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ist goes on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list goes on (KOR)

PARK JIN-SEOK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To support my declining memory, I could not help opening a separate office for my brain.”

Poet and English literature scholar Lee Ha-yun explained why he takes notes. Middle-aged Koreans are familiar with his essay titled “Memo Mania” as it is included in high school textbooks. While not many like memos as much as Lee, humans are animals that leave records by nature. As Lee explained, memories are limited. Humans are called “Homo Scriptus.”

The number of traditional memo maniacs who write on paper with pencils are decreasing, but the amount of recording online has increased. Young people constantly record every little bit of their life.

But professional recorders are on the next level. While records are not to be made public, they meticulously record what was given to whom and when. They use the records as a threat when compensation is demanded or when things go wrong.

The moment when this recording, that was born and raised in the dark, sees the light of the day, the world is shaken. The “lists” with the names of suspects started to show their massive impact at the turn of the century. Whenever the lists with modifiers like Jung Hyun-jun, Jin Seung-hyun, Lee Yong-ho and Seong Wan-jong emerged, bloodshed occurred in politics and the government.

But the quality of the lists varied drastically. Some had stunningly high quality while others were mere holiday gift lists. Another was just a bundle of paper that was made by putting together a few information leaflets on the market. Sometimes, different editions of lists appeared at the same time and obstructed the investigation.

The list in the Daejang-dong development scandal is unusually called the “5 Billion Won List.” (The same amount was allegedly delivered to each of the multiple people in return for favors.) In the naming, it created a new method in the field as it does not start with the name of a key suspect.

The core of the investigation is finding the “body” that drew the big picture in profit distribution. If there’s a risk of the list blurring the focus or an excuse of the investigation team — as in past cases — the list should boldly be pushed back in priority. I hope the prosecutors have “wisdom” and “willpower” to weigh the value of the list in investigating the case.


리스트
박진석 사회에디터


‘쇠퇴해가는 기억력을 보좌하기 위하여, 나는 뇌수의 분실(分室)을 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시인이자 영문학자였던 고 이하윤(1906~1974) 선생이 밝힌 메모의 변(辯)이다. 교과서에 실린 덕택에 중년 세대에게 친숙한 ‘메모광(狂)’이라는 수필 속에서다. 그처럼 경탄할 만한 경지에 이른 고수는 많지 않겠지만, 인간은 태생적으로 기록하는 동물이다. 이 선생의 설명대로 기억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호모 스크립투스’(Homo Scriptus·기록하는 동물)로 불리는 이유다.

종이에 연필로 끄적이는 전통적 메모광은 감소일로지만, 온라인으로의 공간 이동을 통해 이뤄지는 기록의 총량은 오히려 더 늘어났다. 젊은 세대는 시시콜콜한 신변잡기라 하더라도 온종일 쉼 없이 기록한다.

장삼이사들이 이럴진대 ‘꾼’들은 더 말할 나위가 있을까. 공개를 전제로 하진 않지만, 이들은 누구에게 언제 무엇을 줬는지 하나도 빠짐없이 빼곡히 기록한다. 반대급부를 요구하거나 일이 틀어지면 협박 도구로 쓰기 위해서라도 말이다.

어둠 속에서 나고 자란 뒤 소멸할 운명이었던 그 물건이 본의 아니게 빛을 보는 순간, 세상이 진동한다. 장부 소유주 이름들로 장식된 이른바 ‘리스트’가 본격적으로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한 건 세기의 전환기 무렵이었다. 정현준, 진승현, 이용호, 성완종 등의 수식어로 장식된 리스트가 등장할 때마다 정관계에는 피바람이 불었다.

다만 품질은 천차만별이었다. 눈이 번쩍 뜨일 정도의 상품(上品)이 있었는가 하면, 명절 선물 명단 수준에 불과한 것도 있었고, 시중 정보지 몇 개를 붙여 만든 듯한 종이 뭉치도 있었다. 여러 판본의 리스트가 동시에 등장해 오히려 수사를 방해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대장동 개발 의혹 사건의 리스트는 특이하게도 ‘50억 리스트’로 불린다. 여러 명에게 동일한 액수의 돈이 전달됐다는 게 이유다. 명명(命名)만큼은 그 분야의 신기원을 창조한 셈이다. 다만 이번 수사의 핵심은 이익 배분의 큰 그림을 그린 ‘몸통’을 찾는 작업이다. 리스트가 혹여 과거의 몇몇 사건에서처럼 초점을 흐리거나 수사팀의 핑곗거리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면 과감히 뒷순위로 미룰 필요가 있어 보인다. 검찰에 ‘혜안’과 ‘의지’가 함께 하길 기원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