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risis is just a crisi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crisis is just a crisis (KOR)

 IM JANG-HYUK
The author, a lawyer, is the deputy political news editorof the JoongAng Ilbo.



“We need to restore growth and lead the global economy by turning the transitional crisis into a chance to make another leap,” said Democratic Party (DP) presidential candidate Lee Jae-myung at his keynote speech at the JoongAng Forum on Nov. 24. Lee has kept his personal motto, “Crisis is opportunity,” as the backbone of his campaign message since he announced his presidential bid on July 1.

Discussion of crisis is a frequent subject raised by those who dream of becoming “king.” Former Seoul Mayor Lee Myung-bak in 2007, former Saenuri Party emergency committee chair Park Geun-hye in 2012, and former DP leader Moon Jae-in in 2017 also mentioned the country’s crisis when announcing their presidential candidacy.

The word “crisis” appears 16 times in Lee’s declaration of candidacy. He may have strategically thought it would be advantageous for him to link the objective crisis of the pandemic and consequent chaos to his strongman tendency. But his theory of crisis is quite unusual.

In his book on Lee, the author describes all the hardships Lee has overcome since he was a young laborer, including quitting his factory job due to a wrist injury on a grinder and his father opposing his taking of the middle school credential exam. Despite various criminal records, non-mainstream roots and countless rumors, Lee was elected as the mayor of Seongnam and governor of Gyeonggi. So, “crisis is an opportunity” is more of an empirical rule than a rhetoric for Lee. As a result, he finds opportunity in the “zero carbon society,” the U.S.-China discord and even the Covid-19 pandemic.

Only recently did this empirical rule crack. It was a mistake for him to perceive all the suspicions over the Daejang-dong development as a “chance to promote my achievement and skills.” Rather than turning it into an opportunity, the crisis grew further. On Nov. 20, Lee wrote on social media, “About the suspicion related to the Daejang-dong scandal, I only emphasized returning profits to the residents, thinking, ‘It’s okay as long as I am clean.’” He added, “I failed to read the disappointment about unfair profits.”

But the problem with his empirical rule could be the “Crisis is opportunity.” How many people have repeatedly experienced the magic of turning crisis into opportunity in life? Most crisis lead to failures and ordeals no matter how hard one tries.

People already know too well that crises with uncertainties like the pandemic and diplomatic discords cannot be resolved at once. Also, the best response to some crises is management, not a breakthrough, and an opportunity for someone is the price of another’s crisis.


위기는 위기다
임장혁 정치부 차장/변호사


“전환적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만들어 성장을 회복하고 세계경제를 선도해야 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지난 24일 중앙포럼 기조연설에서 한 말이다. 이 후보는 “위기는 기회다”는 개인적 신조를 지난 7월 1일 출마선언 때부터 캠페인 메시지의 뼈대로 삼고 있다.

위기담론은 ‘제왕’을 꿈꾸는 이들의 단골메뉴다. 위기감은 권력집중의 심리적 전제일 수 있다. 2007년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2012년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대위원장도, 2017년 문재인 전 민주당 대표도 출마선언에서 나라의 ‘위기’를 거론했다.

이 후보의 출마선언문에는 ‘위기’라는 단어가 16번 등장한다. 팬데믹과 그 파생 혼란이라는 객관적 위기와 자신의 스트롱맨 성향을 맞물리게 하는 게 유리하다는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일 테지만 이 후보의 위기론은 별나다. 위기 서사가 사회적ㆍ정치적 성장사에 뿌리박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제왕’들과는 크게 다르다.

소설가 A씨가 실 저자라고 알려진 『인간 이재명』에는 소년공 시절부터 그가 돌파해 온 위기들이 숨가쁘게 이어진다. 연마기에 손목이 박살 나 공장일을 그만둘 위기, 아버지의 반대로 중졸 검정고시를 포기할 위기 등등. 이런저런 전과와 비주류라는 핸디캡과 숱한 구설을 딛고 성남시장과 경기지사에 연이어 당선된 그에게 “위기는 기회”라는 말은 수사가 아닌 경험칙에 가깝다. ‘탄소 0 사회’도, 미ㆍ중 갈등도, 심지어 코로나19 팬데믹도 그에게 '기회'로 읽히는 이유다.

그런 경험칙에 균열이 난 건 최근이다. 후보경선 중반이후 불거진 대장동개발 특혜의혹을 “나의 성과와 실력을 홍보할 기회”라고 인식한 게 패착이었다. 기회로 반전되기는커녕 위기는 커지고 장기화됐다. 지난 20일에야 이 후보는 “대장동 의혹도 ‘내가 깨끗하면 됐지’ 하는 생각으로 많은 수익을 시민들께 돌려드렸다는 부분만 강조했지, 부당이득에 대한 국민의 허탈한 마음을 읽는 데 부족했다”는 반성문을 SNS에 올렸다.

이후 열흘째 이어 온 이 후보의 반성과 성찰이 아직 닿지 못한 지점은 “위기는 기회”라는 경험칙 자체다. 인생에서 위기가 기회로 바뀌는 마법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사람이 몇이나 될까. 대개 위기는 어떤 몸부림에도 실패나 고난으로 이어진다. 아직 위기에 처한 다수 국민이 “위기는 기회”라고 외치는 후보에게 듬직함보다 불안함을 먼저 느끼는 이유가 어쩌면 ‘모든 위기=기회’라는 등식을 강변하는 모습 자체에 있다.

그런 모습에 공감하기엔 이미 국민들은 너무 잘 알고 있다. 팬데믹이나 외교갈등 같은 불확실성 가득한 위기들은 단칼에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 어떤 위기에는 돌파가 아니라 관리가 최선의 응전이라는 것. 그리고 어떤 이의 기회는 다른 누군가 겪는 위기의 대가라는 것을.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