten, about 4.4 million, uses social media. Sixty percent of households have access to television.

TOLOnews, a 24-hour news channel equivalent to CNN in Afghanistan, was founded. Right after the fall of Kabul, a female anchor wearing hijab interviewing a Taliban official made news.

The Taliban surely knows the power of media. Returning with smartphones, the Taliban 2.0 is media-friendly, voluntarily hosting a large-scale press conference the day after occupying Kabul. Shortly after the withdrawal of U.S. forces, it celebrated “Winning complete victory” on Twitter. They are framing the former government as a pro-U.S. puppet and itself as a self-reliant and independent government. With this level of “addiction,” it won’t be easy to completely ban internet and television as it did the first time it held power.

But hundreds of reporters are hiding or have fled since the Taliban has advanced. According to Reporters Without Borders, around 100 media outlets shut down in recent weeks. The female anchor who had interviewed the Taliban reportedly left the country, saying that she was afraid.

In its first news conference, the Taliban assured that the freedom of the press would be guaranteed, but no one believes that. In the meantime, reports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ists being attacked and murdered continue.

American think tank Atlantic Council pointed out, “Today’s Taliban understands how to disseminate its propaganda at scale and speed.” Meanwhile, Afghans are trying to expose “the increasingly savage reality of its rule. They say they should not be deceived by the showmanship of displaying a moderate face on television and using smartphones skillfully. What will the Taliban be like after taking power, as it had attacked a broadcasting station for not delivering their “voices of resistance” two decades ago? Media and social media control will reveal its true face.



탈레반,언론,그리고 소셜미디어
강혜란 국제팀장

걸프전이 CNN을, 아프가니스탄전이 알자지라 방송을 띄웠다면 20년에 걸친 아프간전의 대미는 소셜미디어가 장식했다. 뉴스 카메라가 포착 못 한 날것의 장면들이 실시간 올라왔다. 카불공항을 뜨는 수송기 바퀴에 매달렸다 떨어지는 아프간인들은 ‘참상’이라는 말로 부족했다. 아이만이라도 살리려 철조망 너머 군인들에게 포대기째 던지는 부모들은 어땠나. 미군 철수 직전 17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테러와 이에 대한 미국의 보복 또한 소셜미디어로 여과 없이 중계됐다.

이게 가능했던 건 미군 주둔 20년 동안 아프간이 괄목할 만한 ‘미디어 성장’을 해서다. 선진국 기준엔 턱없이 못 미치지만 ,아프간 인구 약 3900만명 중 69%가 휴대전화를 쓰고 22%는 인터넷도 사용 중이다. 열 명 중 한명 이상(440만명)이 소셜미디어도 활용한다. TV에 접근 가능한 가구는 60%에 이른다. 이를 바탕으로 아프간의 CNN이라 할, 24시간 뉴스채널 톨로뉴스가 나왔다. 카불 함락 직후, 히잡을 쓴 여성 앵커가 탈레반 측 관료와 대면 인터뷰를 하는 장면은 그 자체로 뉴스였다.

이 같은 미디어 파워를 탈레반이 모를 리 없다. 스마트폰을 쥐고 귀환한 ‘탈레반 2.0’은 카불 점령 이튿날 대규모 기자회견을 자처했을 정도로 미디어 친화적이다. 미군 철수 직후엔 트위터로 “완전한 독립을 얻었다”고 자축했다. 이전 정부를 친미괴뢰정권으로, 자신들을 자주독립정부로 포장하는 프레임이다. 이 정도 ‘중독’이면 집권 1기 때처럼 인터넷‧TV를 전면 금지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톨로뉴스 소유주 또한 탈레반 측이 계속 운영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반면 기자들은 달아나고 있다. 탈레반이 진격해온 수개월 새 수백 명의 기자가 은신하거나 망명했다. 국경없는기자회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약 100개 언론 매체가 운영을 중단했다고 한다. 앞서 탈레반을 스튜디오에서 인터뷰한 여성 앵커 역시 “수백만 명의 사람들처럼 나도 탈레반이 두려웠다”며 출국한 게 알려졌다. 탈레반은 첫 회견에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했지만 믿는 사람은 없다. 국내외 언론인들을 습격‧살해했다는 보도도 계속 나온다.

“오늘날의 탈레반은 규모와 속도로 선전하는 방법을 안다. 반면 아프간 시민들도 잔인해지는 통치를 폭로하려 한다”고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은 지적한다. TV 앞에 온건한 얼굴,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쓰는 쇼맨십에 혹해선 안 된다는 말이다. 자신들의 ‘저항의 목소리’를 담지 않았다고 방송사에 테러했던 탈레반은 집권 이후 어떤 모습일까. 진짜 얼굴은 언론과 소셜미디어 통제 여부가 알려줄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